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분만 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 분만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4. 문헌고찰
-분만1기
간호중재
투여될 수 있는 약물
-분만 2 기
간호중재
-분만 제 3 기
간호중재
-분만 제 4 기
간호중재
-산욕기 간호
-질분만 산모 간호
-제왕절개 산모 간호

II.본론
일반간호정보
임신과 관련된 정보
신체검진
분만기전
신생아 상태
진단검사
투여약물
결론 (case study의 소감)

본문내용

활동기는 다시 가속기(acceleration phase), 최대경사기(phase of maximum phase), 감속기(deceleration phase)의 3단계로 나뉜다.
분만 1기에 관계되는 힘은 자궁수축이다. 이힘에 의해 자궁내압이 양수를 통하여 경부나 자궁하부를 향한 수압으로 작용한다. 양막이 파열된 경우에는 선진부가 직접 압력을 가한다.
1. 진진통 수축이 시작되어 자궁경관이 완전 소실되고 개대(10cm)될 때까지이다.
2. 평균적으로 초산부의 경우 약 13.3 시간, 경산부의 경우 7.5시간 정도 걸린다.
3. 잠재기 (초기)
a. 자궁경부가 0~3cm정도 개대된다.
b. 자궁수축은 보통 5~10분 간격으로 있으며 20~40초 정도 지속된다. 강도는 약하다.
c. 수축은 5분 정도 지속되고 일정한 양상을 나타낸다.
4. 활동기
a. 자궁경부가 4~7cm 정도 개대된다.
b. 자궁수축이 2~5분마다 있으며 30~50초 정도 지속되고 강도는 약하거나 보통 정도이다.
c. 활동기에 이르면 평균 시간당 초임부의 경부 1.2cm, 경산부의 경우 시간당 1.5cm정도 개대된다.
5. 이행기
a. 자궁경부가 8~10cm 개대된다.
b. 자궁수축이 2~3분마다 있고 50~60초간 지속되며, 강도는 보통 또는 강하다.
♧간호중재
-불안완화
1. 산모의 활력징후와 태아심음을 모니터하고, 산모와 배우자에게 상태를 알려준다.
a. 체온이 높거나 양막파열이 있지 않는 한 2~4시간마다 측정하고, 그 후엔 1시간마다 측 정한다.
b. 진통제나 경막외 마취를 하지 않는 한 혈압, 맥박, 호흡은 30~60분마다 측정한다. 그 후 에는 기관의 정책에 따른다.
c. 저위험 산모의 경우 30분마다, 고위험 산모의 경우 15분마다 태아 심박동을 간헐적 또 는 지속적으로 모니터한다.
2. 지지와 격려를 한다.
3. 산모를 지지할 수 있는 사람을 간호에 참여시킨다.
-통증의 최소화
1. 편안감을 위해 체위를 바꾸도록 한다.
2. 필요시 호흡과 이완요법 실행을 돕는다.
3. 등이나 다리, 어깨를 마사지 한다.
4.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a.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유무를 확인한다.
b. 약물이 산모에게 졸음이나 편안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을 해준다.
c. 약물투여 전 내진으로 자궁경부의 상태를 평가한다.
d. 약물투여 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e. 약물작용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f. 태아 심박동 양상을 모니터 한다. 마약성 제제 투여 후 변이성 감퇴가 나타 날 수 있다.
g. 필요한 수액을 정맥주사한다.
5. 필요시 국소마취(경막외 마취)를 돕는다.
a. 필요한 만큼의 수액을 정맥으로 투여한다.
b. 산모가 측위나 좌위를 취하도록 돕는다.
c. 시술 동안 태아심음을 관찰하고 사정한다.
d. 시술 후 2~3분마다 산모의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15분간격으로 측 정한다.
e. 시술후 저혈압, 오심과 구토, 가벼운 두통여부를 사정한다. 이런 증상이 있을 경우
(ⅰ)정맥주사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ⅱ)침상머리 부분을 편평하게 하고, 필요시 다리를 상승시킨 자세를 취하게 한다.
(ⅲ)옆으로 눕힌다.
(ⅳ)8~10L/min정도로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투여한다.
(ⅴ)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ephedrine을 준비해 둔다.
f. 안전한 환경을 유지한다.
g. 산모의 기록지에 상태를 기록하고 병원정책에 따라 기록지를 모니터한다.
약물
설명
정온제(tranquilizers)
마약과 함께 사용되거나 마약의 효과를 강화한다. 진토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진통 잠복기나 1기에 불안감소, 안정감 증진, 오심이나 구토 감소를 위해 사용된다.
promethazine(phenergan)
hydroxyzine(vistaril)
propiomazine(largon)
약물
설명
마약성 진통제/비경구적 마약
공포와 불안을 감소시킨다. 수축 사이에 신체적 이완과 휴식을 증진시킨다. 오심과 구토를 유발 할 수 있으며, 호흡억제가 주요 부작용으로 신생아에서 일차적으로 나타난다. 3~4시간마다 정맥이나 근육내로 투여한다.
meperidine(demerol)
butorphanol(stadol)
nalbuphine(nubain)
fentanyl(sublimaze)
pentazocine(talwin)
※산과적 진통제와 마취제
약물
설명
안정제(sedatives)
안정과 최면을 유도한다. 진통 잠복기에 사용되어 불안감소, 자궁수축 억제와 휴식을 도모한다. 진통효과는 없으며, 경구나 근육내로 투여된다.
sodium secobarbital
(seconal)
sodium pentobarbital
(nembutal)
sodium phenobarbital
(luminal)
-방광비우기
1. 2시간마다 적어도 100mL정도 배뇨하도록 권장한다.
2. 하복부를 촉진하여 방광팽만을 사정한다.
3. 산모가 배뇨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간을 주고, 프라이버시를 지켜주며, 물을 약간 틀어 주거나 좌욕을 시켜준다.
4. 필요시 또는 처방에 의해 도뇨를 한다.
5.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특히 Pitocin이나 MgSO₄를 주입하는 경우 측정한다.
-활동기와 이행기의 진통에 대한 대처 강화
1. 호흡법이나 이완법을 이용하도록 권장한다.
2.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
3. 대처방안을 사용하여 분만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4. 안위제공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약물
설명
경막외 마취제 / 진통제
: 마취제와 함께 사용하여 진통 효과와 운동차단을 감소시킨다.
경막외 마약제
장시간의 진통 효과를 위해 수술 후에 사용된다.
경막외 차단
T10~T12수준에서 감각차단을 위해 진통시 사용된다. 경막외 카테터를 통해 투약되며, T4~T6수준의 진통 효과를 위해 제왕절개나 산후 관 결찰시에 사용된다.
지주막하 차단
제왕절개나 산후 관 결찰시 사용되는 것으로 더 빠르고 쉽게 시행할 수 있다.
카테터가 필요없으며 투약은 finite 시간동안 지속된다.
국소마취
회음절개시 또는 질식 분만의 복구 동안 회음부의 통증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pudendal 차단
분만 2기에 질구의 하부, 음순, 회음부의 무감각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5.11.16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1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