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지모신이란?
3. 각국의 지모신 숭배사상
4. 마치며
2. 지모신이란?
3. 각국의 지모신 숭배사상
4. 마치며
본문내용
대지와 물의 주인인 에투겐이 베푸는 은총이라고 여겨, 대지를 ‘나의 황금 대지’라고 부르며 숭배했다. 일종의 지모신(지모신)으로 보는 것이다. 또한 조상 대대로 정성을 다해 섬겨온 특수한 제사를 ‘어워’라고 했다. 몽골의 무당들은 물의 주인을 ‘로스’, 대지와 흙의 주인을 ‘사브다그’라고 부르며, 그들이 산 정상이나 봉우리 혹은 높은 언덕에 머무르고 있다고 믿는다. 바로 그 자리에 약간의 흙을 쌓고 돌과 나무 등을 얹어 장식을 더한 것이 어워다.
4. 마치며
아주 오랜 원시시대부터 여성상위의 시대가 분명 존재했다. 이런 여성상위의 시대는 계속 이어지지 못하고 남성상위시대로 탈바꿈되었다. 역사적으로 살펴 보건데 여성상위의 시대에는 풍요와 다산 인류에 남을만한 혁명적인 일들이 이루어졌으며 남성상위시대에는 경쟁과 전쟁등이 난무하는 폭력적인 시대였다.
현대의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역시 여성상위의 시대라고 한다. 이는 풍요와 다산의 시대라기보다는 역설적으로 혼란스런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지모신적 리더가 필요하다는 말일수도 있다.
지모신 신앙을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여성이 떠오르고 모권제가 연결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지모신 신앙을 통해 여성의 위치의 현재와 과거를 알아보고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반덕진, 신화 교양으로 읽기, 계축문화사, 2003
※김화경, 세계 신화 속의 여성들, 도원 미디어, 2003
※반다나 시바, 살아남기 : 여성, 생태학, 개발, 솔, 1998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하인리히 침머, 인도의 신화와 예술, 대원사, 1995
4. 마치며
아주 오랜 원시시대부터 여성상위의 시대가 분명 존재했다. 이런 여성상위의 시대는 계속 이어지지 못하고 남성상위시대로 탈바꿈되었다. 역사적으로 살펴 보건데 여성상위의 시대에는 풍요와 다산 인류에 남을만한 혁명적인 일들이 이루어졌으며 남성상위시대에는 경쟁과 전쟁등이 난무하는 폭력적인 시대였다.
현대의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역시 여성상위의 시대라고 한다. 이는 풍요와 다산의 시대라기보다는 역설적으로 혼란스런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지모신적 리더가 필요하다는 말일수도 있다.
지모신 신앙을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여성이 떠오르고 모권제가 연결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지모신 신앙을 통해 여성의 위치의 현재와 과거를 알아보고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자료]
※반덕진, 신화 교양으로 읽기, 계축문화사, 2003
※김화경, 세계 신화 속의 여성들, 도원 미디어, 2003
※반다나 시바, 살아남기 : 여성, 생태학, 개발, 솔, 1998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하인리히 침머, 인도의 신화와 예술, 대원사, 1995
추천자료
신화의 개념과 단군신화에 대한 분석
손진태의 역사민속학과 여성담론 분석
영국 국민성 시론에 대한 요약 및 비평
여성의 역할
유교의 여성관
[과외]중학 국어 2-2학기 기말 4단원 02 교과서 어떻게 공부할까 기출문제
문화, 그리스도, 청소년
한국사란 무엇인가
나는 종교를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가?
환경윤리 동서양의 자연관 환경윤리학 생태중심주의 자연관 기술중심주의 자연관 우리나라의 ...
아랍문학사 개관
[조선왕조, 조선왕조 법, 조선왕조 묘호, 조선왕조 왕복, 조선왕조와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
[사회복지법제론] 일반법의 이해 - 법의 개념과 특징, 법의 목적과 연원, 법원, 법의 효력, ...
인간 종교 세계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