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불황의 연예계
2). 성현아 이전의 '돈 안 되는' 누드 서비스
3). 성현아 이후의 '돈 되는' 누드 서비스
Ⅱ. 상황분석
1). 외부환경분석
⑴. 사회/문화적인 변화
⑵. 기술적인 변화
2). 시장분석
⑴. 업계 특징 분석
⑵. 소비트렌드 분석
⑶. 국내시장 전략집단별 분석
3). 내부분석-이혜영의 swot분석
Ⅲ. 마케팅 믹스 전략
1). price
2). product
3). place
4). promotion
Ⅳ. 결론 및 전망
1). 불황의 연예계
2). 성현아 이전의 '돈 안 되는' 누드 서비스
3). 성현아 이후의 '돈 되는' 누드 서비스
Ⅱ. 상황분석
1). 외부환경분석
⑴. 사회/문화적인 변화
⑵. 기술적인 변화
2). 시장분석
⑴. 업계 특징 분석
⑵. 소비트렌드 분석
⑶. 국내시장 전략집단별 분석
3). 내부분석-이혜영의 swot분석
Ⅲ. 마케팅 믹스 전략
1). price
2). product
3). place
4). promotion
Ⅳ.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없었다.
하지만 처음 성공을 거뒀던 성현아 이후 우후죽순 연예인들의 누드집이 나오면서 경쟁이 심화되었고 좀더 나은 컨셉 등을 표현하기 위해 해외촬영이 많아졌었다.
대표적으로 캄보디아와 일본 등에서 촬영한 이지현과 역시 동남아에서 촬영했던 이승연등이 있었다.
이는 누드집의 핵심을 착각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진단이다. 국내 누드집 소비자들은 화려한 배경이나 극적 설정보다 '벗은 몸' 자체에 주목하는 구매 심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현아는 이 지적에 따라 2차 공개 때는 스튜디오에서 클로즈업한 사진만을 제한적으로 담았고, 해외촬영분은 동영상 서비스로 국한했었다
2). product
누드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제품이다.
"누가 어디까지 벗었는가?"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몸'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국내의 누드 서비스연예인 누드집은 '몸' 자체의 상품성보다 ' 가 벗는다'는 화제성에 기대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성현아의 누드집을 기획한 EMG네트워크 관계자는 "성현아 몸매 자체의 가치보다 마약 복용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킨 성현아의 누드가 가져올 사회적 관심을 먼저 생각했다"고 털어논 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혜영의 경우도 보험에도 들었다는 자신의 다리 등의 몸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다른 쪽의 컨셉트를 잡는 것에 주력했다.
이는 대부분의 누드집을 낸 연예인들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이혜영의 product 전략은 앞에서도 언급했던 '패션누드'라는 상품개발이었다.
알다시피 이혜영의 경우 별로 인기있는 연예인은 아니었다. 가수활동도 변변치 않고 드라마 등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었다.
하지만 그녀는 뛰어난 패션감각으로 많은 여성들에게 어필했었고 스타일리스트로서의 활동경력을 발판으로 이혜영은 자신의 패션 감각을 누드 사진으로 보여주며 자신만의 분명한 색깔을 만들어냈다.
누드 사진이라고 해서 1백% 전라 사진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각종 의류와 소품이 사용외고 헤어스타일 역시 강조된다. 이혜영은 이 부분에서 자신의 패션 감각을 뽐냈고 유명한 명품 브랜드의 의상와 소품을 협찬 받아 품격 있는 패션 누드를 만들어냈다. 심지어 전라 사진이라 할지라도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액세서리 등에 신경을 썼었다.
이혜영의 누드가 특집으로 실린 여성잡지 10월호를 보면 이런 면모가 그대로 드러난다. 지금까지의 연예인 누드와 달리 여성 패션 잡지에 실렸고 매 사진마다 그녀의 패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붙어있다. 누드 사진이라기보다는 패션 화보의 성격이 강한데 여기에 강한 노출이 가미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3). place
누드집을 냈던 많은 연예인들의 place전략은 역시 인터넷과 모바일을 이용한 전략이었다.
처음에 누드를 찍었던 성현아를 필두로 2002년 이후 불어닥친 누드열풍의 근원은 바로 place전략의 성공이었던 것이다.
특히 휴대전화를 통한 누드 공급은 소비자에게 '사적(私的) 특별함'을 던져준다는 게 업체들의 분석이다. 이는 휴대전화의 '일상적 공간'이 벗은 당사자들과 한층 더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전화는 화장실이나 자동차 내부 등 내밀한 공간에서도 누드 관람이 가능해 누드의 확산 루트가 한층 '모세혈관화'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여기에 이혜영의 경우 몇 가지가 더 추가된다.
이혜영의 경우는 자신의 누드집을 해외에도 판매하려고 하고 있다.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업체인 윌리엄 모리스사와 2백만 달러에 계약하려는 등의 루머가 떠돌고 있는 것이 그 사실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앞서 말한 것처럼 '패션누드'라는 분명한 색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녀는 명품 브랜드 업체 몇 곳을 통해 해외로 팔릴 계획이라고 한다.
그녀의 누드안에 담긴 패션감각을 PPL 광고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협찬을 했던 명품 브랜드 업체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나섰기 때문에 손쉽게 해외 수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4). promotion
누드집을 낸 많은 연예인들의 촉진전략은 특별할 것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사소한 것이라도 놓치지 않을 많은 신문, TV매체들이 있기 때문이다.
누가 누드집을 냈다하면 많은 연예정보 프로그램에서 취재를 했고 신문 역시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인터넷 배너광고 등도 광고전략에 많이 이용되었다.
이 촉진전략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이슈 만들기'라는 것이다.
이혜영의 경우는 위에서 말했던 '해외 수출'에 대한 이슈와 남편인 가수 이상민 등과의 결혼 등의 많은 이슈가 있었고 이는 고스란히 마케팅 전략에 이용되었다.
Ⅳ. 결론 및 전망
지난 2년간 전반적인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연예계를 살린 것은 무엇보다 '누드 열풍' 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여성의 성(性)상품화라는 비판이 당연히 많지만 그런 윤리적인 문제와 따로 생각하면 누드 서비스는 위기에 빠진 연예계를 살릴 아주 훌륭한 아이템이 이미 되어버렸다.
무엇보다 누드집 제작은 소비용(적게는 수천만원)과 소시간(짧게는 하루)으로 제작할 수 있는, 투자대비 효과가 큰 사업이다.
게다가 누드 서비스는 해당 연예인들의 입장에서는 그 서비스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 가수활동, 드라마 출연 등의 부가적인 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대중들은 당분간 누드집에 대한 뉴스를 접할 것 같다.
그렇지만 알아야 할 것은 지금까지 누드를 찍은 연예인들 모두가 성공했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승연의 경우처럼 무리한 컨셉을 사용하려다가 되려 아까운(?) 필름을 모조리 태운 경우도 있고 '룰라' 출신의 가수 김지현, 종말이 곽진영, 누드집을 연예계 컴백의 수단으로 이용하려 했던 '투투' 출신의 황혜영 모두가 누드 촬영이후 연예계로 돌아오지 못하고 팬들의 기억속에서 잊혀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누드집 사업은 어디까지나 사업이다. 갈수록 미모가 뛰어나고 나이도 어린 연예인들이 등장할 것이며 경쟁도 더 치열해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드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앞에서 예시했던 이혜영이나 함소원 등의 경우처럼 철저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처음 성공을 거뒀던 성현아 이후 우후죽순 연예인들의 누드집이 나오면서 경쟁이 심화되었고 좀더 나은 컨셉 등을 표현하기 위해 해외촬영이 많아졌었다.
대표적으로 캄보디아와 일본 등에서 촬영한 이지현과 역시 동남아에서 촬영했던 이승연등이 있었다.
이는 누드집의 핵심을 착각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진단이다. 국내 누드집 소비자들은 화려한 배경이나 극적 설정보다 '벗은 몸' 자체에 주목하는 구매 심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현아는 이 지적에 따라 2차 공개 때는 스튜디오에서 클로즈업한 사진만을 제한적으로 담았고, 해외촬영분은 동영상 서비스로 국한했었다
2). product
누드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제품이다.
"누가 어디까지 벗었는가?"하는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몸'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국내의 누드 서비스연예인 누드집은 '몸' 자체의 상품성보다 ' 가 벗는다'는 화제성에 기대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성현아의 누드집을 기획한 EMG네트워크 관계자는 "성현아 몸매 자체의 가치보다 마약 복용 사건으로 물의를 일으킨 성현아의 누드가 가져올 사회적 관심을 먼저 생각했다"고 털어논 적이 있었다.
따라서 이혜영의 경우도 보험에도 들었다는 자신의 다리 등의 몸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다른 쪽의 컨셉트를 잡는 것에 주력했다.
이는 대부분의 누드집을 낸 연예인들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이혜영의 product 전략은 앞에서도 언급했던 '패션누드'라는 상품개발이었다.
알다시피 이혜영의 경우 별로 인기있는 연예인은 아니었다. 가수활동도 변변치 않고 드라마 등에서도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었다.
하지만 그녀는 뛰어난 패션감각으로 많은 여성들에게 어필했었고 스타일리스트로서의 활동경력을 발판으로 이혜영은 자신의 패션 감각을 누드 사진으로 보여주며 자신만의 분명한 색깔을 만들어냈다.
누드 사진이라고 해서 1백% 전라 사진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각종 의류와 소품이 사용외고 헤어스타일 역시 강조된다. 이혜영은 이 부분에서 자신의 패션 감각을 뽐냈고 유명한 명품 브랜드의 의상와 소품을 협찬 받아 품격 있는 패션 누드를 만들어냈다. 심지어 전라 사진이라 할지라도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액세서리 등에 신경을 썼었다.
이혜영의 누드가 특집으로 실린 여성잡지
3). place
누드집을 냈던 많은 연예인들의 place전략은 역시 인터넷과 모바일을 이용한 전략이었다.
처음에 누드를 찍었던 성현아를 필두로 2002년 이후 불어닥친 누드열풍의 근원은 바로 place전략의 성공이었던 것이다.
특히 휴대전화를 통한 누드 공급은 소비자에게 '사적(私的) 특별함'을 던져준다는 게 업체들의 분석이다. 이는 휴대전화의 '일상적 공간'이 벗은 당사자들과 한층 더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전화는 화장실이나 자동차 내부 등 내밀한 공간에서도 누드 관람이 가능해 누드의 확산 루트가 한층 '모세혈관화'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여기에 이혜영의 경우 몇 가지가 더 추가된다.
이혜영의 경우는 자신의 누드집을 해외에도 판매하려고 하고 있다.
미국의 엔터테인먼트 업체인 윌리엄 모리스사와 2백만 달러에 계약하려는 등의 루머가 떠돌고 있는 것이 그 사실을 대변하고 있다.
그리고 앞서 말한 것처럼 '패션누드'라는 분명한 색깔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녀는 명품 브랜드 업체 몇 곳을 통해 해외로 팔릴 계획이라고 한다.
그녀의 누드안에 담긴 패션감각을 PPL 광고 등으로 이용하기 위해 협찬을 했던 명품 브랜드 업체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나섰기 때문에 손쉽게 해외 수출을 할 수 있는 것이다.
4). promotion
누드집을 낸 많은 연예인들의 촉진전략은 특별할 것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사소한 것이라도 놓치지 않을 많은 신문, TV매체들이 있기 때문이다.
누가 누드집을 냈다하면 많은 연예정보 프로그램에서 취재를 했고 신문 역시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인터넷 배너광고 등도 광고전략에 많이 이용되었다.
이 촉진전략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바로 '이슈 만들기'라는 것이다.
이혜영의 경우는 위에서 말했던 '해외 수출'에 대한 이슈와 남편인 가수 이상민 등과의 결혼 등의 많은 이슈가 있었고 이는 고스란히 마케팅 전략에 이용되었다.
Ⅳ. 결론 및 전망
지난 2년간 전반적인 불황에 허덕이고 있는 연예계를 살린 것은 무엇보다 '누드 열풍' 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여성의 성(性)상품화라는 비판이 당연히 많지만 그런 윤리적인 문제와 따로 생각하면 누드 서비스는 위기에 빠진 연예계를 살릴 아주 훌륭한 아이템이 이미 되어버렸다.
무엇보다 누드집 제작은 소비용(적게는 수천만원)과 소시간(짧게는 하루)으로 제작할 수 있는, 투자대비 효과가 큰 사업이다.
게다가 누드 서비스는 해당 연예인들의 입장에서는 그 서비스 자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 가수활동, 드라마 출연 등의 부가적인 활동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대중들은 당분간 누드집에 대한 뉴스를 접할 것 같다.
그렇지만 알아야 할 것은 지금까지 누드를 찍은 연예인들 모두가 성공했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승연의 경우처럼 무리한 컨셉을 사용하려다가 되려 아까운(?) 필름을 모조리 태운 경우도 있고 '룰라' 출신의 가수 김지현, 종말이 곽진영, 누드집을 연예계 컴백의 수단으로 이용하려 했던 '투투' 출신의 황혜영 모두가 누드 촬영이후 연예계로 돌아오지 못하고 팬들의 기억속에서 잊혀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누드집 사업은 어디까지나 사업이다. 갈수록 미모가 뛰어나고 나이도 어린 연예인들이 등장할 것이며 경쟁도 더 치열해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드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앞에서 예시했던 이혜영이나 함소원 등의 경우처럼 철저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마케팅][엔젤마케팅][광고][판매촉진][마케팅전략][마케팅의 개념][마케팅의 분석][마케팅의...
MCM,성공사례,마케팅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미샤,화장품산업,마케팅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스타마케팅] 맥심 T.O.P사례 - 맥심TOP,맥심TOP광고,TOP광고,TOP마케팅,TOP마케팅전략,맥스...
국제마케팅전략,삼성물산마케팅전략,삼성물산국제마케팅
신세계 이마트 -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이마트해외진출,이마트중국시...
온라인광고,인터넷광고,광고마케팅,광고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
[마케팅의 이해] 체험 마케팅 (체험마케팅,체험마케팅전략,체험마케팅사례및분석).PPT자료
[마케팅의 이해] CEO마케팅,CEO마케팅전략,CEO마케팅사례,씨이오마케팅.PPT자료
[베니건스][베니건스 특성][베니건스 경쟁사][베니건스 마케팅 전략][향후 베니건스 개선 방...
[호텔마케팅][호텔][마케팅][브랜드도입][지각위험][고객관리][고객]호텔마케팅의 브랜드도입...
[코오롱스포츠 마케팅전략보고서]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4P,STP,SWOT전략분석/ 코오롱스포츠 ...
『HITE 하이트진로 마케팅전략 분석』 하이트진로 기업경영분석과 하이트진로 마케팅 SWOT,ST...
≪ 클라우드맥주 (Kloud) 마케팅전략 ≫ 클라우드맥주 브랜드분석과 마케팅전략 분석 및 클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