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요 약
ⅱ 목 차
ⅲ 도표자료
Ⅰ 서 론
Ⅱ WTO 가입 이후 中國 流通市場의 변화
1. 中國 流通市場 開放에 따른 변화
2. 中國 消費市場의 특성과 변화
1) 中國 消費市場의 특성
2) 소비구조 및 소비패턴의 변화
Ⅲ 외국 할인점의 中國 진출 현황
1. 中國 로컬 기업 현황
2. 외국계 기업의 中國 流通市場 진출 현황과 전략
3. 한국 기업의 中國 流通市場 진출 현황과 전략
Ⅳ 中國 流通市場 진출 전략
1. SWOT 매트릭스와 진출의 기본방향
1) OS 전략
2) TW 전략
3) OW 전략
4) ST 전략
2. 대형 할인점의 진출 전략
1) 교통수단에 따른 전략
2) 할인점 이용 목적에 따른 전략
Ⅴ. 결 론
Ⅵ. 참고자료
ⅱ 목 차
ⅲ 도표자료
Ⅰ 서 론
Ⅱ WTO 가입 이후 中國 流通市場의 변화
1. 中國 流通市場 開放에 따른 변화
2. 中國 消費市場의 특성과 변화
1) 中國 消費市場의 특성
2) 소비구조 및 소비패턴의 변화
Ⅲ 외국 할인점의 中國 진출 현황
1. 中國 로컬 기업 현황
2. 외국계 기업의 中國 流通市場 진출 현황과 전략
3. 한국 기업의 中國 流通市場 진출 현황과 전략
Ⅳ 中國 流通市場 진출 전략
1. SWOT 매트릭스와 진출의 기본방향
1) OS 전략
2) TW 전략
3) OW 전략
4) ST 전략
2. 대형 할인점의 진출 전략
1) 교통수단에 따른 전략
2) 할인점 이용 목적에 따른 전략
Ⅴ. 결 론
Ⅵ. 참고자료
본문내용
요성시
가구당
평균수입
가처분소득
주요성시
가구당
평균소득
가처분소득
北京
1632.23
1467.88
山東省
978.11
909.92
天津
1109.35
1026.40
廣東省
1311.81
1185.65
上海
1689.15
1511.78
海南省
688.93
640.54
江蘇省
1120.59
1035.64
福建省
1085.59
998.45
자료원 : 中國國家統計局(www.stats.gov.cn)
2) TW 전략
TW 전략 핵심사항으로는 현지인과의 팀워크을 이뤄 中國 소비자 기호에 맞는 차별화된 마케팅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한 현지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촉진해야 할 것이다.
첫째, 中國전문 인력의 양성과 현지인 채용이 바람직하다. 中國 진출 사업에서는 단순히 판매뿐만이 아니라 생산, 재무, 인사, 마케팅 등의 기능까지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지식에 능통한 인재의 육성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스스로 유망인재를 선정하여 현지사업에서 필요한 현지언어, 제도, 관행, 문화, 역사, 지리 등 폭넓은 지식들을 체득하게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인재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업무 수행 상 사회주의 관행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中國지역의 경우 中國 전문 인력의 육성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현지화는 기업 규모나 사업형태에 따라서 상이한 전략적 관리적 차원에서의 방안이 마련 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내수 위주 기업들은 부가가치 활동의 현지 이전을 확대하고, 현지 자회사의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위주의 기업들은 부가가치 활동의 제한적인 현지 이전과 본사 차원에서 통합조정 및 의사결정 권한 강화가 효율적이다. 그리고 대기업들은 중간관리자의 현지인 채용 확대와 본사 기업문화 및 제도를 적극 이식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현지의 특유한 관리기능을 중시해 현지인 채용을 확대하고 공식화된 규정과 절차를 중시해야 한다. 아울러 능력 위주의 보상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매일경제 (2003년12월30일)
둘째, 현지 근로자의의 유대강화를 위한 계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한국기업이 中國 시장에 진입할 때 “인력의 현지화”로 현지 종업원들에 대한 매너, 서비스 정신, 상품 및 유통업에 대한 지식 등에 대해 사전에 충분한 교육 및 훈련 실시해야 한다. 또한 현지화의 이유로는 인건비를 절감과 中國 현지인은 현지 언어가 완벽하고 문화와 관습을 깊이 이해하기 때문에 시장의 수요를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고 업무 확대시 현지와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 현재 많은 외자기업이 中國 시장에 진출할 때 적합성을 검토하지 않은 채 본국의 기업 문화와 제도를 中國의 외자기업에 직접 적용시키는 바람에 현지 직원들의 반감과 문화적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실 中國은 지방마다 처해진 환경이 다르므로, 한국기업은 우선 中國 현지인과 교육과 대화를 통하여 직원들을 훈련시키고, 中國과 한국의 직원이 모두 하나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업무 연계시 문화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체험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3) OW 전략
OW 전략 핵심 사항으로는 기업내 약점인 자금조달력, 해외사업 경험, 현지인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적 사업 파트너를 선정하는 등 中國 현지 시장과 국내 시장을 발전적 시각에서 통합하는 내부화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中國내 전략적 합작파트너와 제휴를 통한 판매망 확보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전략적 파트너로써는 지역, 政府와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체 물류시설을 갖추고 거점도시를 소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공급 Route 를 확보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야 한다. 건전한 재무 안정 구조를 유지하고 생산부문에서는 선택적 기술을 이양하고 공급 Channel 을 선별하여 경쟁력 있는 시스템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中國流通業은 법규상 아직 독자기업 형태로 진출할 수 없기 때문에 세관통관업무 처리능력, 유관기관과의 유대관계, 유력한 무역회사와의 협력관계, 유통망 확보 능력등 제반요소를 고려하여 파트너를 선정해야 한다. 현재까지는 政府에서 유통업 기능을 담당, 관리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선 政府部處傘下의 유통기업이 합작 파트너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통업은 통상 부동산과 대규모 자본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역 선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파트너 선정방법으로는 합자투자를 통하여 中國측 파트너를 이용하는 방법과 中國내 국내 기업끼리 공동으로 적정규모의 유통매장을 설립하거나 신뢰할 수 있고 능력 있는 현지 도ㆍ소매상을 파트너로 선정하여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유력한 입지 선정은 점포판매의 성패를 좌우한다고도 볼 수 있다. 현재의 경쟁상황과 함께 미래의 경쟁을 염두에 두고 입지를 선정해야 하며 특히, 주변 고객의 컨셉이나 상권의 특성을 분석해야 한다.
4) ST 전략
ST 전략으로는 中國 流通市場의 경쟁극복을 위한 사업 다각화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마켓팅 전략의 고도화를 다음과 같이 추진해야 한다.
첫째,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시킨다. 일반적으로 中國인은 전시소비성향이 강하고, 80년대와는 달리 외제품에 대해서도 선택구매성향이 강하다. 특히 上海, 廣州, 北京, 天津, 大連 등 中國 대도시 소비시장에서의 경쟁품은 中國제품이 아니라 일본 미국 등 다른 외국기업의 소비제품이므로 각 도시의 상위 5~10%를 점하는 고소득층의 생활습관, 소비패턴, 품목별 선호도 등을 면밀히 파악하고, 품목별로 중고급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광고의 강화가 필요한데, 지금까지의 옥외입간판,
공항카트에 대한 ’기업이미지’ 광고위주에서 벗어나, 제품출시전 혹은 출시와 동시에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시키고 구매를 촉발시키는‘설득형광고’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전략적 판매활동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中國에서의 판매활동은 소비자와 직접 접촉 할 수 있는 점포개설을 중시한다. 中國의 流通市場부문의 개방이 단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선진기업들은 구매력이 큰 대도시를 중심으로 백화점 및 전문판매점 개설을 통해 소비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中國 진출시 매장 인테리어 및 디스플레이 등의 차별화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확보가 용이 하도록 한다.
또한 中國은 ‘
가구당
평균수입
가처분소득
주요성시
가구당
평균소득
가처분소득
北京
1632.23
1467.88
山東省
978.11
909.92
天津
1109.35
1026.40
廣東省
1311.81
1185.65
上海
1689.15
1511.78
海南省
688.93
640.54
江蘇省
1120.59
1035.64
福建省
1085.59
998.45
자료원 : 中國國家統計局(www.stats.gov.cn)
2) TW 전략
TW 전략 핵심사항으로는 현지인과의 팀워크을 이뤄 中國 소비자 기호에 맞는 차별화된 마케팅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한 현지화 전략을 다음과 같이 촉진해야 할 것이다.
첫째, 中國전문 인력의 양성과 현지인 채용이 바람직하다. 中國 진출 사업에서는 단순히 판매뿐만이 아니라 생산, 재무, 인사, 마케팅 등의 기능까지 수행해야 하므로 업무지식에 능통한 인재의 육성이 필수적이다. 기업은 스스로 유망인재를 선정하여 현지사업에서 필요한 현지언어, 제도, 관행, 문화, 역사, 지리 등 폭넓은 지식들을 체득하게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인재육성이 필요하다. 특히, 업무 수행 상 사회주의 관행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中國지역의 경우 中國 전문 인력의 육성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현지화는 기업 규모나 사업형태에 따라서 상이한 전략적 관리적 차원에서의 방안이 마련 되어야한다. 예를 들어 내수 위주 기업들은 부가가치 활동의 현지 이전을 확대하고, 현지 자회사의 의사 결정 권한을 강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수출 위주의 기업들은 부가가치 활동의 제한적인 현지 이전과 본사 차원에서 통합조정 및 의사결정 권한 강화가 효율적이다. 그리고 대기업들은 중간관리자의 현지인 채용 확대와 본사 기업문화 및 제도를 적극 이식해야 한다. 중소기업은 현지의 특유한 관리기능을 중시해 현지인 채용을 확대하고 공식화된 규정과 절차를 중시해야 한다. 아울러 능력 위주의 보상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매일경제 (2003년12월30일)
둘째, 현지 근로자의의 유대강화를 위한 계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한국기업이 中國 시장에 진입할 때 “인력의 현지화”로 현지 종업원들에 대한 매너, 서비스 정신, 상품 및 유통업에 대한 지식 등에 대해 사전에 충분한 교육 및 훈련 실시해야 한다. 또한 현지화의 이유로는 인건비를 절감과 中國 현지인은 현지 언어가 완벽하고 문화와 관습을 깊이 이해하기 때문에 시장의 수요를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고 업무 확대시 현지와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다. 현재 많은 외자기업이 中國 시장에 진출할 때 적합성을 검토하지 않은 채 본국의 기업 문화와 제도를 中國의 외자기업에 직접 적용시키는 바람에 현지 직원들의 반감과 문화적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사실 中國은 지방마다 처해진 환경이 다르므로, 한국기업은 우선 中國 현지인과 교육과 대화를 통하여 직원들을 훈련시키고, 中國과 한국의 직원이 모두 하나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업무 연계시 문화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체험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3) OW 전략
OW 전략 핵심 사항으로는 기업내 약점인 자금조달력, 해외사업 경험, 현지인을 보완하기 위한 전략적 사업 파트너를 선정하는 등 中國 현지 시장과 국내 시장을 발전적 시각에서 통합하는 내부화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中國내 전략적 합작파트너와 제휴를 통한 판매망 확보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전략적 파트너로써는 지역, 政府와의 의사소통능력과 자체 물류시설을 갖추고 거점도시를 소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공급 Route 를 확보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야 한다. 건전한 재무 안정 구조를 유지하고 생산부문에서는 선택적 기술을 이양하고 공급 Channel 을 선별하여 경쟁력 있는 시스템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中國流通業은 법규상 아직 독자기업 형태로 진출할 수 없기 때문에 세관통관업무 처리능력, 유관기관과의 유대관계, 유력한 무역회사와의 협력관계, 유통망 확보 능력등 제반요소를 고려하여 파트너를 선정해야 한다. 현재까지는 政府에서 유통업 기능을 담당, 관리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우선 政府部處傘下의 유통기업이 합작 파트너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유통업은 통상 부동산과 대규모 자본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역 선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파트너 선정방법으로는 합자투자를 통하여 中國측 파트너를 이용하는 방법과 中國내 국내 기업끼리 공동으로 적정규모의 유통매장을 설립하거나 신뢰할 수 있고 능력 있는 현지 도ㆍ소매상을 파트너로 선정하여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유력한 입지 선정은 점포판매의 성패를 좌우한다고도 볼 수 있다. 현재의 경쟁상황과 함께 미래의 경쟁을 염두에 두고 입지를 선정해야 하며 특히, 주변 고객의 컨셉이나 상권의 특성을 분석해야 한다.
4) ST 전략
ST 전략으로는 中國 流通市場의 경쟁극복을 위한 사업 다각화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마켓팅 전략의 고도화를 다음과 같이 추진해야 한다.
첫째,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시킨다. 일반적으로 中國인은 전시소비성향이 강하고, 80년대와는 달리 외제품에 대해서도 선택구매성향이 강하다. 특히 上海, 廣州, 北京, 天津, 大連 등 中國 대도시 소비시장에서의 경쟁품은 中國제품이 아니라 일본 미국 등 다른 외국기업의 소비제품이므로 각 도시의 상위 5~10%를 점하는 고소득층의 생활습관, 소비패턴, 품목별 선호도 등을 면밀히 파악하고, 품목별로 중고급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광고의 강화가 필요한데, 지금까지의 옥외입간판,
공항카트에 대한 ’기업이미지’ 광고위주에서 벗어나, 제품출시전 혹은 출시와 동시에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시키고 구매를 촉발시키는‘설득형광고’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전략적 판매활동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中國에서의 판매활동은 소비자와 직접 접촉 할 수 있는 점포개설을 중시한다. 中國의 流通市場부문의 개방이 단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선진기업들은 구매력이 큰 대도시를 중심으로 백화점 및 전문판매점 개설을 통해 소비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中國 진출시 매장 인테리어 및 디스플레이 등의 차별화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 확보가 용이 하도록 한다.
또한 中國은 ‘
키워드
추천자료
BBQ의 중국 시장 진출 사례-마케팅전략의 분석
중국시장의 연구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에 관한 연구
윤활유의 중국시장 마케팅 전략
중국 주식시장의 가능성
[국제통상]중국의 의류패션시장과 우리의 대책
[해외마케팅] LG전자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이마트의 중국시장 진출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시장 진출사례
국내제약기업의 글로벌 경영전략(중국시장 진출을 중심으로)
중국 가전제품 시장분석
중국 차음료 시장의 진입에 대한 마케팅 연구서(코카콜라)
한국타이어 중국시장 마케팅 및 글로벌경영 사례
신세계 이마트 -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이마트해외진출,이마트중국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