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삼국시대 부터 현대 불교까지 순서대로..
본문내용
하는 등 몇 가지 억압책을 시행했다. 이에 따라, 유생 가운데에는 사원을 습격하고 폭행을 가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그 뒤 연산군도 처음에는 한 대비(연산군의 조모)와 함께 불교를 숭상하여 사원을 재건하고 해인사의 <대장경>을 8천여 권이나 간행하였지만, 대비가 죽은 뒤에는 서울의 승려들을 다 지방으로 내쫓고, 시중의 사원들을 폐쇄하고, 과거법에 있어서는 승과를 폐지하는 등 가혹한 탄압을 행하였다. 이때에 사원과 승려가 많이 줄었을 뿐 아니라, 승려들은 사회적으로 천대받게 되고 사원은 국가에서 아무 보호도 받지 못하게 되었다. 이런 탄압은 중종 때도 심해져서, 승려들은 흔히 국가의 큰 토목공사 따위에 동원되어 일하게 되고, 사원이 더 많이 폐쇄되었다. 그러나 명종 초에는 윤대비(중종의 왕비, 문정대비)가 불교를 숭상했으므로 마침 수렴 청정하게 된 기회에 승려 보우를 금강산에서 데려다 서울 봉은사에 두고, 승과를 다시 설치하고, 사원 및 승려들을 다시 늘이려 하였다. 이로써 불교는 별안간 부흥할 기세를 보였으나, 대비가 죽자마자 유신들이 들고 일어나 보우를 잡아 죽이고, 승과를 다시 없애고, 사원 및 승려들 전체에 대해 혹심한 탄압을 가했다. 이런 경향은 그 뒤 선조 때에도 되풀이되었지만, 대체로 조선 시대 전기에는 왕이나 궁중의 여자들이 부교를 숭상하였으므로, 승려들은 왕족의 도움을 받아서 불교 세력을 다시 일으키려고 꾸준히 노력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당시의 유학자들은 유교이외의 다른 종교 사상 및 학문을 절대로 용납하지 않았으므로, 기회만 있으면 왕에게 불교 탄압을 요구하였다. 이 때문에 조선 시대의 사원이나 승려들은 거의 다 산으로 숨고, 그 교세는 나날이 쇠퇴하였으며, 불교 자체는 일종의 민간신앙처럼 경시당하였다.
⑷불교의 일원화
그런 가운데 이름난 승려로 알려진 이들은. 태조의 국사였던 자초(무학대사), 세종과 세조의 불경 간행 사업을 도운 신미, 중종 때 지리산에서 선종,교종을 다 닦던 지엄과 그 제자 일선 영관, 선조 때 의병 활동으로서 주목을 끈 휴정(서산대사)과 그 제자 유정(사명당)등이다. 그리고 종래에 선종 교종의 구별이 있던 우리나라 불교는 위의 지엄 때부터 통합될 기미를 보이다가 휴정 때부터는 마침내 조계종으로 일원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7 . 현대 한국의 불교
<새로운 한국불교>
1945년 제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어 대한민국이 독립을 하면서 한국불교는 일본불교의 지배와 그 영향권을 부정하고 새로운 의미로서의 불교를 부흥시켜갔다. 즉 1945년 10월에는 전국승려대회를 열고 일제의 사찰령과 조계종 총본산인 태고사의 사찰법 및 31 본산 말사법 등을 전면적으로 폐지하고 새로운 한국불교의 종교법헌을 제정할 것을 결정했다. 그리하여 중앙에는 한국 불교 총무원을 두고 지방의 각도에는 교무원을 두어 전국사원을 통괄했다.
1950년 6-25 전란으로 인하여 유명한 사찰이 많이 소실되고 전란 후 불교도들 사이에는 자각적 소리가 높아감에 따라 한국불교는 주체와 자립의 길을 본격적으로 걷기 시작했다. 그로 인한 첫걸음은 대처승의 추방이었다. 한국 불교의 역사적 전통에서 보면 승려가 계율을 엄수하였다. 승려가 대처를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지만, 일본 불교의 영향으로 일제 시대에는 대처하는 승려와 축첩하는 승려가 배출되어 조계종의 전통이 파되되었다. 그리하여 우선 대처승을 추방하고 사원의 생활을 바르게 하는 정화운동에 착수했다.
현재 한국의 불교종파는 조계종에서 분리된 태고종이 있고, 신흥종파로서 원불교, 진각종, 원효종, 천태종, 용화종, 미륵종, 용화동승회, 용화불사, 대동불교신흥회, 미륵정심교 등 많은 교단이 설립되었다.
⑷불교의 일원화
그런 가운데 이름난 승려로 알려진 이들은. 태조의 국사였던 자초(무학대사), 세종과 세조의 불경 간행 사업을 도운 신미, 중종 때 지리산에서 선종,교종을 다 닦던 지엄과 그 제자 일선 영관, 선조 때 의병 활동으로서 주목을 끈 휴정(서산대사)과 그 제자 유정(사명당)등이다. 그리고 종래에 선종 교종의 구별이 있던 우리나라 불교는 위의 지엄 때부터 통합될 기미를 보이다가 휴정 때부터는 마침내 조계종으로 일원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7 . 현대 한국의 불교
<새로운 한국불교>
1945년 제 2차 세계대전이 종식되어 대한민국이 독립을 하면서 한국불교는 일본불교의 지배와 그 영향권을 부정하고 새로운 의미로서의 불교를 부흥시켜갔다. 즉 1945년 10월에는 전국승려대회를 열고 일제의 사찰령과 조계종 총본산인 태고사의 사찰법 및 31 본산 말사법 등을 전면적으로 폐지하고 새로운 한국불교의 종교법헌을 제정할 것을 결정했다. 그리하여 중앙에는 한국 불교 총무원을 두고 지방의 각도에는 교무원을 두어 전국사원을 통괄했다.
1950년 6-25 전란으로 인하여 유명한 사찰이 많이 소실되고 전란 후 불교도들 사이에는 자각적 소리가 높아감에 따라 한국불교는 주체와 자립의 길을 본격적으로 걷기 시작했다. 그로 인한 첫걸음은 대처승의 추방이었다. 한국 불교의 역사적 전통에서 보면 승려가 계율을 엄수하였다. 승려가 대처를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지만, 일본 불교의 영향으로 일제 시대에는 대처하는 승려와 축첩하는 승려가 배출되어 조계종의 전통이 파되되었다. 그리하여 우선 대처승을 추방하고 사원의 생활을 바르게 하는 정화운동에 착수했다.
현재 한국의 불교종파는 조계종에서 분리된 태고종이 있고, 신흥종파로서 원불교, 진각종, 원효종, 천태종, 용화종, 미륵종, 용화동승회, 용화불사, 대동불교신흥회, 미륵정심교 등 많은 교단이 설립되었다.
추천자료
한국불교 세계화를 위한 조건
한국불교는 회통불교인가? (불교)
의복의 변천사 이해(상고시대, 삼국시대 , 신라시대 ,고려시대....)
한국불교와 무속
[삼국시대][고려시대][귀족제][고려]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귀족제(귀족의 출현, 신분구조와 ...
[불교][불교사상][무속][불교미술][불교건축][불교출가][한국불교]불교와 불교사상 심층 고찰...
한국불교 비구니 활동의 역사적 고찰
(A+, 교육학) 삼국시대의 교육기관의 특징
(A+, 교육학) 삼국시대의 교육기관의 특징
우리 역사 속의 호랑이 [호랑이는 무엇인가][우리 민족 속의 호랑이][고대시대의 호랑이][삼...
[독후감] 임용한의 <전쟁의 역사, 삼국시대>를 읽고
우리 춤의 역사 &#8211;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시대의 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