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 외래어와 차용어에 대한 정의
Ⅱ. 본론 - 외래어와 차용어의 구체적 사례들
Ⅲ. 결론
Ⅱ. 본론 - 외래어와 차용어의 구체적 사례들
Ⅲ. 결론
본문내용
방의 한 음향기기 메이커가 상품을 발매, 고베 지방을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것이 우리 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다. 일본에서는 `일본어 가운데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말` 중 가장 상단에 올려 놓을 만큼 성공한 조어(造語)로 인식하고 있다.
가미카제
고려를 굴복시킨 원(元)세조 쿠빌라이 칸은 내친 김에 일본까지 정복하려 했다. 충렬왕 즉위 원년인 1274년 10월 3만명의 여.몽(麗蒙)연합군은 합포(合浦.지금의 마산)를 출발, 일본 규슈의 하카타(博多)를 공격했으나 태풍으로 실패한다.
7년 뒤인 1281년 쿠빌라이는 다시 14만명의 대군을 동원, 2차 일본 정벌에 나서지만 역시 태풍으로 실패한다. 일본 규슈지방에 음력 10월(1차 정벌)들어 태풍이 올 확률이 1.4%, 8월 초(2차 정벌)에 태풍이 올 확률은 4% 정도라는 게 기상전문가들의 계산이다. 따라서 여.몽연합군이 두차례에 걸쳐 연거푸 태풍을 만날 확률은 1%도 안된다.
당시 몽고군의 막강한 육상전력을 감안하면 두차례 중 한번만이라도 태풍이 불지 않았으면 일본 정벌은 성공했을 것이다. 그러니 일본인들이 이 태풍을 `신이 보내준 바람` , 즉 `가미카제(神風)` 로 부르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이로부터 6백63년 뒤인 1944년 가미카제 자살특공대가 등장한다. 이해 10월 제2항공사령관으로 필리핀 마닐라에 부임한 오니시 다키지로(大西瀧治郞)중장이 점점 숨통을 조여오는 미 항공모함을 공격하기 위해 창안해 냈다. 그가 예하 201해군항공대에 \"제로전투기(零戰)에 2백50㎏의 폭탄을 싣고 육탄돌격하는 것 외에 확실한 공격법이 없다고 생각한다\" 고 말하자 세키 유키오(關行男)대위 등 24명이 자원, 최초의 `가미카제특별공격대` 가 창설됐다. 그러나 당시 이를 `가미카제` 라고 부른 것은 아니다. `神風` 의 한자식 발음인 `신푸` 로 불렀는데, 전후에 일반인들이 자살특공대를 통틀어 가미카제로 부르면서 이 이름이 굳어졌다.
어쨌든 이후 3천5백여명에 달하는 젊은이들이 `천황폐하만세` 를 외치며 불에 뛰어드는 불나방처럼 무모한 자살공격을 감행했다. 이로 인해 3백50척이 넘는 연합군 전함이 피해를 봤지만 전세를 뒤집기엔 역부족이었다.
가십
가십은 흥미본위의 뜬소문이다. 근거없는 이야기인데, 영어 `gossip`에서 온 외래어로 신문의 `만필(漫筆)`이란 뜻도 있다. 하지만 어원은 신성한 `god`에 닿아 있으므로 매우 불행하게 어의(語義)가 전성된 셈이다. 그 과정을 보면 이렇다.
`gossip`을 고대 영어에서는 `godsibb`으로 썼다. `god`은 `신(神 )`, `sibb`는 `-에 관계가 있다`란 뜻이므로 `gossip`은 `신과 관계있는 사람`, `신의 혈연자`란 말이 된다. 실제로 `대부(代父)`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나중에 이것이 바뀌어 `허물없는 사람`, `친구`라는 뜻이 되었고, 다시 그런 사람들과의 `부담없는 대화`란 의미로 쓰이다가 다시 `뜬소문`, `험담`이란 뜻으로까지 추락했다.
게라
`교정쇄(校正刷)`를 가리키는 일본어로, 영어`galley`를 일본식으로 발음할 것이다.
`galley`는 고대 그리스 시대나 중세 지중해를 항해했던 범선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배 밑바닥이 얕고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비슷한 모양의 `문선(文選)용 나무틀`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틀에 문선된 납활자를 집어넣은 뒤 잉크를 발라 교정용으로 찍어낸 종이를 `게라쇄`라고 했는데, 나중에는 `쇄`를 빼고 그냥 `게라`라 부르게 되었다. 즉 처음에는 나무틀을 지칭하다가 나중에는 교정쇄를 가리키는 말이 된 것이다. 활판인쇄가 사라진 지금은 그런 교정쇄를 볼 수 없지만, 신문사 등 인쇄매체에서는 지금도 컴퓨터에 입력해 프린터로 출력한 교정쇄를 `게라`라고 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순화어는 `교정쇄`이다.
게릴라
정면에서 싸워 승산이 없을 때 몇몇 소부대로 하여금 적의 허를 찔러 소전투나 기습을 반복하여 적을 교란하는 전법이나 그 부대를 게릴라라고 한다. 한자어로는 `유격전(遊擊戰)`이나 `유격대(遊擊隊)`라고 하는데, `작은 전쟁`이란 뜻의 스페인어 `guerilla`에서 온 말이다.
1808년 유럽의 지배자가 된 나폴래옹이 인접국인 스페인을 정복하고 양민들을 괴롭히자, 일단의 마드리드 시민들이 돌과 몽둥이를 들고 있어섰다. 그러나 폭동은 곧 프랑스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그 보복으로 수많은 시민들이 학살을 당하게 된다. 이를 보다 못한 청년들이 전국에서 일제히 무기를 들고 산악지대로 숨어들어 프랑스군과 소위 `작은 전쟁`을 벌이게 된다. 게릴라란 말은 이 같은 스페인의 저항이 전 세계로 알려지면서 정착된 것이다. 훗날 나폴레옹은 이를 가리켜 `스페인의 궤양(潰瘍)이 나를 파괴했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고무
고무는 고무나무 껍질에서 나오는 액체로 만든 물질로 신발이나 타이어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순 우리말 같지만 사실은 일본이 네덜란드어 `gom`을 들여와 `고무(ゴム)`라는 외래어로 만들어 쓰던 것이다. 뿌리는 라틴어 `gummi`. 식사 후 씹는 `껌`도 라틴어 `gummi`에 그 뿌리가 있다. 결국 똑같은 말이 네덜란드어(gom)를 통해 일본을 거쳐 들어왔을 때는 `고무`가 되었고, 영어(gum)를 통해 우리말에 직접 들어왔을 때는 `껌`이 되었으므로-원래는 `씹는 고무`라는 뜻의 `추잉검(chewing gum)`이 줄어든 말이지만- 유입경로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고정된 색다른 경우이다.
껌(추잉검)은 중앙아메리카 원주민인 마야족이 사포딜라나무 껍질에서 채취한 수액을 굳혀 씹던 것인데, 콜럼버스의 식민지 정복 이후 세계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에는 8.15광복 후 미군에 의해 전파되었다.
고수부지
`여의도 고수부지`처럼 큰물이 날 때만 물에 잠기는 강가의 터를 고수부지라고 한다.
`고수(高水)`는 `홍수를 막기 위한 하천 제방공사`란 뜻인 일본어 `고스이코지(高水工事,こうすいこうじ)`를 줄인 말이고, `부지(敷地)`는 `비어 있는 터`를 가리키는 일본어 `시키치(敷地,しきち)`에서 온 말인데, 80년대 한강변에 이를 조성하는 일을 맡은 서울시 공무원들이 생각없이 갖다
가미카제
고려를 굴복시킨 원(元)세조 쿠빌라이 칸은 내친 김에 일본까지 정복하려 했다. 충렬왕 즉위 원년인 1274년 10월 3만명의 여.몽(麗蒙)연합군은 합포(合浦.지금의 마산)를 출발, 일본 규슈의 하카타(博多)를 공격했으나 태풍으로 실패한다.
7년 뒤인 1281년 쿠빌라이는 다시 14만명의 대군을 동원, 2차 일본 정벌에 나서지만 역시 태풍으로 실패한다. 일본 규슈지방에 음력 10월(1차 정벌)들어 태풍이 올 확률이 1.4%, 8월 초(2차 정벌)에 태풍이 올 확률은 4% 정도라는 게 기상전문가들의 계산이다. 따라서 여.몽연합군이 두차례에 걸쳐 연거푸 태풍을 만날 확률은 1%도 안된다.
당시 몽고군의 막강한 육상전력을 감안하면 두차례 중 한번만이라도 태풍이 불지 않았으면 일본 정벌은 성공했을 것이다. 그러니 일본인들이 이 태풍을 `신이 보내준 바람` , 즉 `가미카제(神風)` 로 부르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이로부터 6백63년 뒤인 1944년 가미카제 자살특공대가 등장한다. 이해 10월 제2항공사령관으로 필리핀 마닐라에 부임한 오니시 다키지로(大西瀧治郞)중장이 점점 숨통을 조여오는 미 항공모함을 공격하기 위해 창안해 냈다. 그가 예하 201해군항공대에 \"제로전투기(零戰)에 2백50㎏의 폭탄을 싣고 육탄돌격하는 것 외에 확실한 공격법이 없다고 생각한다\" 고 말하자 세키 유키오(關行男)대위 등 24명이 자원, 최초의 `가미카제특별공격대` 가 창설됐다. 그러나 당시 이를 `가미카제` 라고 부른 것은 아니다. `神風` 의 한자식 발음인 `신푸` 로 불렀는데, 전후에 일반인들이 자살특공대를 통틀어 가미카제로 부르면서 이 이름이 굳어졌다.
어쨌든 이후 3천5백여명에 달하는 젊은이들이 `천황폐하만세` 를 외치며 불에 뛰어드는 불나방처럼 무모한 자살공격을 감행했다. 이로 인해 3백50척이 넘는 연합군 전함이 피해를 봤지만 전세를 뒤집기엔 역부족이었다.
가십
가십은 흥미본위의 뜬소문이다. 근거없는 이야기인데, 영어 `gossip`에서 온 외래어로 신문의 `만필(漫筆)`이란 뜻도 있다. 하지만 어원은 신성한 `god`에 닿아 있으므로 매우 불행하게 어의(語義)가 전성된 셈이다. 그 과정을 보면 이렇다.
`gossip`을 고대 영어에서는 `godsibb`으로 썼다. `god`은 `신(神 )`, `sibb`는 `-에 관계가 있다`란 뜻이므로 `gossip`은 `신과 관계있는 사람`, `신의 혈연자`란 말이 된다. 실제로 `대부(代父)`의 뜻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나중에 이것이 바뀌어 `허물없는 사람`, `친구`라는 뜻이 되었고, 다시 그런 사람들과의 `부담없는 대화`란 의미로 쓰이다가 다시 `뜬소문`, `험담`이란 뜻으로까지 추락했다.
게라
`교정쇄(校正刷)`를 가리키는 일본어로, 영어`galley`를 일본식으로 발음할 것이다.
`galley`는 고대 그리스 시대나 중세 지중해를 항해했던 범선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배 밑바닥이 얕고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비슷한 모양의 `문선(文選)용 나무틀`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틀에 문선된 납활자를 집어넣은 뒤 잉크를 발라 교정용으로 찍어낸 종이를 `게라쇄`라고 했는데, 나중에는 `쇄`를 빼고 그냥 `게라`라 부르게 되었다. 즉 처음에는 나무틀을 지칭하다가 나중에는 교정쇄를 가리키는 말이 된 것이다. 활판인쇄가 사라진 지금은 그런 교정쇄를 볼 수 없지만, 신문사 등 인쇄매체에서는 지금도 컴퓨터에 입력해 프린터로 출력한 교정쇄를 `게라`라고 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순화어는 `교정쇄`이다.
게릴라
정면에서 싸워 승산이 없을 때 몇몇 소부대로 하여금 적의 허를 찔러 소전투나 기습을 반복하여 적을 교란하는 전법이나 그 부대를 게릴라라고 한다. 한자어로는 `유격전(遊擊戰)`이나 `유격대(遊擊隊)`라고 하는데, `작은 전쟁`이란 뜻의 스페인어 `guerilla`에서 온 말이다.
1808년 유럽의 지배자가 된 나폴래옹이 인접국인 스페인을 정복하고 양민들을 괴롭히자, 일단의 마드리드 시민들이 돌과 몽둥이를 들고 있어섰다. 그러나 폭동은 곧 프랑스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그 보복으로 수많은 시민들이 학살을 당하게 된다. 이를 보다 못한 청년들이 전국에서 일제히 무기를 들고 산악지대로 숨어들어 프랑스군과 소위 `작은 전쟁`을 벌이게 된다. 게릴라란 말은 이 같은 스페인의 저항이 전 세계로 알려지면서 정착된 것이다. 훗날 나폴레옹은 이를 가리켜 `스페인의 궤양(潰瘍)이 나를 파괴했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고무
고무는 고무나무 껍질에서 나오는 액체로 만든 물질로 신발이나 타이어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순 우리말 같지만 사실은 일본이 네덜란드어 `gom`을 들여와 `고무(ゴム)`라는 외래어로 만들어 쓰던 것이다. 뿌리는 라틴어 `gummi`. 식사 후 씹는 `껌`도 라틴어 `gummi`에 그 뿌리가 있다. 결국 똑같은 말이 네덜란드어(gom)를 통해 일본을 거쳐 들어왔을 때는 `고무`가 되었고, 영어(gum)를 통해 우리말에 직접 들어왔을 때는 `껌`이 되었으므로-원래는 `씹는 고무`라는 뜻의 `추잉검(chewing gum)`이 줄어든 말이지만- 유입경로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고정된 색다른 경우이다.
껌(추잉검)은 중앙아메리카 원주민인 마야족이 사포딜라나무 껍질에서 채취한 수액을 굳혀 씹던 것인데, 콜럼버스의 식민지 정복 이후 세계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에는 8.15광복 후 미군에 의해 전파되었다.
고수부지
`여의도 고수부지`처럼 큰물이 날 때만 물에 잠기는 강가의 터를 고수부지라고 한다.
`고수(高水)`는 `홍수를 막기 위한 하천 제방공사`란 뜻인 일본어 `고스이코지(高水工事,こうすいこうじ)`를 줄인 말이고, `부지(敷地)`는 `비어 있는 터`를 가리키는 일본어 `시키치(敷地,しきち)`에서 온 말인데, 80년대 한강변에 이를 조성하는 일을 맡은 서울시 공무원들이 생각없이 갖다
추천자료
[사회과학] 여가의 개념
선교의 과업
우파니샤드의 이해
미술의 이해와 교육
국내스포츠 시장의 소비자 성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 문화 연구 고찰
[한국게임시장]게임의 정의와 게임산업의 정의와 특성.종류 및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발전 방안
[사복조사]조사론정리1-사회복지조사방법기초
교육행정의 개념과과 역사 및 성격, 교육행정 기본원리
중국의 민주화 운동
[환대서비스] 환대서비스의 개념과 특징
온라인게임의 정의와 특성과 분류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레크리에이션의 개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직무와 역할 - 레크리에...
페미니즘의 정의,역사,등장배경연구와 페미니즘 주요이론연구및 사례분석및 한국의 페미니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