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매체에 비춰진 성역할의 변화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매체에 비춰진 성역할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는글

2. 대중가요에 비춰진 성역할의 변화

3. 광고에 비춰진 성역할의 변화

4. 드라마에 비춰진 성역할의 변화

5. 결론

본문내용

그 중에서 제품만 나온 광고, 어린이, 청소년, 노인층이 모델로 나온 광고, 광고의 흐름상 주가 되는 모델이 없이 여러 명의 모델이 산발적으로 나오는 광고 507개를 제외하여 분석대상이 된 광고는 총 1097개였다. 그 중에서 여성만이 모델로 나온 광고가 478개(43.6%), 남성만이 모델로 나온 광고가 353개(32.2%), 여성과 남성이 함께 나온 광고가 266개(24.2%)였다. 이는 최근 광고에서 남성보다는 여성이 다소 많이 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고 해서 꼭 여성의 소비계층 변화만 있는 것은 아니다.
5. 광고 비교 분석
1) 광고 속의 포커스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변화
① 자동차
: 옛날 자동차 광고를 보면 단지 자동차 성능 면을 우선으로 하여 광고 포인트를 잡았다
그이유는 자동차는 생활을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도구이여서 얼마나 성능이 좋은지 얼마나 오래 갈 것인지 단지 이런 것만 생각 하였다. 그건 자동차는 생계수단의 도구 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가정의 생계를 이끌어 가는 사람은 남성이었고, 당연히 소비의 주체가 남성이라는 전제하에 광고는 제작 되었다. 그리고 남성들은 자동차는 생계수단의 도구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성능 면을 우선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면서 자동차는 자연스럽게 남성을 상징하는 매개체가 되여 갔다.
그러나 현재의 자동차 광고는 사뭇 다르다 그건 자동차의 소비 주체와 용도가 바꿔 가고 있다는 것이다.
예전과 다르게 자동차는 생계수단의 하나가 아닌 부의 상징이 되였고 또 여기서 여성의 지위가 올라가서 부의 상징인 자동차를 사용하는 여성계층이 많이 증가 하였다. 그래서 광고의 포커스도 예전의 남성이 원하는 자동차의 성능이 아닌 여성의 욕구를 채워주는 하나의 도구로 포커스로 맞혀가서 소비의 주체가 되어가는 여성들에게 소비 용구를 촉진 시키는데 포커스를 마쳐가고 있다.
② 술
예전의 술의 소비의 주체는 회사업무를 주로 보는 남성들이었습니다. 그러면서 당연히 포커스가 남성들 위주로 맞추어 갔습니다.
하지만 지금 소비의 주체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확대되고 있어 여성의 소비층이 증가 했다는 것이다 . 이건 여성들도 사회의 생활을 많이 하고 예전과는 다르게 술자리를 갖게 되는 기회가 많아 졌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그래서 광고의 포커스가 원래 술의 소비주체인 남성이 아닌 가장 소비의 변동이 많은 여성에게 맞혀가고 있다.
이 또한 여성이 사회진출빈도와 비중이 높아 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대중매체 속에서 광고자의 주인공 여성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2) 광고속의 포커스가 여성에서 남성으로 변화
① 화장품
예전부터 화장품모델은 여성이었다 .그 이유는 화장품의 소비주체는 여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도 여전히 화장품의 대부분의 소비 주체는 여성이다.
하지만 지금은 남성이 화장품의 광고 모델로 많이 나오고 있다. 이건 소비의 주체가 변했다는 것이 아니다. 술 광고처럼 원래 소비계층인 여성이 아닌 남성의 소비 계층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건 사회에서 미를 가꾸는 사람은 여성이었지만 남성도 점점 미에 관심을 두고 있고 남성도 꾸며야지만 된다는 분위기와 요즘사회의 꽃미남 열풍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광고속의 주인공으로 남성이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 드라마
대중매체 중에서도 TV의 드라마는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시대흐름의 경향이나 모든 것이 가상적이긴 하나 드라마에서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현실감 있게 상황들을 설정해서 시청자들의 공감을 사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그 특성상 드라마는 우리들의 생활을 반영하기도 혹은 우리 생활 그 자체를 드라마 속에서 따라하려는 경향도 있다. 특히 여성들의 드라마 시청률이 상대적으로 남자들 보다 높은 통계치를 빌어 드라마가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다. 과연 이 드라마들은 우리의 현실을 투영하는지 그리고 그 속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의 역할이 과연 어떻게 비춰지는지 검토하고 성역할 변화를 알아보자. 우선 인지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 우리나라 드라마들은 과연 여성을 어떻게 비춰내고 있는지 가정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그것을 인지해야 드라마 속에서 그동안 남성의 혹은 여성의 모습들에서 역할 변화를 쉽게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다.
1. 우리나라 드라마속의 여성상
- 순종적인 아내는 사랑받지만 자기주장이 강한여성은 갈등제공자로 귀결된다.
- 대체로 사회적인 일을 하는 여자는 부정적으로 그려진다.
- 어머니는 헌신적인 여성으로 그려진다.
- 때때로 어머니는 주책스럽고 허영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 결혼하지 않은 딸은 철부지로 그려진다.
- 결혼한 여성은 효녀로 그려진다.
- 순종하는 며느리는 효부형으로 그려진다.
- 순종하지 않는 며느리는 악한 여자로 그려진다.
- 유순한 순종형이 이상형으로 그려진다.
- 자아실현형의 여성은 악녀로 그려진다.
- 친구 같은 여성은 매력 없는 존재로 그려진다.
- 전문직 여성의 묘사는 그들의 애환보다는 성공결과만을 강조한다.
- 여성들은 직업보다는 사적인 관계인 주로 몰두한다.
2. 우리나라 드라마속의 남성상.
- 아버지는 집안을 위해 경제력을 담당하고 가부장적 권력을 행사한다.
- 아버지는 위엄 있고 집안의 모든 상황을 결론지을 수 있는 역할을 맡고 있다.
- 능력이 없는 남자는 부정적으로 그려진다.
- 남성은 여성을 바라보는 존재로 그려진다.
- 남성은 사회적이고 무거운 주제를 다루는 장면에서 주체를 담당한다.(정치,경제 등)
- 주인공 남성은 자아실현적이고 목표를 완수하는 형이다.
- 주인공 남성은 사회헌신적이고 대의를 부르짖는 역할이다.
3. 드라마 분석
1) 사랑을 그대품안에(1994)
94년도에 방송된 차인표와 신애라가 주연한 MBC 드라마인데, 차인표가 백화점 이사로, 신애라가 백화점 점원역할로 나오는 드라마다. 차인표가 백화점 회장의 아들인데, 아버지가 죽고 사촌형인 천호진이 자신의 장인과 결탁해서 백화점을 차지하려는 극 중 내용이다. 이승연은 원래는 차인표와 연인 사이였으나, 천호진과 결혼해서 불행한 나날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역시 여기서 드라마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연인을 버리고 부와 명예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11.26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30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