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제 1 절 내용선정의 기준
1. 내용선전의 일반원리
2. 내재적 기준과 외재적 기준
3.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유용성
제 2 절 유용한 지식
1. 생활에 유용한 지식
2. 지적 능력의 개방에 유용한 지식
제 3 절 내재적 가치를 지니는 지식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2. 피터즈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
▶ 나의 느낀 점
제 1 절 내용선정의 기준
1. 내용선전의 일반원리
2. 내재적 기준과 외재적 기준
3.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유용성
제 2 절 유용한 지식
1. 생활에 유용한 지식
2. 지적 능력의 개방에 유용한 지식
제 3 절 내재적 가치를 지니는 지식
1.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2. 피터즈와 허스트의 지식의 형식
▶ 나의 느낀 점
본문내용
습자들로 하여금 지적 안목을 갖게 하는 데 있다. 그것은 학생들을 인간다운 삶의 형식으로 입문시키는 것이다. 피터즈는 그의 동료, 허스트와 함께 지식을 7가지의 형식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지식의 형식은 인간의 경험을 각각의 독특한 개념과 검증방식에 의해서 구분한 것으로서 형식 논리학과 수학, 자연과학,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감정에 관한 이해, 도덕적 판단, 심미적 경험, 종교적 주장, 철학적 이해 등이다. 그들에 의하면 교과는 이 7가지의 지식의 형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나의 느낀 점
나는 제 4장 교과교육내용의 선정을 요약정리 하면서 교과에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알게 되어서 개인적으로 뿌듯하였다. 유용한 지식을 많이 안 느낌을 받았다. 또한, 지식의 내적인 정당화와 외재적 정당화에 따른 지식의 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과내용 선정에 있어서 내재적 가치의 피터즈와 허스트에 대한 지식의 구조와 지식의 형식에 대해서 알아 볼 수 있어 좋았다. 지식의 가치는 주관적이라 어느 것이 옳거나 좋거나를 따질 수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우리는 좀 더 나은 지식을 교과에 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관심이 더 필요하다고 느꼈다.
▶ 나의 느낀 점
나는 제 4장 교과교육내용의 선정을 요약정리 하면서 교과에 내용을 선정하는 기준에 대해서 자세히 알게 되어서 개인적으로 뿌듯하였다. 유용한 지식을 많이 안 느낌을 받았다. 또한, 지식의 내적인 정당화와 외재적 정당화에 따른 지식의 가치의 차이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과내용 선정에 있어서 내재적 가치의 피터즈와 허스트에 대한 지식의 구조와 지식의 형식에 대해서 알아 볼 수 있어 좋았다. 지식의 가치는 주관적이라 어느 것이 옳거나 좋거나를 따질 수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우리는 좀 더 나은 지식을 교과에 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관심이 더 필요하다고 느꼈다.
추천자료
[교과교육론 (A+완성)] 통합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 기술 및 교육계획안의 구체적 작성
[교과교육론A] 표준보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
[교과교육론B]표준보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영...
[교과교육론C]표준보육과정(사회관계, 의사소통, 신체운동, 예술경험, 자연탐구, 기본생활 영...
《교육학교과교육론 세미나》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을 배우는 목...
[교과교육론3A] 누리과정의 생활주제 1개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만5세를 대상으로 월간, 주...
(교과교육론 3B) 누리과정 생활주제를 선택하여 만 3세를 대상으로 연보육계획안, 월보육(교...
[교과교육론 B형] 누리과정의 생활주제 1개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만3세를 대상으로 월간교...
[교과교육론 H]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 중 \"우리나라\"에 기초한 만 5세 단위활동 교육계획안...
(교과교육론 D)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 중 동식물과 자연에 기초한 만 5세 단위활동 교육계획...
(교과교육론 B)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 중 나와가족에 기초한 만 5세 단위활동 교육계획안을 ...
[교과교육론 C]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 중 우리나라에 기초한 만 5세 단위활동 교육계획안을 ...
방송통신대 교과교육론 과제물
[수학교과교육론] 제4장 문제해결의 심리학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