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II. 역사의식의 개념
Ⅲ. 역사의식의 발달단계
1. 역사의식의 발달단계 분류
2. 학년별 역사의식의 발달단계
Ⅳ. 역사의식을 역사적 문제의식으로 보는 견해
Ⅴ. 맺음말
II. 역사의식의 개념
Ⅲ. 역사의식의 발달단계
1. 역사의식의 발달단계 분류
2. 학년별 역사의식의 발달단계
Ⅳ. 역사의식을 역사적 문제의식으로 보는 견해
Ⅴ. 맺음말
본문내용
발달단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역사의식의 개념에 대한 정리를 함으로써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역사의식’이라는 용어는 두 가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아동의 성장 및 사회성의 발달에 따라 역사의식을 계열화한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의식을 생활환경이나 경험, 역사학습을 통하여 길러지는 역사적 문제의식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 중, 의식(意識)이라는 단어의 뜻이 인식의 길잡이가 되는 심리적, 정신적 바탕이라는 점 이찬희, 위의 논문.
과 역사교육론 관련 서적에서 전자의 개념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전자의 개념을 ‘역사의식’, 그리고 후자의 것을 ‘역사적 문제의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역사교육론을 학습하고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역사의식의 두 가지 개념은 서로 비교되는 측면이 많다. 전자의 개념은 역사의식을 다룰 때 주로 다루어지고, 내용은 발달단계가 도시화되어 있을 정도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교실에서 수업할 때에는 학년별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을 결정할 때 고려된다. 후자의 개념은 다루어지기는 하되 주된 흐름에는 들어가지 못 하고 있으며, 내용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실재 수업에서는 수업의 목표로서 고려된다. 다시 말해서, 전자의 개념은 명확한 발달단계를 설정하여 설명했기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고 수업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용이하며, 역사의식을 거론할 때 주로 다루어진다. 이에 반해 후자의 것은 뚜렷한 내용의 체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수업에서는 목적으로서 고려되거나 설정된다. 전자에 대한 비판으로서 역사의식의 발달단계를 끌어올리는 원동력이나 조건, 방향을 확정할 수 없다는 점, 아동의 성장에 따라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심리적 역사의식으로서 사회적 역사의식, 즉 역사에 대한 흥미, 비판의식과 역사의식의 습득적 성격은 반영하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다. 이 비판 중 두 번째 것은 전자의 개념이 후자의 개념에 해당하는 역사의식의 측면을 함께 설명하지 못하는 것을 지적한 것으로, 양자 모두를 반영하여 역사수업학습에 임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끝으로, 위의 비판 중 첫 번째 것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자의 견해에 따를 경우 ‘역사학습이 역사의식의 발달단계를 높이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가?’라는 의문이 남게 된다. 전자의 개념에 해당하는 역사의식은 관념적추상적인 것이 아니고 특정의 역사적 사실이나 개개인의 인생 체험과 교육을 통하여 성장하여 가며, 보다 구체적인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양호환 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p348.
선생님의 지도를 받으면서 과거에 있었던 일들에 대한 탐구 학습을 수행한 어린이가 그렇지 않은 어린이와 같은 역사의식의 단계에 머물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으며, 만약 역사학습이 역사의식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역사학습의 당위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은 매우 민감한 사항으로 보인다. 이 문제는 섣불리 판단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므로 일단 이러한 의문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기로 하고 그에 대한 판단은 보류해 두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밝히면서 글을 마친다.
◇◆ 참고문헌 ◆◇
양호환 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임희완, 『역사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송춘영, 「중학교 국사교육에 있어서 인물지도의 효과적인 방안」, 『역사교육』, 1977
윤세철, 「역사의식 발달과 학년배정문제」, 『서울대교육대학원 논문집』, 1965
이찬희, 「역사의식의 개념과 역사교육」, 『한국 사회과학 교육학개론』, 1996
‘역사의식’이라는 용어는 두 가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나는 아동의 성장 및 사회성의 발달에 따라 역사의식을 계열화한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의식을 생활환경이나 경험, 역사학습을 통하여 길러지는 역사적 문제의식으로 보는 견해이다. 이 중, 의식(意識)이라는 단어의 뜻이 인식의 길잡이가 되는 심리적, 정신적 바탕이라는 점 이찬희, 위의 논문.
과 역사교육론 관련 서적에서 전자의 개념이 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전자의 개념을 ‘역사의식’, 그리고 후자의 것을 ‘역사적 문제의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역사교육론을 학습하고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역사의식의 두 가지 개념은 서로 비교되는 측면이 많다. 전자의 개념은 역사의식을 다룰 때 주로 다루어지고, 내용은 발달단계가 도시화되어 있을 정도로 체계화가 이루어져 있으며, 교실에서 수업할 때에는 학년별 수업내용과 수업방법을 결정할 때 고려된다. 후자의 개념은 다루어지기는 하되 주된 흐름에는 들어가지 못 하고 있으며, 내용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실재 수업에서는 수업의 목표로서 고려된다. 다시 말해서, 전자의 개념은 명확한 발달단계를 설정하여 설명했기 때문에 개념을 이해하고 수업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용이하며, 역사의식을 거론할 때 주로 다루어진다. 이에 반해 후자의 것은 뚜렷한 내용의 체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수업에서는 목적으로서 고려되거나 설정된다. 전자에 대한 비판으로서 역사의식의 발달단계를 끌어올리는 원동력이나 조건, 방향을 확정할 수 없다는 점, 아동의 성장에 따라 일반적으로 발달하는 심리적 역사의식으로서 사회적 역사의식, 즉 역사에 대한 흥미, 비판의식과 역사의식의 습득적 성격은 반영하지 못한 점이 지적되었다. 이 비판 중 두 번째 것은 전자의 개념이 후자의 개념에 해당하는 역사의식의 측면을 함께 설명하지 못하는 것을 지적한 것으로, 양자 모두를 반영하여 역사수업학습에 임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끝으로, 위의 비판 중 첫 번째 것에 해당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자의 견해에 따를 경우 ‘역사학습이 역사의식의 발달단계를 높이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가?’라는 의문이 남게 된다. 전자의 개념에 해당하는 역사의식은 관념적추상적인 것이 아니고 특정의 역사적 사실이나 개개인의 인생 체험과 교육을 통하여 성장하여 가며, 보다 구체적인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양호환 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p348.
선생님의 지도를 받으면서 과거에 있었던 일들에 대한 탐구 학습을 수행한 어린이가 그렇지 않은 어린이와 같은 역사의식의 단계에 머물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으며, 만약 역사학습이 역사의식 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역사학습의 당위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은 매우 민감한 사항으로 보인다. 이 문제는 섣불리 판단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므로 일단 이러한 의문이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기로 하고 그에 대한 판단은 보류해 두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밝히면서 글을 마친다.
◇◆ 참고문헌 ◆◇
양호환 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임희완, 『역사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송춘영, 「중학교 국사교육에 있어서 인물지도의 효과적인 방안」, 『역사교육』, 1977
윤세철, 「역사의식 발달과 학년배정문제」, 『서울대교육대학원 논문집』, 1965
이찬희, 「역사의식의 개념과 역사교육」, 『한국 사회과학 교육학개론』, 1996
추천자료
교육과정의역사와 철학적기초
중국의 역사 왜곡 문제점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역사교육의 실태와 대응방안 분석
채만식 풍자정신, 리얼리즘, 역사의식
[열린교육][열린교육역사][열린교육원리][열린교육특성][열린교육기법][열린교육시사점]열린...
중세체육의 역사철학론...
아메리카 체육(스포츠)의 역사철학론.... 나라별, 체육종목별...
NIE(신문활용교육, 신문활용수업) 국어교육 영어교육 사례, NIE(신문활용교육, 신문활용수업)...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영역별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지리영역교육과 ...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정의와 분류, 구성주의이론(구성주의학습)의 논의 배경과 성격...
사회학 기초이론, Karl marx, 사상적 원천, 인간을 보는 관점, 사회구성체론, 역사발전단계론...
교육역사,중세교육,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
역사교육_역사인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
역사교육과 역사인식-역사수업 도구로서 내러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