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음의 차이
2. 단어의 차이
3. 문장의 차이
4. 맞춤법의 차이
5. 남북한 언어의 통일 정책
2. 단어의 차이
3. 문장의 차이
4. 맞춤법의 차이
5. 남북한 언어의 통일 정책
본문내용
준어]라 하고, 북한은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 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를 [문화어]라고 하여 공용어로 삼고 있다. 그러면 이러한 언어는 어떻게 다른가? 언어는 구조적으로 볼 때 말소리와 단어, 문장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언어의 구조적인 면에서 남북한의 언어를 살펴볼 수 있다.
1. 발음의 차이
음성언어에서는 발음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남한은 서울말을 중심으로 한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북한은 평양말을 중심으로 한 [문화어]의 발음을 표준 발음으로 정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한의 표준발음은 그 기준부터 차이가 난다.
발음상의 큰 차이는 남한에서 두음법칙을 인정하는 데 대해, 북한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남한의 [낙원(樂園), 양심(良心)], [여자(女子), 요소(尿素)]가 북한에서는 [락원, 량심], [녀자, 뇨소]로 발음된다. 자음동화도 차이를 보인다. 남한에서는 [심리, 항로]와 같이 받침 [ㅁ, ㅇ] 뒤의 [ㄹ]이나, [독립, 협력]과 같이 받침 [ㄱ, ㅂ] 뒤의 [ㄹ]을 [ㄴ] 소리로 발음한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모든 모음 앞의 [ㄹ]을 본래의 소리대로 발음한다. 이 밖에 경음화, 음운 첨가 등에도 차이를 보인다. 예를 몇 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괄호 안에서 앞의 것이 북한 발음이다)
가공적[쩍/적], 넓다[넙따/널따], 돌배[돌빼/돌배], 물약[물약/물략], 색연필[생연필/새견필], 일일이[일이리/일리리], 탁발승[탁빨
1. 발음의 차이
음성언어에서는 발음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남한은 서울말을 중심으로 한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북한은 평양말을 중심으로 한 [문화어]의 발음을 표준 발음으로 정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한의 표준발음은 그 기준부터 차이가 난다.
발음상의 큰 차이는 남한에서 두음법칙을 인정하는 데 대해, 북한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남한의 [낙원(樂園), 양심(良心)], [여자(女子), 요소(尿素)]가 북한에서는 [락원, 량심], [녀자, 뇨소]로 발음된다. 자음동화도 차이를 보인다. 남한에서는 [심리, 항로]와 같이 받침 [ㅁ, ㅇ] 뒤의 [ㄹ]이나, [독립, 협력]과 같이 받침 [ㄱ, ㅂ] 뒤의 [ㄹ]을 [ㄴ] 소리로 발음한다. 그런데 북한에서는 모든 모음 앞의 [ㄹ]을 본래의 소리대로 발음한다. 이 밖에 경음화, 음운 첨가 등에도 차이를 보인다. 예를 몇 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괄호 안에서 앞의 것이 북한 발음이다)
가공적[쩍/적], 넓다[넙따/널따], 돌배[돌빼/돌배], 물약[물약/물략], 색연필[생연필/새견필], 일일이[일이리/일리리], 탁발승[탁빨
추천자료
한국 복식
한국사 새로보기
한국 전통문학과 외래문학의 특성
대학원 학업계획서 대학원학업계획서 학업계획 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계획서 사회복지대학원...
고전시가에 나타난 이미지
신생국가의 민족주의
2010_3_12_동북아_여진족
[남북협력][남북한협력][남북한공동협력][남북공동협력][북한]남북한의 공동 보훈협력, 남북...
바벨탑에서 백두산으로의 이동사와 그 의의
가족주의와 혈연, 지연, 학연의 관계에 대한 견해 - 가족주의(家族主義)와 삼연(三緣)
잃어버린역사를 찾아서 기말고사 정리자료
제11강 청소년과 다문화
[자원봉사론]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여성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원봉사...
[다문화 자녀양육] 다문화가정 아동 자녀양육의 문제점을 서술하고 해결방안을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