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기업개요
2.해외진출 국가 분석
2-1.미국
2-2.중국
2-3.인도
2-4.유럽
3.해외사업망 구축현황
4.해외진출의 영향력 분석
4-1.해외진출의 장단점
4-2.해외진출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4-3.해외진출이 투자수용국에 미치는 영향
Ⅲ.결론
Ⅱ.본론
1.기업개요
2.해외진출 국가 분석
2-1.미국
2-2.중국
2-3.인도
2-4.유럽
3.해외사업망 구축현황
4.해외진출의 영향력 분석
4-1.해외진출의 장단점
4-2.해외진출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4-3.해외진출이 투자수용국에 미치는 영향
Ⅲ.결론
본문내용
동안 당초목표 10만 대를 배 초과하는 20만여 대의 「포니 엑셀(프레스토)」을 판매하여 「1986년 미국 내 자동차 판매자동차 베스트 10」에 들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품질과 애프터서비스 문제가 돌출되어 일단 시장 진출에서는 우수한 가격 경쟁력으로 성공하기는 했지만 「싸구려 한국차」라는 이미지를 미국인들에게 강력히 인상 지워준 모델이 되고 말았다.
그러다가 현대 자동차가 미국인들에게 다시 어필하기 시작한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10년 10만 마일 warranty(보증)」가 가장 큰 힘을 발휘했다. 현대 자동차가 실제로 「10년 워런티」를 시작한 것은 1998년 하반기부터였다. 1999년 한해 동안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자, 2000년부터 대대적인 광고를 시작해서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졌던 것이다. 경쟁국가와 동종업체의 평가절하에도 불구하고 현대 자동차의 「10년 10만 마일 워런티」 마케팅 전략은 미국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1998년 17만 대에 불과하던 판매량은 1999년 30만 대, 2000년 40만 대, 2001년 57만 대로 매년 수십%씩 늘어났다. 3년 만에 330%의 폭발적인 증가세다. 이에 따라 시장점유율도 1998년 1.1%에서 1.77%, 2.33%, 3.32%로 높아졌다. 이처럼 현대자동차의 대미수출에 있어 가장 큰 원동력은 품질의 개선이었다. 미국의 JD POWER 社가 발표하는 소비자 만족도 지수에서 뉴EF 소나타는 초기구입형 중형차(저가 중형차) 부문에서 1위 평가를 받았고, 싼타페는 저가 SUV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신제품을 중심으로 한 현대 자동차의 전반적인 품질향상은 미국시장에서의 성공요인이 된 것이다.
2-2.중국
1) 국가 조사
a. 면적 : 959만 7천㎢ (한반도의 43.2배)
b. 인구 : 12억 9,9887만명 (2004년)
c. GDP(2004년기준) : 136,515(억元)
d. 경제성장률 : 9.5%
e. 교역규모 : 수출 3,423.4억$ , 수입 3,026.9억$
2) 시장조사
a. 경제전망
현재 중국의 경제는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00년 이후 8~9%의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으며, 2050년경에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타나고 있다. (골드만삭스 브리지 리포트)
b. 자동차시장수요전망
2004년 일인당 국민 소득 또한 1000달러를 넘게 되면서 중국은 새로운 시장으로 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중국 동부의 발전한 몇 도시국민들의 일인당 소득이 3000달러를 넘으면서 개인 자가용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라는 제품의 특성상 1000만원을 넘으면 시장이 형성되고 3000만원을 넘으면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중국은 자동차의 최고의 수요지가 될 것이다.
c. 자동차시장규모
2003년 자동차 총수요가 445만대를 돌파하면서 30%이상의 고속성장을 보이면서 세계 제3위의 자동차 소비국가가 되었다.
d. 자동차시장점유율
중국자동차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10% 넘는 VW, GM, 도요타 3개 자동차 메이커로 현재 31%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폭스바겐의 경우 상해VW, 일기 VW를 집중 육성하면서 승용차 부문의 30%를 점유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GM의 경우 현재 55만대의 생산능력을 보유 현재 한국에서 주력 모델로 하고 있는 GM대우의 라세티(Exelle), 마티스(spark)를 도입하고 있으며 도요타는 현재 소형차 위주이지만 중대형차급으로 진출을 하려하고 있다.
VW, GM, 도요타가 3강이면 혼다, 닛산, 현대자동차는 3중으로 현재 활발한 신차투입을 통한 시장 확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혼다는 광주기차에서 어코드, 오디세이를 생산하고 있으며 닛산은 동풍기차그룹화 제휴를 하여 블루버드, 서니를 생산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가장 늦게 시장에 진입했지만 1년 만에 5만대를 생산하는 등의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피아트, 포드 등이 중국에 진출해 있지만 그렇게 활발한 시장 공략을 하고 있지는 못하다.
e. 소비자 기호
중국 소비자들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기 보다는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는 영조성을 띤다. 그리고 브랜드 네이밍의 비중이 큰 편이라 중문으로 된 것과 단문의 네이밍을 선호하는 편이며 원산지 효과가 커서 국가 이미지와 상품의 계열도 중요하게 여긴다.
f. 중국자동차 시장의 특이한 요소
자동차 시장의 양극화
가장 눈에 띄는 시장 특성은 가격의 양극화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각 기업들이 과도한 경쟁을 하면서 올해에도 외국계 자동차들은 약 10%의 가격인하를 감행할 것으로 분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의 가격하락이 있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고가 전략을 펼치고 있는 자동차의 판매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롤스로이스와 그 외의 억대를 호가하는 자동차가 매년 몇 십대나 팔리는 가하면 저가공략을 한 외국자동차들이 도리어 팔리지 않는 양극화된 자동차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가격 하락의 심화
앞서 언급을 했듯이 중국에서의 가격하락은 매우 심한 것으로 분석이 되고 있다. 몇 고급 브랜드를 제외한 기업들 모두가 가격을 절하시키고 있으며 실제로 새로운 기종의 차를 할인하여 파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모방제품의 난립
취약한 지적재산권 보호와 자동차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다른 업종기업의 자동차 시장 진입의 과열에 따라 성공을 하고 있는 외국자동차의 디자인 또는 기술을 도용하는 예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GM은 자사의 디자인을 모방한 제품으로 인하여 고생을 하고 있다고 하며 닛산도 비슷한 경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대자동차의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요인
a. 한중협력의 강점
유사한 문화적 배경, 지리적 위치, 유사한 발전단계 등을 바탕으로 상호보완
b. 중국소비자의 수요충족
중국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제품 : 쏘나타, 엘란트라, 투싼 등
지속적인 현지화 : 지속적인 품질개선으로 중국소비자의 기대에 부응
세계 첨단기술로 제작 : 중국 소비자 중시
엄격한 품질관리 : 세계적인 품질
그러다가 현대 자동차가 미국인들에게 다시 어필하기 시작한 것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10년 10만 마일 warranty(보증)」가 가장 큰 힘을 발휘했다. 현대 자동차가 실제로 「10년 워런티」를 시작한 것은 1998년 하반기부터였다. 1999년 한해 동안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자, 2000년부터 대대적인 광고를 시작해서 일반인에게 널리 알려졌던 것이다. 경쟁국가와 동종업체의 평가절하에도 불구하고 현대 자동차의 「10년 10만 마일 워런티」 마케팅 전략은 미국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다. 1998년 17만 대에 불과하던 판매량은 1999년 30만 대, 2000년 40만 대, 2001년 57만 대로 매년 수십%씩 늘어났다. 3년 만에 330%의 폭발적인 증가세다. 이에 따라 시장점유율도 1998년 1.1%에서 1.77%, 2.33%, 3.32%로 높아졌다. 이처럼 현대자동차의 대미수출에 있어 가장 큰 원동력은 품질의 개선이었다. 미국의 JD POWER 社가 발표하는 소비자 만족도 지수에서 뉴EF 소나타는 초기구입형 중형차(저가 중형차) 부문에서 1위 평가를 받았고, 싼타페는 저가 SUV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신제품을 중심으로 한 현대 자동차의 전반적인 품질향상은 미국시장에서의 성공요인이 된 것이다.
2-2.중국
1) 국가 조사
a. 면적 : 959만 7천㎢ (한반도의 43.2배)
b. 인구 : 12억 9,9887만명 (2004년)
c. GDP(2004년기준) : 136,515(억元)
d. 경제성장률 : 9.5%
e. 교역규모 : 수출 3,423.4억$ , 수입 3,026.9억$
2) 시장조사
a. 경제전망
현재 중국의 경제는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000년 이후 8~9%의 높은 경제성장을 달성하고 있으며, 2050년경에는 미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타나고 있다. (골드만삭스 브리지 리포트)
b. 자동차시장수요전망
2004년 일인당 국민 소득 또한 1000달러를 넘게 되면서 중국은 새로운 시장으로 등장을 하고 있다. 특히 중국 동부의 발전한 몇 도시국민들의 일인당 소득이 3000달러를 넘으면서 개인 자가용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라는 제품의 특성상 1000만원을 넘으면 시장이 형성되고 3000만원을 넘으면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중국은 자동차의 최고의 수요지가 될 것이다.
c. 자동차시장규모
2003년 자동차 총수요가 445만대를 돌파하면서 30%이상의 고속성장을 보이면서 세계 제3위의 자동차 소비국가가 되었다.
d. 자동차시장점유율
중국자동차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10% 넘는 VW, GM, 도요타 3개 자동차 메이커로 현재 31%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폭스바겐의 경우 상해VW, 일기 VW를 집중 육성하면서 승용차 부문의 30%를 점유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GM의 경우 현재 55만대의 생산능력을 보유 현재 한국에서 주력 모델로 하고 있는 GM대우의 라세티(Exelle), 마티스(spark)를 도입하고 있으며 도요타는 현재 소형차 위주이지만 중대형차급으로 진출을 하려하고 있다.
VW, GM, 도요타가 3강이면 혼다, 닛산, 현대자동차는 3중으로 현재 활발한 신차투입을 통한 시장 확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혼다는 광주기차에서 어코드, 오디세이를 생산하고 있으며 닛산은 동풍기차그룹화 제휴를 하여 블루버드, 서니를 생산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가장 늦게 시장에 진입했지만 1년 만에 5만대를 생산하는 등의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피아트, 포드 등이 중국에 진출해 있지만 그렇게 활발한 시장 공략을 하고 있지는 못하다.
e. 소비자 기호
중국 소비자들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하기 보다는 주변 사람들을 인식하는 영조성을 띤다. 그리고 브랜드 네이밍의 비중이 큰 편이라 중문으로 된 것과 단문의 네이밍을 선호하는 편이며 원산지 효과가 커서 국가 이미지와 상품의 계열도 중요하게 여긴다.
f. 중국자동차 시장의 특이한 요소
자동차 시장의 양극화
가장 눈에 띄는 시장 특성은 가격의 양극화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각 기업들이 과도한 경쟁을 하면서 올해에도 외국계 자동차들은 약 10%의 가격인하를 감행할 것으로 분석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의 가격하락이 있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고가 전략을 펼치고 있는 자동차의 판매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롤스로이스와 그 외의 억대를 호가하는 자동차가 매년 몇 십대나 팔리는 가하면 저가공략을 한 외국자동차들이 도리어 팔리지 않는 양극화된 자동차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가격 하락의 심화
앞서 언급을 했듯이 중국에서의 가격하락은 매우 심한 것으로 분석이 되고 있다. 몇 고급 브랜드를 제외한 기업들 모두가 가격을 절하시키고 있으며 실제로 새로운 기종의 차를 할인하여 파는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모방제품의 난립
취약한 지적재산권 보호와 자동차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다른 업종기업의 자동차 시장 진입의 과열에 따라 성공을 하고 있는 외국자동차의 디자인 또는 기술을 도용하는 예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GM은 자사의 디자인을 모방한 제품으로 인하여 고생을 하고 있다고 하며 닛산도 비슷한 경우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현대자동차의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요인
a. 한중협력의 강점
유사한 문화적 배경, 지리적 위치, 유사한 발전단계 등을 바탕으로 상호보완
b. 중국소비자의 수요충족
중국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제품 : 쏘나타, 엘란트라, 투싼 등
지속적인 현지화 : 지속적인 품질개선으로 중국소비자의 기대에 부응
세계 첨단기술로 제작 : 중국 소비자 중시
엄격한 품질관리 : 세계적인 품질
추천자료
대우그룹의 세계경영전략의 허와 실
징기스칸의 경영전략과 리더십
국순당 경영전략
디지털시대의 경영전략
할리데이비슨의 경영전략과 성공요인
란체스터 경영전략을 읽은후
P&G의 경영전략, 사회공헌, 마케팅 분석
현대자동차 경영전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보고서
현대자동차 경영전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글로벌 경영전략 - 휴맥스
<손자병법>의 경영전략 활용 가능성 고찰
[국제경영전략론] 스와치(SWATCH Group)
(경영전략론 4학년 공통) 관련다각화는 비관련 다각화에 비해 성과가 높다라는 견해에 대해 ...
방통대 경영전략론 관련다각화 비관련다각화에 비해 성과가 높다 - 견해에 대한 의견,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