염상섭의 삼대를 중심으로 한 사실주의 문학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염상섭의 삼대를 중심으로 한 사실주의 문학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작품의 시대적 상황과 염상섭의 문학적 위치

Ⅲ.「삼대」 연구

Ⅳ.자연주의 문학으로서 「삼대」의 재 고찰

Ⅴ.맺음말

본문내용

여러 암울한 정황을 묘사하면서 작품 말미에 주인공을 휴머니즘적 태도로 바라보는 것이다. 염상섭의 휴머니즘은 기본적으로 민중을 대상화된 객체로 가정하고 작가의 시선에서 연민과 동정 섞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데에 그의 휴머니즘의 특색이 있다.
이러한 염상섭의 문학은 자연주의 경향하고도 맞물리는데 즉, 이때의 자연주의는 우리 문학의 특수성의 결과로서 ‘조선식 자연주의’라고도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서구에서의 자연주의는 연대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사실주의 결과로 보고 있다. 즉, 연대적으로 문학사조는 사실주의, 자연주의 순으로 전개되지만, 염상섭은 사실주의를 내포한 자연주의라 할 것이다. 곧 사실주의적 기법과 정신을 기반으로 하여 비교적 동시대에 가까우면서도 또한 공존했던 자연주의를 수용한 것이 당대의 특수한 자연주의였던 것이다. 설성경 외, <세계속의 한국문학> 173쪽 새미. 2002
염상섭의 작품에서 특수한 자연주의적 경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설에서 그의 소설의 사회발전의 참여자, 당대의 위대한 투쟁의 주역에 대한 묘사가 없으며 다만 목격자, 보도자, 관찰자로 대개 서 있을 뿐이다. 바로 거기에 사실주의적인 힘이 작동한다. 염상섭의 작품에서 개인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숨을 쉬는 사회적 인간 형상이다. <삼대> 속의 조의관, 조상훈, 조덕기 모두 그러한 인물이다. 이러한 측면에 주목한다면 염상섭의 문학에서 독자적인 조선적 자연주의 문학이 그 실체를 이루기 시작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환경결정론에 입각하여 대상 자체의 묘사와 심리를 드러내주는 관찰의 문학, 보고의 문학 형태로 그쳐버린 점은 단점으로 지적 된다. 즉 어떤 형태든 구체적 가치평가와 의식변화 혹은 변화된 삶의 행위 양식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 자체의 행위나 심리를 제시하는 데에 그는 만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 확대된 사회라는 영역이 작품 속에 자리 잡지 못하고 작중 인물의 일상적 삶의 영역 안에 그치고 마는 것이다. ‘만세전’이 철저히 관찰의 형식으로 시종하고 있다는 것, ‘삼대’에서 ‘돈의 위력’을 여실히 보여주었지만 그것은 일상의 영역에서 바라본 것이지 전사회적 차원에서 작동되는 ‘자본의 논리’로까지 확대 되지는 못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염상섭은 당대 자연주의 작가에 비하여 비교적 사회라는 영역과의 관련성을 가장 적극적으로, 일찍 보여주었다는 사실을 놓쳐서는 안 된다.
염상섭의 <삼대>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리얼리즘 문학의 시작과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이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물론 그 과정에 있어 <삼대>가 갖는 리얼리즘적 장편소설의 한계는 존재한다. 즉 당시 시대적 인물의 20%도 채 안되는 부르주아를 다루었다는 것은 리얼리즘적 총체성에 한계를 준다. 또한 작가가 가진 시대적 결정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작품이 지나친 온건주의 적 성향으로 대처하고 있다. 작가는 철저히 관조의 태도를 보여주며, 묘사와 심리만을 보여준다. 이것은 물론 염상섭의 한계라고 볼 수 있겠지만, 필자는 리얼리즘에 기인한 염상섭식 문학 전개법이라고 보겠다. 또한 부르주아만을 다루었다는 것은 리얼리즘적 전반적 사회 모습을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겠지만, 부르주아 사회의 일정한 표상을 재현함에 있어서는 리얼리즘적 성과를 획득한다. 염상섭은 <삼대>를 통해 식민지 현실을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보여주었으며, 개인의 발견과 현실인식이라는 소설의 근대적 특성을 분명하게 제시해 주었다.
Ⅴ.맺음말
염상섭의 <삼대>는 부르주아 계층에서 보는 식민지 상황에 대한 해석이며, 사실적 묘사이다. 세계 속에서 개인과 현실을 발견하고 인식한다는 근대적 성격에도 그 완성도를 보이는 작품이다. 또한 염상섭이 가지고 있었던 문학적 성향, 즉 자연주의 문학론은 <삼대>를 통해서 관찰되었다. 본문에서 다루었던 가치 중도적 인물- 조덕기를 통하여 작가는 당시 혼란스러웠던 시대상을 접고자, 세대간의 통합을 이루게 했다. 또한 시대 결정론에 입각하여 시대가 낳은 패륜아-조상훈을 통하여 당시 봉건과 근대 그리고 식민지 사이에서 2중적 태도를 보여주었던 신지식인들을 대변하게 했다. 결국 작가는 돈이라는 자본주의적 욕망요소를 등장시킨다. 그리고 조덕기가 돈을 통해 夫와 祖父 통합하고 화해시키는 역할을 하게 한다. 이것은 가족의 통합을 넘어 세대간의 통합, 민족의 화합이다.
<삼대>라는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현실을 통하여 식민지 상황을 살펴보고, 작품 속 인물들을 통하여 작가가 시대에 대응하는 방식을 알았다. 앞서 논의 한 바 있듯이, 이 부분에 있어서 염상섭이 갖는 한계점은 존재한다. 먼저 식민지 상황을 그려냄에 있어 총체성의 부족이다. 이것은 그가 삼대라는 작품을 통해서 일정한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을 그려냈다는 것이다. 당시 전 국민의 20%도 채 안되었던 부르주아 층을 겨냥하여 시대를 그려내고 있다. 이것은 식민지 상황의 전반적 모습을 그리기에는 부족하다. 그리고 두 번째는 그의 가치중립적 태도이다. 염상섭은 조금의 미동도 없이 작품을 그려낸다. 그는 대상 자체의 묘사와 심리를 드러내주는 관찰의 문학, 보고의 문학 형태로 그쳐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어떤 형태든 구체적 가치평가와 의식변화 혹은 변화된 삶의 행위 양식을 수반하지 않고 대상 자체의 행위나 심리를 제시하는 데에 만족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은 리얼리즘 문학가, 근대 소설의 확립가로서 염상섭이 갖는 위상에 문제가 된다. 하지만 본고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염상섭은 <삼대>를 통해서 분명히 근대적 리얼리즘 문학에 큰 몫을 하였다는 것이다. 염상섭이전에 이광수의 불완전한 근대 문학의 시초가 있었지만, 염상섭에 와서야 근대 문학의 틀이 형성된다. 이것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개인과 현실의 문제를 언급하기 시작한 작가가 염상섭이다. 그리고 그는 <삼대>를 통해서 부르주아적 식민지 세계를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그리고 그가 보였던 가치 중도적인 입장은 리얼리즘이 갖는 문학의 성격에서 찾아야 한다.
스스로를 자연주의 문학가로 지칭했던 작가 염상섭, 그의 작품 <삼대>를 통해 그의 문학이 갖는 근대성, 리얼리티에 관해 다시금 정리하며 졸고를 마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10.0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4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