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4. 국어의 보조용언을 모아 본용언과 구별되는 특징을 기능과 의미의 측면에서 논의하라.
5.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이른바 존재사의 활용상의 특징을 현대어와 중세어의 자료를 중심으로 논하라.
7. 이른바 변칙활용에 대한 전통문법가와 생성문법가의 논의를 종합하여 각 이론의 특징을 논하라.
5. 동사, 형용사, 서술격조사, 이른바 존재사의 활용상의 특징을 현대어와 중세어의 자료를 중심으로 논하라.
7. 이른바 변칙활용에 대한 전통문법가와 생성문법가의 논의를 종합하여 각 이론의 특징을 논하라.
본문내용
방식
⑤ 명령형청유형 : 있어라있자 - 동사의 활용방식 / 없어라없자(×) - 형용사의 활용방식
<「초급국어문법」이희승, 1949, 박문출판사 >
1) 종결어미가 붙을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평서형
의문형
감탄형
평서형
의문형
감탄형
동사
먹는다
먹느냐
먹는구나
주ㄴ다
주느냐
주는구나
형용사
맑×다
맑으냐
맑×구나
희×다
희×냐
희×구나
존재사
있×다
있느냐
있×구나
계시×다
계시×냐
계시×구나
2) 연결어미가 붙을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연결어미 ‘-지’
연결어미 ‘-데’
연결어미 ‘-지’
연결어미 ‘-데’
동사
먹는지
먹는데
주는지
주는데
형용사
맑은지
맑은데
희ㄴ지
흰ㄴ데
존재사
있는지
있는데
계시는(ㄴ)지
계시는(ㄴ)데
3)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붙을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현재
미래
과거
과거미완
현재
미래
과거
과거미완
동사
먹는 밥
먹을 밥
먹은 밥
먹든 밥
주는 돈
주ㄹ 돈
주ㄴ 돈
주든 돈
형용사
맑은 물
맑을 물
맑든 물
희ㄴ 옷
희ㄹ 수
희든 옷
존재사
있는 사람
있을 사람
있든 사람
계시ㄴ 어른
계시는 어른
계시ㄹ 어른
계시든 어른
4) 명사형으로 전성하는 경우
-음
-기
-ㅁ
-기
동사
먹음
먹기
줌
주기
형용사
맑음
맑기
흼
희기
존재사
있음
있기
계심
계시기
5) 부사형으로 전성하는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어
-게
-고
-지
-어
-게
-고
-지
동사
먹어 본다
먹게 한다
먹고 싶다
먹지 마라
주어 둔다
주게 한다
주고 싶다
주지 않는다
형용사
맑어 간다
맑게 한다
맑지 않다
희어 간다
희게 한다
희지 않다
존재사
있어 준다
있게 한다
있고 싶다
있지 않다
계시어 주시오
계시게 한다
계시고 싶습니까
계시지 않다
7. 이른바 변칙활용에 대한 전통문법가와 생성문법가의 논의를 종합하여 각 이론의 특징을 논하라.
1> 어간의 불규칙성
1) ‘ㅅ’ 불규칙활용
(1) 학교문법 : \'\' 불규칙용언은 대부분 음장을 가지고 있으며, \'\' 규칙용언은 그 반대인 것으로 알 려져 있다. \'\' 불규칙용언이 모음어미와 결합되면 음장은 상실된다.
(2) 생성문법가 : 생성음운론에 기울어진 사람들은 추상적인 기저음운을 설정함으로써 전통적인 불규칙활용을 규칙활용으로 해석하고 있다.
① 김진우 : 불규칙용언의 \'\'의 음가를 무성음 /s/로 보고 그것이 모음사이에서 유성음 /z/로 바뀌어 탈락된다는 견해이다. 이에 따르면 규칙용언의 \'\'은 \', , \'과 같은 유기음 계열이고, 불규칙용언의 \'\'은 \', , \'와 같은 평음이라는 것이다. ‘ㅂ, ㄷ, ㄱ’이 유성은/b,d,g/로 바뀌는 것이 규칙활용이듯이 무성음 /s/가 /z/로 바뀌어 탈락되는 것 또한 규칙적이라고 설명한다.
「한국언어문학」김진우
규칙적인 ㅅ을 격음으로 보고 변격적인 x를 평음으로 본다. 그 이유는 음성학적으로 우리말의 ㅅ이 IPA(국제음성기호)의 [s]와는 좀 달리 氣性(reathiness, aspiration)을 띄고 있으며, 音韻論的으로는 ㅂㄱㄷㄴ[p,k.t.c]이 有聲音 사이에서 有聲化되어 [b,g,k,j]가 각기 되는데, 유독 ㅅ만은 같은 위치에서 [z]로 有聲音化하지 않으니 ㅅ은 lax[平音]계열에보다는 aspirated(激音)계열에 속하는 듯싶다.
이렇게 ㅅ을 激音계열에 속한다고 보면 有聲音化 규칙에 예외가 없게 되며, 그 대신 平音계열에 x音韻을 설정함으로써 체계상의 구멍을 없애는 동시, ㅅ변격에 속하는 ㅅ을 특유하게 ㅌ로서 지시할 수 있다. 이 x陰雲은 치음(잇몸소리)인만큼, 자음 앞에선 閉口調音原則에 따라 同位의 微波裂音인 ㄷ으로 바뀌니까 잇다/is-ta/, 잇고/is-ko가
⑤ 명령형청유형 : 있어라있자 - 동사의 활용방식 / 없어라없자(×) - 형용사의 활용방식
<「초급국어문법」이희승, 1949, 박문출판사 >
1) 종결어미가 붙을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평서형
의문형
감탄형
평서형
의문형
감탄형
동사
먹는다
먹느냐
먹는구나
주ㄴ다
주느냐
주는구나
형용사
맑×다
맑으냐
맑×구나
희×다
희×냐
희×구나
존재사
있×다
있느냐
있×구나
계시×다
계시×냐
계시×구나
2) 연결어미가 붙을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연결어미 ‘-지’
연결어미 ‘-데’
연결어미 ‘-지’
연결어미 ‘-데’
동사
먹는지
먹는데
주는지
주는데
형용사
맑은지
맑은데
희ㄴ지
흰ㄴ데
존재사
있는지
있는데
계시는(ㄴ)지
계시는(ㄴ)데
3)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붙을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현재
미래
과거
과거미완
현재
미래
과거
과거미완
동사
먹는 밥
먹을 밥
먹은 밥
먹든 밥
주는 돈
주ㄹ 돈
주ㄴ 돈
주든 돈
형용사
맑은 물
맑을 물
맑든 물
희ㄴ 옷
희ㄹ 수
희든 옷
존재사
있는 사람
있을 사람
있든 사람
계시ㄴ 어른
계시는 어른
계시ㄹ 어른
계시든 어른
4) 명사형으로 전성하는 경우
-음
-기
-ㅁ
-기
동사
먹음
먹기
줌
주기
형용사
맑음
맑기
흼
희기
존재사
있음
있기
계심
계시기
5) 부사형으로 전성하는 경우
받침 있는 어간 아래
받침 없는 어간 아래
-어
-게
-고
-지
-어
-게
-고
-지
동사
먹어 본다
먹게 한다
먹고 싶다
먹지 마라
주어 둔다
주게 한다
주고 싶다
주지 않는다
형용사
맑어 간다
맑게 한다
맑지 않다
희어 간다
희게 한다
희지 않다
존재사
있어 준다
있게 한다
있고 싶다
있지 않다
계시어 주시오
계시게 한다
계시고 싶습니까
계시지 않다
7. 이른바 변칙활용에 대한 전통문법가와 생성문법가의 논의를 종합하여 각 이론의 특징을 논하라.
1> 어간의 불규칙성
1) ‘ㅅ’ 불규칙활용
(1) 학교문법 : \'\' 불규칙용언은 대부분 음장을 가지고 있으며, \'\' 규칙용언은 그 반대인 것으로 알 려져 있다. \'\' 불규칙용언이 모음어미와 결합되면 음장은 상실된다.
(2) 생성문법가 : 생성음운론에 기울어진 사람들은 추상적인 기저음운을 설정함으로써 전통적인 불규칙활용을 규칙활용으로 해석하고 있다.
① 김진우 : 불규칙용언의 \'\'의 음가를 무성음 /s/로 보고 그것이 모음사이에서 유성음 /z/로 바뀌어 탈락된다는 견해이다. 이에 따르면 규칙용언의 \'\'은 \', , \'과 같은 유기음 계열이고, 불규칙용언의 \'\'은 \', , \'와 같은 평음이라는 것이다. ‘ㅂ, ㄷ, ㄱ’이 유성은/b,d,g/로 바뀌는 것이 규칙활용이듯이 무성음 /s/가 /z/로 바뀌어 탈락되는 것 또한 규칙적이라고 설명한다.
「한국언어문학」김진우
규칙적인 ㅅ을 격음으로 보고 변격적인 x를 평음으로 본다. 그 이유는 음성학적으로 우리말의 ㅅ이 IPA(국제음성기호)의 [s]와는 좀 달리 氣性(reathiness, aspiration)을 띄고 있으며, 音韻論的으로는 ㅂㄱㄷㄴ[p,k.t.c]이 有聲音 사이에서 有聲化되어 [b,g,k,j]가 각기 되는데, 유독 ㅅ만은 같은 위치에서 [z]로 有聲音化하지 않으니 ㅅ은 lax[平音]계열에보다는 aspirated(激音)계열에 속하는 듯싶다.
이렇게 ㅅ을 激音계열에 속한다고 보면 有聲音化 규칙에 예외가 없게 되며, 그 대신 平音계열에 x音韻을 설정함으로써 체계상의 구멍을 없애는 동시, ㅅ변격에 속하는 ㅅ을 특유하게 ㅌ로서 지시할 수 있다. 이 x陰雲은 치음(잇몸소리)인만큼, 자음 앞에선 閉口調音原則에 따라 同位의 微波裂音인 ㄷ으로 바뀌니까 잇다/is-ta/, 잇고/is-ko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