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이용한 초등영어학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를 이용한 초등영어학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구성주의 1

2.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 (CALL) 3
2.1. 컴퓨터 보조 언어학습의 발전과정 3
2.2. CALL 프로그램학습의 특징 5
2.3. 컴퓨터를 통한 언어 습득 이론 6
2.4. 컴퓨터를 통한 언어학습 심리 7

3. 영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컴퓨터의 활용 8
3.1.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9
3.2.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유형 10
3.3.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의 유형 11

4. 컴퓨터를 활용한 영어학습의 효과에 대한 관련 연구 12
4.1. 김동현(2000) 12
4.2. 김정렬(1998) 12
4.3. 김홍미(1999) 12
4.4. 정현준(1999) 12
4.5. 김영민(1998) 13
4.6. 지재범(1999) 13

《 참 고 문 헌 》 13

본문내용

(1999)
김홍미는 멀티미디어 CD- ROM을 활용한 초등영어의 효과적인 수업절차에 관한 연구에서 보면, 1차 실험연구로 실험학교의 교과서의 지도단원과 의사소통 기능이 일치하는 CD- ROM을 선정하여 전 차시에 멀티미디어실에서만 개별 학습하는 실험수업을 하였고, 2차 실험연구로 1,2차시에는 일반교실에서 언어 상황 개념을 형성하고 3,4차시에는 멀티미디어 실에서 표현의 숙달 및 응용학습을 개별 학습 형태로 학습하는 방법으로 초등영어 수업모형에 따라 일반교실과 멀티미디어실을 함께 이용하여 실험수업을 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1차 실험연구 결과는 높은 흥미도를 나타내었으나, 이해도 검사결과는 CD- ROM 학습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 했고, 2차 실험연구는 실험 수업 후 자기평가 결과가 신장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을 통하여 학생의 자신감, 이해도, 흥미도, 참여도가 신장되었으며 컴퓨터의 개별학습은 2차 실험의 수업절차를 선호한다고 했다.
4.4. 정현준(1999)
정현준은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읽기 교수- 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실제적인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영어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성을 두고 실업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한 결과 인터넷활용 영어수업이 흥미롭고(87%),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50%), 영어 독해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56%), 교실 수업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84%)또한 개별학습이 더 잘 이루어졌다(79%)라고 긍정적 응답을 함으로써 인터넷 활용 영어 읽기 수업이 효과적이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이미지, 음성 형태의 멀티미디어 보조물을 이용한 인터넷 읽기 학습자료를 통해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4.5. 김영민(1998)
김영민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CD- ROM 타이틀의 활용을 통한 영어 듣기 능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며, 그 결과로는 학생들은 멀티미디어 컴퓨터를 통한 CD- ROM 활용 학습에 흥미와 관심을 갖게 되어 반복되는 자기 훈련 과정에 적응할 수 있으며 영어 듣기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실험 해 본 결과, 특히 group훈련에서 교실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시설을 수업 (듣기, 말하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듣기 능력 신장도 멀티미디어 컴퓨터를 이용한 반복된 자기 훈련 과정을 통한 훈련으로 영어듣기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4.6. 지재범(1999)
지재범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영어동화 CD- ROM의 활용이 초등영어 듣기 및 읽기에 미치는 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있었고, 그 결과로는 아동의 듣기, 읽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흥미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으며 또한 듣기, 읽기 능력과 흥미도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고 했다. 그러나 통제 집단 없이 1개 학반의 동일 집단 내에서 실험전후의 비교분석으로 효과를 검증했으므로 본 연구자는 통제집단과 함께 실험하고 또한 CD- ROM 뿐 만 아니라 요즘 활성화 되어있는 인터넷상의 영어동화 홈페이지를 검색하여 초등영어의 듣기 및 읽기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이 논해 본 여러 연구내용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김정렬의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의 실정으로는 한 교실에 몇 대의 컴퓨터를 설치해 놓기에는 역부족인 관계로 교실에서만 멀티미디어 학습을 하기는 어려움이 있었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한 정현준과 김영민의 연구를 같은 방법으로 초등학생에게 적용하면 과연 듣기 및 읽기 능력향상에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인지 의문을 가졌다.
그리고 이 들의 연구들은 주로 일반적인 언어 학습에 대한 멀티미디어의 활용을 다루었고 인터넷상의 영어 동화 홈페이지를 활용한 영어동화학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동화학습에 대한 연구로는 지재범과 김동현의 CD- ROM타이틀을 이용한 연구가 있었다. 그런데 지재범의 연구는 통제 집단 없이 1개 학반을 대상으로 동일 집단 내에서 실험전후의 비교분석으로 효과를 검증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과의 비교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했다. 김동현의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교사가 직접 영어학습용CD- ROM을 만드는데 경제적인 면에서나 시간상의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다양한 이야기 자료를 제시하여 아동들의 능력에 따라 각자 선택해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있었다.
《 참 고 문 헌 》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정보화 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 환경. 서울:문음사.
·김정렬 (1999). 멀티미디어를 통한 초등학교 영어 수업 모형 개발 연구.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 (1).
·김홍미 (1999). 멀티미디어 CD-ROM을 활용한 초등영어의 효과적인 수업절차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우상도 (1999).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초등영어지도법. 한국문화사.
·정현준 (1999).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 읽기 교수 - 학습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최수영 (2000). 멀티미디어 영어 교육. 박문각.
·허운나 (1993). 미래 학교에서의 첨단 매체 활용방안. 교육공학연구, 8(1), 19- 53.
·Hackbarth, S. (1997). Web-based learning activities for children. In. B. H. E ducational Psychologist, 21(4), 269- 292.
·Stern, H.H. (1983).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Underwood, J. (1984). Linguistics, Computers, and the Language Teacher A Communicative Approach. Rowley, MA: Newbery House.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12.17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7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