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분라쿠란 무엇인가
(1) 개념
(2) 기본적인 특성
2 .분라쿠의 역사
(1) 역사
(2) 다른 공연예술과의 비교
(3) 일본연극의 특성
3. 분라쿠의 내용
(1) 내용구성방식
(2) 장르에 대한 소개
4. 분라쿠의 무대
(1) 무대의 구성
(2) 무대를 이루는 요소
5. 인형
(1) 구조
(2) 얼굴
(3) 의상
(4) 소도구
6.맺음말
(1) 개념
(2) 기본적인 특성
2 .분라쿠의 역사
(1) 역사
(2) 다른 공연예술과의 비교
(3) 일본연극의 특성
3. 분라쿠의 내용
(1) 내용구성방식
(2) 장르에 대한 소개
4. 분라쿠의 무대
(1) 무대의 구성
(2) 무대를 이루는 요소
5. 인형
(1) 구조
(2) 얼굴
(3) 의상
(4) 소도구
6.맺음말
본문내용
대운영, 각본의 개작으로 연기자의 인기를 높이는데 주력하며, 사실적 무대장치, 샤미센 반주의 음악과 춤, 양식화된 동작 및 대본은 분라쿠의 영향이다. 민중의 오락으로 시작하여 제2의 발족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류와 함께 발전했다.
- 분라쿠 : 노오보다 더 구체적, 현실적으로 인생의 온갖 정화 작용의 다양성을 창(唱). 연회자가 인형. 인형의 섬세한 동작과 짜임새 있는 줄거리를 볼거리로 하며, 일본 근세의 서민들의 정서가 잘 드러나 있는 전통 문화이다.
(3) 일본연극의 특성(*참고사항*)
일본연극은 오랜 역사 속에서 한국을 비롯한 중국 기타 여러 외국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혼합 발달하여 온 것이므로 순일본적인 요소와 외래적인 요소를 구별하기란 매우 어렵다. 적어도 일본의 연극사(演劇史)는 6, 7세기를 정점으로 한국과 수(隋)당(唐)나라 등으로부터의 문화유입과,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친 서양 문예연극의 유입이라는 2대(大) 지주(支柱)를 기초로 결정적인 혁신과 확대를 이루어왔다. 한편 이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일본적인 기풍으로 개량 육성시켜 독자적인 연극의 세계를 이룩한 점이 일본연극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3. 분라쿠의 내용
(1) 내용구성방식
초기엔 십 이단이 기본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그 반인 육 단 형식이 많았고, 일단이 줄어 오 단 형식으로 이행되었다. 오 단 형식인 시대물은 역사물과 충성무용담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초단 - 사건의 발단
이단 - 사건의 전개
삼단 - 사건의 대목
사단 - 사건의 전환
오단 - 사건의 해결로 구성되고 있다.
\'상하\' 또는 \'상중하\'로 이단 내지 삼단으로 구성되고 있는 세화물은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소재로 해서 신분이 다른 사람들끼리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이나 삼각관계를 다룬 것으로 당시의 세태를 묘사했다.
(2) 장르에 대한 소개
분라쿠의 장르는 주제와 내용에 따라서 시대물(時代物), 세화물(世話物), 무용극(舞踊劇)으로 나뉜다.
① 시대물(지다이모노)은 신화시대를 비롯하여 나라, 헤이안, 가마쿠라, 무로마치시대 등 에도시대 이전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귀족과 무사들의 사이에서 일어난 사건을 소재로 다룬다. 헤이안시대 전기의 귀족들의 활약을 그린 시대물은 오지다이모노(大時代物) 혹은 왕대물 즉 오다이모노(王代物)라 한다.
지다이모노는 다른 장르보다 작품 수가 많아 분라쿠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연출이나 연기, 작곡 등의 면에서 과장되는 면이 많고, 의상이나 무대도 화려하며 양식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지다이모노 시대물은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고 하지만 순수하게 역사를 그대로 그려내는 역사극(歷史劇)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역사에서 소재를 따오지만 등장인물의 이름과 시대를 재설정하고, 극적 요소를 가미하여 꾸며낸다. 극의 스토리를 즐긴다기 보다는 그 양식화된 연출, 과장된 사건과 인물, 드라마의 서사시적인 스케줄의 장대함을 관극의 즐거움으로 삼는다. 따라서 등장인물의 윤리관이나 극도의 과장된 표현과 기교 등은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는 이해하기 어려운 점도 많다. 그러나, 사실성을 중시하는 현대극과는 달리 작품에 몰입할 때 느끼는 해방감과 통쾌감이 분라쿠의 매력이 되어 오늘날에도 많은 관객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
② 세화물(세와모노)은 서민들에게 친근한 이야기로 자신들의 주변에 일어났던 일을 다룬다. 의리와 인정을 묘사하기도 하고, 남녀간의 사랑, 부부애, 신앙심에 대해 묘사하기도 한다. 대도시 항간에 일어난 사건 등 발생 수일만에 무대화하여 시사성을 띠기도 한다. 또, 心中(しんじゅう)-동반자살-라는 매우 극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이야기의 흐름에서 주위의 장애 요소로 인해 한계에 부딪
- 분라쿠 : 노오보다 더 구체적, 현실적으로 인생의 온갖 정화 작용의 다양성을 창(唱). 연회자가 인형. 인형의 섬세한 동작과 짜임새 있는 줄거리를 볼거리로 하며, 일본 근세의 서민들의 정서가 잘 드러나 있는 전통 문화이다.
(3) 일본연극의 특성(*참고사항*)
일본연극은 오랜 역사 속에서 한국을 비롯한 중국 기타 여러 외국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혼합 발달하여 온 것이므로 순일본적인 요소와 외래적인 요소를 구별하기란 매우 어렵다. 적어도 일본의 연극사(演劇史)는 6, 7세기를 정점으로 한국과 수(隋)당(唐)나라 등으로부터의 문화유입과,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친 서양 문예연극의 유입이라는 2대(大) 지주(支柱)를 기초로 결정적인 혁신과 확대를 이루어왔다. 한편 이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일본적인 기풍으로 개량 육성시켜 독자적인 연극의 세계를 이룩한 점이 일본연극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3. 분라쿠의 내용
(1) 내용구성방식
초기엔 십 이단이 기본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그 반인 육 단 형식이 많았고, 일단이 줄어 오 단 형식으로 이행되었다. 오 단 형식인 시대물은 역사물과 충성무용담을 중심으로 한 것으로,
초단 - 사건의 발단
이단 - 사건의 전개
삼단 - 사건의 대목
사단 - 사건의 전환
오단 - 사건의 해결로 구성되고 있다.
\'상하\' 또는 \'상중하\'로 이단 내지 삼단으로 구성되고 있는 세화물은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소재로 해서 신분이 다른 사람들끼리의 이룰 수 없는 사랑이나 삼각관계를 다룬 것으로 당시의 세태를 묘사했다.
(2) 장르에 대한 소개
분라쿠의 장르는 주제와 내용에 따라서 시대물(時代物), 세화물(世話物), 무용극(舞踊劇)으로 나뉜다.
① 시대물(지다이모노)은 신화시대를 비롯하여 나라, 헤이안, 가마쿠라, 무로마치시대 등 에도시대 이전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귀족과 무사들의 사이에서 일어난 사건을 소재로 다룬다. 헤이안시대 전기의 귀족들의 활약을 그린 시대물은 오지다이모노(大時代物) 혹은 왕대물 즉 오다이모노(王代物)라 한다.
지다이모노는 다른 장르보다 작품 수가 많아 분라쿠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연출이나 연기, 작곡 등의 면에서 과장되는 면이 많고, 의상이나 무대도 화려하며 양식성이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지다이모노 시대물은 역사적 사건을 다룬다고 하지만 순수하게 역사를 그대로 그려내는 역사극(歷史劇)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역사에서 소재를 따오지만 등장인물의 이름과 시대를 재설정하고, 극적 요소를 가미하여 꾸며낸다. 극의 스토리를 즐긴다기 보다는 그 양식화된 연출, 과장된 사건과 인물, 드라마의 서사시적인 스케줄의 장대함을 관극의 즐거움으로 삼는다. 따라서 등장인물의 윤리관이나 극도의 과장된 표현과 기교 등은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는 이해하기 어려운 점도 많다. 그러나, 사실성을 중시하는 현대극과는 달리 작품에 몰입할 때 느끼는 해방감과 통쾌감이 분라쿠의 매력이 되어 오늘날에도 많은 관객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
② 세화물(세와모노)은 서민들에게 친근한 이야기로 자신들의 주변에 일어났던 일을 다룬다. 의리와 인정을 묘사하기도 하고, 남녀간의 사랑, 부부애, 신앙심에 대해 묘사하기도 한다. 대도시 항간에 일어난 사건 등 발생 수일만에 무대화하여 시사성을 띠기도 한다. 또, 心中(しんじゅう)-동반자살-라는 매우 극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이야기의 흐름에서 주위의 장애 요소로 인해 한계에 부딪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