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화기 교육
1) 개화기 I(1895-1906)
- 신교육기관
2) 개화기 II(1906-1911)
- 교육정책
2. 일제시대의 교육
1) 제1차 조선교육령(1911-1922)
(1) 교육
(2) 교육정책
2) 2차 조선교육령(1922-1938)
(1) 교육
(2) 교육정책
2) 3·4차 조선교육령(1938-1945)
(1) 교육
(2) 교육정책
3) 교육사상가
(1) 남궁억
(2) 이승훈
(3) 안창호
3. 미군정시대 교육(1945~1948)
1) 교육
2) 문교정책
1) 개화기 I(1895-1906)
- 신교육기관
2) 개화기 II(1906-1911)
- 교육정책
2. 일제시대의 교육
1) 제1차 조선교육령(1911-1922)
(1) 교육
(2) 교육정책
2) 2차 조선교육령(1922-1938)
(1) 교육
(2) 교육정책
2) 3·4차 조선교육령(1938-1945)
(1) 교육
(2) 교육정책
3) 교육사상가
(1) 남궁억
(2) 이승훈
(3) 안창호
3. 미군정시대 교육(1945~1948)
1) 교육
2) 문교정책
본문내용
로 추진되었으며 1895년 고종의 교육입국조서 반포에서부터 1906년까지 근대적인 학제인 신학제가 수립되어 한국교육의 근대화가 추진됨.
1) 개화기 I(1895-1906)
- 1895년 고종이 홍범 14조 반포. 신교육의지 표명, 학무아문설치.
- 1895년부터 한성사범학교 관제를 필두로 소학교령, 외국어학교관제, 성균관 관제 등을 제정 신학제를 마련. 소학교, 중학교, 전문학교, 대학으로 연결되는 교육체제 구성, 선진국가의 근대적 교육과정 수용, 초등교육의무화 기여, 기회균등(민주화).
- 소학교(심상과 3년, 고등과 2~3년): 만 7세~15세까지, 사범학교 2년(20~25세), 중학교 이용후생 보통교육(심상과 4년, 고등과 3년).
- 교육입국조서 반포 이전에 선교사들에 의한 미션스쿨 설치를 통한 신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반포 이후 제정된 교육령에 따라 정부에 의해 근대적 신교육 기관 설치됨.
(1) 신교육기관
i) 배론 신학당(1855)
- 충북 제천에 천주교의 외국인 신부 메스트리에 의해 설립된 한국인 신부양성 고등교육기관.
- 교황청의 허가를 얻어 설치되었으며 교리, 신학문, 라틴어 등을 가르치고 한국인이 손수 한문을 가르침.
- 1886 병인박해로 폐쇄.
ii) 원산학사(1883)
- 함경도 원산의 지방민들이 새로운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세운 우리나라 교육사상 최초의 근대식 학교.
- 외국인의 도전에 대응하고 시대의 변천에 대응하기위해 기금을 모아 세움.
iii) 동문학(1883)
- 영어의 해득자 내지 통역자를 양성하기 위해 1883년에 영어교육기관으로 설치됨.
- 독일인
1) 개화기 I(1895-1906)
- 1895년 고종이 홍범 14조 반포. 신교육의지 표명, 학무아문설치.
- 1895년부터 한성사범학교 관제를 필두로 소학교령, 외국어학교관제, 성균관 관제 등을 제정 신학제를 마련. 소학교, 중학교, 전문학교, 대학으로 연결되는 교육체제 구성, 선진국가의 근대적 교육과정 수용, 초등교육의무화 기여, 기회균등(민주화).
- 소학교(심상과 3년, 고등과 2~3년): 만 7세~15세까지, 사범학교 2년(20~25세), 중학교 이용후생 보통교육(심상과 4년, 고등과 3년).
- 교육입국조서 반포 이전에 선교사들에 의한 미션스쿨 설치를 통한 신교육이 실시되고 있었으며 반포 이후 제정된 교육령에 따라 정부에 의해 근대적 신교육 기관 설치됨.
(1) 신교육기관
i) 배론 신학당(1855)
- 충북 제천에 천주교의 외국인 신부 메스트리에 의해 설립된 한국인 신부양성 고등교육기관.
- 교황청의 허가를 얻어 설치되었으며 교리, 신학문, 라틴어 등을 가르치고 한국인이 손수 한문을 가르침.
- 1886 병인박해로 폐쇄.
ii) 원산학사(1883)
- 함경도 원산의 지방민들이 새로운 정세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세운 우리나라 교육사상 최초의 근대식 학교.
- 외국인의 도전에 대응하고 시대의 변천에 대응하기위해 기금을 모아 세움.
iii) 동문학(1883)
- 영어의 해득자 내지 통역자를 양성하기 위해 1883년에 영어교육기관으로 설치됨.
- 독일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