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가설 설정 및 목표 ◎
◎ 교실 붕괴의 정의 및 현실 ◎
◎ 교실 붕괴의 원인 ◎
◎ 교실 붕괴 해결 방안 ◎
참고 문헌 (검색 자료 포함)
◎ 교실 붕괴의 정의 및 현실 ◎
◎ 교실 붕괴의 원인 ◎
◎ 교실 붕괴 해결 방안 ◎
참고 문헌 (검색 자료 포함)
본문내용
것도 없다. 그리고 이러한 의심의 세례를 거친 뒤에야 새로운 환경에 부합되는 학교의 형식과 내용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적으로 현재와 같은 학교의 교육 독점체제를 제도적으로 해소해야 하는 방안이 있다. 물론 부분적으로는 이미 학점은행제나 사이버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평생교육 정책들에 의해 이러한 방향으로 변화하고는 있다. 그러나 학점은행제 조차 최종적으로는 현행 학교체제의 인증을 받는 절차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시각에 따라서는 현재의 평생교육 정책은 학교의 틀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전 사회의 학교 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단기적으로 볼 때 이는 자칫 교육의 실질적인 질을 교육내용을 압도하는 것이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물론 이렇게 말한다고 해서 미래사회가 ‘탈학교사회’가 되어야 한다거나 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사실 탈학교사회라 하더라도 미시적 수준에서의 제도화된 학교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완전한 의미의 탈학교란 불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현재와 같은 학교의 교육독점체제를 제도적으로 해소하자는 말은 예컨대 이런 것들이다. 즉, 최근의 일부 탈학교운동 단체가 중장하듯이 모든 인력선발에서 학력 기재를 하지 못하게 한다든지, 또는 모든 상급학교 진학 시 요구하는 전 단계 학력 증명서를 폐지한다든지 하는 것이다. 어디서 어떻게 학습을 했든지 간에 응시자의 실질적인 실력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현재와 같은, 또는 전혀 다른 형태의 학교교육은 여전히 유지하는 것이다. 자격증 부여가 없는 학교가 유지될 수 있겠는가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최고의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있다면 충분히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을 통한 지적 만족 외에 아무론 유인가도 없는 일부 사회단체의 강좌들이 상당한 호황을 누리는 사례에서 이러한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교실붕괴의 심리학적 접근으로 본 대책 방안 이다.
Thorndike의 강화이론: 강화 이론은 행동에 대해 강화물이 주어질 때 그 반응의 빈도,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강화물에는 행동 후에 칭찬, 상 등을 제공함으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정적 강화물과 행동 후 고통을 제거시킴으로 행동을 증가시키는 부적 강화물이 있다. 강화 이론은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할 뿐 아니라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Roger의 내담자 중심 상담이론: 이 이론의 교육적 의의는 교사는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생각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내담자를 상담관계에 있어서 보다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해야 함을 일깨워준다는 점이다.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무관심하게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담 치료의 목적을 위해 그들의 마음에 상처를 씻어주어야 할 것이다, 상담으로 학생들을 지도할 때 교육을 요구하고 받는 수요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무엇보다 학생들을 편애하지 않고 모든 아이들을 공평하고 일관된 마음으로 바라보는 교사의 지혜가 필요하다.
가정의 역할 강화: 교실 붕괴의 원인 중 가정의 붕괴가 있었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무관심은 더 나아가 그들이 다니는 학교와 교사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졌고, 이로써 교실 붕괴가 야기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자식에 대한 관심과 애정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학교와 교사에 대한 관심은 교실 붕괴를 완화시킬 수 있다.
교육정책의 변화: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방법보다는 결과가 중시된다. 이러한 교육 정책은 아이들로 하여금 학교, 교실, 수업에서 멀어지게 한다. 이러한 교육 정책을 방법 중심의 교육관으로 바뀌어야 한다.
참고 문헌 (검색 자료 포함)
♣윤정일(1999),“학교교육 붕괴의 종합 진단과 대책 학교교육 붕괴,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제 33회 교육정책 토론회
♣강태중, 이종태, 이명준(1996), ‘새학교’ 구상 :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안 탐색, 한국 교육 개발원
♣정종진(1998) 뉴질랜드의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이한 (1998), 학교를 넘어서, 서울 : 민들레
♣윤정일, 허형 엮음(2002) 훌륭한 교사가 되는 길, 서울 : 교육과학사
♣엄기형, `<학교붕괴>현상의 비판적 이해-학교의 붕괴이지 교육의 붕괴는 아니다-`,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학교 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윤정일 외, 『과외실태 조사연구』,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1997.
♣이인규, `무너지는 학교, 흔들리는 교단,` 창작과 비평, 27권 3호(1999, 가을),
♣이주호·우천식, `한국교육의 실패와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KDI정책연구』, 20권 I-II호, 1998, pp. 79-140.
♣전종호a, `우리나라의 학교붕괴 현상의 원인,`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 게 살릴것인가-학교 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전종호b, `학교붕괴현상의 실상과 대책`, 한일교육포럼, 1999.11.22
♣정범모 외,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입시와 입시교육의 개혁』, 나남, 1993.
♣조난심 외,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 1998.5
♣조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1997, pp.103-111
♣지현주, `사회적 위기, 일본의 학급붕괴,`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게 살 릴 것인가 -학교 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한국소비자보호원, 『사교육비 지출실태 및 경감방안』, 1997.5
♣“학급 경영” -저자 박병량. (학지사)
♣“학급 경영론” -저자 권기욱. (원미사)
▶ www.naver.com 검색 인터뷰 자료,
▶ www.daum.net 검색 자료.
▶http://www.onreport.co.kr/data/170/F169529.html
▶ http://webtutor.pe.kr/cgi-bin/CrazyWWWBoard.cgi?db=edcom5&mode=read&num=2 82&page=1&ftype=6&fval=&backdepth=1
마지막으로 교실붕괴의 심리학적 접근으로 본 대책 방안 이다.
Thorndike의 강화이론: 강화 이론은 행동에 대해 강화물이 주어질 때 그 반응의 빈도,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강화물에는 행동 후에 칭찬, 상 등을 제공함으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정적 강화물과 행동 후 고통을 제거시킴으로 행동을 증가시키는 부적 강화물이 있다. 강화 이론은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할 뿐 아니라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Roger의 내담자 중심 상담이론: 이 이론의 교육적 의의는 교사는 학생의 눈높이에 맞춰 생각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내담자를 상담관계에 있어서 보다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해야 함을 일깨워준다는 점이다.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무관심하게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담 치료의 목적을 위해 그들의 마음에 상처를 씻어주어야 할 것이다, 상담으로 학생들을 지도할 때 교육을 요구하고 받는 수요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무엇보다 학생들을 편애하지 않고 모든 아이들을 공평하고 일관된 마음으로 바라보는 교사의 지혜가 필요하다.
가정의 역할 강화: 교실 붕괴의 원인 중 가정의 붕괴가 있었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무관심은 더 나아가 그들이 다니는 학교와 교사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졌고, 이로써 교실 붕괴가 야기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자식에 대한 관심과 애정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학교와 교사에 대한 관심은 교실 붕괴를 완화시킬 수 있다.
교육정책의 변화: 우리나라의 교육 정책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방법보다는 결과가 중시된다. 이러한 교육 정책은 아이들로 하여금 학교, 교실, 수업에서 멀어지게 한다. 이러한 교육 정책을 방법 중심의 교육관으로 바뀌어야 한다.
참고 문헌 (검색 자료 포함)
♣윤정일(1999),“학교교육 붕괴의 종합 진단과 대책 학교교육 붕괴, 이대로 방치할 것인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제 33회 교육정책 토론회
♣강태중, 이종태, 이명준(1996), ‘새학교’ 구상 :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안 탐색, 한국 교육 개발원
♣정종진(1998) 뉴질랜드의 교육, 서울 : 교육과학사
♣이한 (1998), 학교를 넘어서, 서울 : 민들레
♣윤정일, 허형 엮음(2002) 훌륭한 교사가 되는 길, 서울 : 교육과학사
♣엄기형, `<학교붕괴>현상의 비판적 이해-학교의 붕괴이지 교육의 붕괴는 아니다-`,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학교 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윤정일 외, 『과외실태 조사연구』,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1997.
♣이인규, `무너지는 학교, 흔들리는 교단,` 창작과 비평, 27권 3호(1999, 가을),
♣이주호·우천식, `한국교육의 실패와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KDI정책연구』, 20권 I-II호, 1998, pp. 79-140.
♣전종호a, `우리나라의 학교붕괴 현상의 원인,`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 게 살릴것인가-학교 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전종호b, `학교붕괴현상의 실상과 대책`, 한일교육포럼, 1999.11.22
♣정범모 외,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입시와 입시교육의 개혁』, 나남, 1993.
♣조난심 외,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 원, 1998.5
♣조혜정,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1997, pp.103-111
♣지현주, `사회적 위기, 일본의 학급붕괴,` 전교조 참교육 토론회 `학교를 어떻게 살 릴 것인가 -학교 붕괴의 원인과 진단` 발표 원고, 1999.9.30.
♣한국소비자보호원, 『사교육비 지출실태 및 경감방안』, 1997.5
♣“학급 경영” -저자 박병량. (학지사)
♣“학급 경영론” -저자 권기욱. (원미사)
▶ www.naver.com 검색 인터뷰 자료,
▶ www.daum.net 검색 자료.
▶http://www.onreport.co.kr/data/170/F169529.html
▶ http://webtutor.pe.kr/cgi-bin/CrazyWWWBoard.cgi?db=edcom5&mode=read&num=2 82&page=1&ftype=6&fval=&backdepth=1
추천자료
영어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분류와 목적, 영어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선행...
단계형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개념과 목표, 단계형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운...
수학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유형, 수학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교...
과학과의 탐구학습(탐구수업, 탐구교육), 사회과의 탐구학습(탐구수업, 탐구교육), 국어과의 ...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사회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교수...
도덕과(도덕교육) 일반학습(일반적수업) 배경과 의의, 도덕과(도덕교육) 일반학습(일반적수업...
과학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의 의미와 구성, 과학과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지도...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특징,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
열린교육의 개념, 열린교육의 구성, 열린교육의 국어과 수업(국어교육), 열린교육의 영어과 ...
단계형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정의와 취지, 단계형 수준별학습(수업, 교육과정) 유의점...
수학과(교육) 활동중심학습(수업)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수학과(교육) 활동중심학습(수업)의...
과학과(과학교육) 측정학습(측정수업)의 정의, 과학과(과학교육) 측정학습(측정수업)의 사례,...
복식학급(복식수업, 복식학습, 교육) 정의와 특징, 복식학급(복식수업, 복식학습, 교육) 장단...
영어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 개념과 이론적 배경, 영어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