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통증 관리 및 중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통증 관리 및 중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통증의 정의
2. 통증 이론
(1) 관문 통제 이론
(2) Hurt와 Moore의 중간범주이론
3. 아동의 통증 사정은 왜 달라야 하는가?
A) 통증지각의 발달적인 면
B) 통증 표현의 발달적인 면
4. 아동의 통증 사정은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A) 안면 등급 척도 (Face Pain Rating Scale)
B) 포커 칩 척도 (Poker Chip Tool)
C) Word Graphic Rating Tool
D) 숫자적 척도 (Numeric Scale)
E) 색깔 척도 (Color Tool)
F) 청소년 소아 통증 척도
G) CHEOPS(Children`s hospital of eastern ontario pain scale)
H) 통증 경험기왕력
5. 통증의 계획 및 중재
(1) 인지 행동적 접근
(2) 약리적 접근
6. 평가

결론

본문내용

기분전환, 감성자극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자녀를 돌보는 요령에 대한
부모 교육,
통증을 느끼는 장소에서 달래고 마사지를 해주고 병원 밖으로 산책.
주의를 끄는 시각적 대상을 활용한다. (만화, 비디오, 전자오락 등)
학령기 아동
부모가 곁에서 보살피기, 기분전환, 긴장이완, 최면
기분 좋은 흥밋거리를 찾아 즐긴다. 아픈 부위를 만져주고 음악을 듣게 하거나 냉,온 찜질을 한다.
청소년
긴장이완, 기분전환,
자기 최면
기분 좋게 하는 일을 찾고,
개별적인 취미활동을 한다.
c. 아동들의 관심 끌기
통증치료에 앞서서 간호사는 아동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간호사가 유능하고 자상한 사람으로 보여야 아동들은 치료에서 오는 통증과 근심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성숙한 아동에게는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만한 것이 무엇인지 직접 물어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음악을 듣는 것, 단지 그것이 아프지 않다는 것을 말해주기, 이성에 대한 생각하기 등이 이용 될 수도 있다. 또한 중요한 것은 아동들에 대한 편견을 갖지 않고 대화하는 것이다.
d. 비 약물적인 여러 가지 중재 방법
- 마사지
마사지에 의한 통증완화기전은 마시지로 피부의 대 섬유를 자극 시키며 척수의 관문을 닫게 하고, 근육을 이완 시키며 진정작용이 일어나게 한다.
(아동이 귀에 염증이 있을때 귀를 문지르는 행위, 유치날 때 잇몸을 자극하는 행위)
- 열-냉 요법
열 요법은 손상부위의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하여 염증의 산물을 제거하여 통증을 적게 하고 피부의 대섬유를 자극하여 척수의 관문을 닫게 하며, 근육을 이완시켜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키고 그에 따라 통증이 감소한다.
냉 요법은 신경전달 속도를 느리게 하여 대뇌에 도달하는 통증 자극량을 줄이고, 냉각이 지각적으로 우세하여 통각을 낮추어 주므로 효과적이다.
-관심전환
관심전환은 청각, 시각, 촉각 자극에 주의를 집중시켜서 통증자극의 지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짧은 통증 경험에 대한 통증경감 전략으로 유효하며, 주사실이나 암 병동 같이 바쁜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빠르고 단순한 통증 중재법이다.
(영아의 경우 노래 부르기, 모빌주시로 주의를 분산 시킬 수 있으며, 유아나 학령전기 아동의 경우에는 책을 보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활동이 사용된다.)
-정보제공
미리 정보를 제공하여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통증과 통증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고 있게 하면, 통증과 관련된 불안이 감소하게 되어 대뇌 피질과 시상으로부터의 금지 신호가 투사되어 동일 량의 통증자극이 도달하더라도 통증지각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2) 약리적 접근
아마 통증 관리의 가장 다양하고 발전하는 임상적 기법은 약물 치료일 것이다. 아동의 통증에 대한 약리적 중재로는 마약성 진통제(opoids)와 비 마약성 진통제(NSAIDs)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 약들의 첫 작용 부위는 중추신경계이고 그 다음은 신체의 말초이다. 일반적으로 심한 통증이 있을 때만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도록 제한하고, 기타 다른 통증에는 비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아동들의 통증 관리에 투여되는 약
(통증 외래 환자 포함, 치료위해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약의 목록)

투여량
설명
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
아스피린
이부프롬펜
나프로신
PO
10-15mg/kg, q4h
10-15mg/kg, q4h
04-10mg/kg, q6-8h
05-07mg/kg, q12h
가끔 과 소량 복용
열병, 출혈의 경우 사용금지
마취약
(opioids)
코데닌
메타돈
몰핀
옥시코든
PO
1-2mg/kg, q3-4h, 최대 60mg
0.1-0.2mg/kg, q4-12h
0.3-0.6mg/kg, q12h
0.08-1.0mg/kg, q4-6h
약효 좋음, 지속시간 김, 통증완화, 정제된 약 4.5mg, 아세트아미노펜과 복용가능
진정제
(sedatives)
코롤하이드레이트
디아제팜
PO
50-100mg/kg, 1회 복용 최대 2g
0.2-0.5mg/kg, 1회 복용량
부작용 없는 아동에게 사용
부분
마취약
리도카인과
프릴로카인의혼합
총 2.5g/ 정도
시술시 최소한 1시간
전 투여 (정맥천자)
6. 평가
중재 후 통증이 사라졌는지를 판단하는 데는 사정자료가 도움이 된다.
기본 자료들과 비교하여 평가 하도록 한다.
a. 아동의 통증 완화 목적은 이루어 졌는가?
b. 아동은 음성, 언어, 행동, 또는 생리적 척도를 통해서 통증을 덜 표현하고 있지 는 않은가?
c. 통증 완화에 대한 부모의 평가는 어떠한가?
d. 현재 어떠한 부작용이 일어났는가?
결론
지금까지 아동의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을 특성을 고려하여, 각 발달 단계 별로 아동의 각각에 알맞은 사정도구, 중재방법들이 필요하다는 것과, 그에 따라 간호사들이 아동의 통증 사정, 계획 수행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간호사는 아동이 발달단계에 따라 통증을 지각하고 표현하는 방법이 다르고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그 아동의 특성에 알맞은 다양한 사정도구가 이용되어야 하며, 사정 또한 적극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며, 통증 관리 방법도 성인과는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성이 있다.
덧 붙여 아동에게 통증 완화를 위해 알맞은 방법을 선택 하고 실행 할 때에는 우선 아동의 생각과 느낌을 중시하고, 두개 이상의 다양한 중재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통증이 발현 되었을 때에 완화 방법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통증이 일어나기 전 예방차원에서 통증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할 것이라 생각된다.
Reference
아동간호학 / 조결자외 편저 / 현문사 / 2000
아동 간호 중재 / 한경자 외 / 서울대학교 출판부 / 1999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 정신 병리학 / 유제민 외 / 시그마프레스 / 2004
소아과학 / 홍창의 / 대한교과서 / 2004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 Wong, Donna L외 / Mosby / 2000
통증 환아를 위한 비 약물적 간호중재 방법 조사 / 조결자 외 / 아동간호 학회지 제 6권 2호 / 200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12.1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