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리학의 근본사상
2. 천명도설
3. 인간의 문제
4. 인간의 길 인
5. 인간의 도리 경
2. 천명도설
3. 인간의 문제
4. 인간의 길 인
5. 인간의 도리 경
본문내용
까지 항상 존재해 왔고 설명되어지려 하였다. 그러나 근대의 이성은 현대에 이르러 우리의 정신과 육체를 마비 시켜놓았고 이성우월주의의 세상이 도래하며 우리의 도덕성과 모습은 갈 길을 잃었다. 또한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해체주의적, 수용주의적 포스트 모더니즘은 다원화와 개별성의 모습을 나타나게 되었는데 더욱더 우리의 정체성을 흔들어 놓았다. 물론 이러한 현상의 부작용에 대하여 말하는 것이다.
<이런 현대 철학적이고 급변하는 모습은 하나의 진화 과정이라고 긍정한다.> 그러나 그 사이에서 우리는 힘들어하고 괴로워하고 있다.
자신의 마음속에는 불쌍한 것을 어여삐 여긴다는 맹자의 말처럼 우리의 본연에는 올바른 맑은 성품이 들어있다고 말한다. 또한 하늘의 모습이 바로 나의 모습(天人合一)이며 사람의 마음속에는 그러한 것들이 내재해있고 우리는 본연의 자세로 나아갈 때 많이 행복 할 수 있다고 한다. 나에 대한 물음 그리고 우리 에 대한 물음에 천명도설은 간략한 설명과 그림으로 많은 답을 던져 줄 수 있을 것이다. 정체성을 찾는 일이야말로 우리가 먼저 해야할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행복이라는 가치조차 불행으로 만드는 사회에서 우리는 보다 깨어있고 정진해야 할것이다.
<이런 현대 철학적이고 급변하는 모습은 하나의 진화 과정이라고 긍정한다.> 그러나 그 사이에서 우리는 힘들어하고 괴로워하고 있다.
자신의 마음속에는 불쌍한 것을 어여삐 여긴다는 맹자의 말처럼 우리의 본연에는 올바른 맑은 성품이 들어있다고 말한다. 또한 하늘의 모습이 바로 나의 모습(天人合一)이며 사람의 마음속에는 그러한 것들이 내재해있고 우리는 본연의 자세로 나아갈 때 많이 행복 할 수 있다고 한다. 나에 대한 물음 그리고 우리 에 대한 물음에 천명도설은 간략한 설명과 그림으로 많은 답을 던져 줄 수 있을 것이다. 정체성을 찾는 일이야말로 우리가 먼저 해야할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행복이라는 가치조차 불행으로 만드는 사회에서 우리는 보다 깨어있고 정진해야 할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