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츠시카 호쿠사이
가쓰시카 호쿠사이 「 후가쿠 (후지산) 36경 - 죠슈 우시보리 」
1831-33년 경 다색 인쇄 목판, 종이 25.5×37.5cm
가쓰시카 호쿠사이 「 후가쿠 (후지산) 36경 - 슨슈 오노신덴 」
1831-33년 경 목판, 종이 25.9×36.8cm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 「 도카이도 고쥬산지 - 쇼노 」
1833년 경 다색 인쇄 목판, 종이 23.7×36.2cm
우타가와 구니요시
가이사이 요시토시
4. 메이지시대 - 모던 우키요에
서양식 건물, 양목을 입은 여인 등 '문명개화'의 상징적인 문물을 그린 "개화화"가 유행했다. 또 "신문 니시키에"가 유행하여 뉴스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고바야시 기요치카
고바야시 기요치카 「 도쿄 고우메의 예인선야도 」
1876년 다색 인쇄 목판, 종이 25.5×38.4cm
마치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이다’ 라는 말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나라 일본. 고대시대에는 중국과 조선의 영향을 받으며 꾸준히 성장해 오다가 근세에 이르러서는 서양의 영향도 받으며 독자적인 자리를 확보한 일본화. 무작정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더 발전해 나갈수 있는것, 이질적인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배척보다 상황에 따른 유연한 수용은 우리에게도 필요하지 않을까?
※참고문헌
동양미술사 (마츠바라 사브로편 - 도서출판애경)
동양미술사학 (최병식 저 - 예서원)
에도시대의 일본미술 (크리스틴 구스 - 예경)
일본현대미술 (국립중앙박물관)
우키요예의美 ( 고바야시 다다시 - 이다미디어)
일본회화사 (아키야마 테루카즈 - 예경)
포탈사이트네이버 지식검색
가쓰시카 호쿠사이 「 후가쿠 (후지산) 36경 - 죠슈 우시보리 」
1831-33년 경 다색 인쇄 목판, 종이 25.5×37.5cm
가쓰시카 호쿠사이 「 후가쿠 (후지산) 36경 - 슨슈 오노신덴 」
1831-33년 경 목판, 종이 25.9×36.8cm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 「 도카이도 고쥬산지 - 쇼노 」
1833년 경 다색 인쇄 목판, 종이 23.7×36.2cm
우타가와 구니요시
가이사이 요시토시
4. 메이지시대 - 모던 우키요에
서양식 건물, 양목을 입은 여인 등 '문명개화'의 상징적인 문물을 그린 "개화화"가 유행했다. 또 "신문 니시키에"가 유행하여 뉴스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고바야시 기요치카
고바야시 기요치카 「 도쿄 고우메의 예인선야도 」
1876년 다색 인쇄 목판, 종이 25.5×38.4cm
마치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이다’ 라는 말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는 나라 일본. 고대시대에는 중국과 조선의 영향을 받으며 꾸준히 성장해 오다가 근세에 이르러서는 서양의 영향도 받으며 독자적인 자리를 확보한 일본화. 무작정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서 더 발전해 나갈수 있는것, 이질적인 것에 대한 무조건적인 배척보다 상황에 따른 유연한 수용은 우리에게도 필요하지 않을까?
※참고문헌
동양미술사 (마츠바라 사브로편 - 도서출판애경)
동양미술사학 (최병식 저 - 예서원)
에도시대의 일본미술 (크리스틴 구스 - 예경)
일본현대미술 (국립중앙박물관)
우키요예의美 ( 고바야시 다다시 - 이다미디어)
일본회화사 (아키야마 테루카즈 - 예경)
포탈사이트네이버 지식검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