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문화와 건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집트 문화와 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집트의 역사적 배경
1. 파라오 이전의 상,하 이집트
2. 이집트 고대 역사 : 파라오들의 시대
1) 초기왕조시대 (기원전 3000-2780년경)
2) 고왕국시대 (기원전 2780-2270년경)와 제 1중간기 (기원전 2263-2040년)
3) 중왕국 시대 (기원전 2133-1785년)와 제 2중간기 (기원전 1785-1575년)
4) 신왕국시대 (기원전 1575-1085년)와 제 3중간기 (기원전 1085-664년)


Ⅱ. 이집트 건축
1. 개요
2. 건축양식의 특성
3. 분묘건축
4. 신전건축
5. 기타건축
6. 주거건축

본문내용

면에는 오벨리스크를 건립
- 내부계획
탑문, 중정, 다주실, 성소의 순서로 직선축상에 배치
참도로부터 성소에 이르는 직선의 진입동선이 신전구성이 주축을 형성
중정에서 다주실을 거쳐 성소로 접근할수록 비닥은 높아지고 천장은 낮아서 공간의 투시효과를 창출
다주실은 상부에서 설치된 고측창을 통하여 채광
- 형 태
람세스 2세 신전
평지붕의 계단식 형태
신전 주위벽은 안쪽으로 70도 정도 경사진 조적조의 경사벽
참도로부터 성소에 이르는 주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태
- 카르낙의 암몬신전, 카르낙, B.C.1971~633년
- 룩소르의 암몬신전, 룩소르, B.C.1411~1225년
- 테베의 람세스2세 신전, 테베, B.C.1301년
룩소르의 암몬 대신전
장제신전
- 멘투헤텝 신전, 델-엘-바하리, B.C.1991년 - 열주에 의해 지지되는 정방형의 2중기단 위에 피라미드를 가설한 형태
U- 좼셉수트 여왕 신전, 델-엘-바하리, B.C.1501년 - 당시 이집트 왕궁 전속 건축가 센무트기 설계한 신전으로 산의 절벽을 배경으로 멘투헤텝 신전과 나란히 배치되고 열주에 의해지지되는 3단의 넓은 테라스를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로를 통해 성소에 진입
- 람세스 2세 암굴신전, 아부심벨, B.C.1301년, 입구 전면에 4개의 거대한 조각상이 위치한 암굴신전
오벨리스크
5. 기타건축
오벨리스크
- 신전의 정면에 위치한 단순기둥 형태의 석조 탑
- 왕권을 상징하며 신전 진입시 엄숙감을 부여
- 탑신에는 배흘림 기법을 적용했으며 왕권찬양, 전승축사, 건립상황 등을 음각으로 조각
스핑크스
- 피라미드 또는 신전에서 수호신이나 제단의 역할
- 종류
수두인신 - 동물조상관에 따라 머리는 동물 몸은 사람의 형태
인두수신 - 신인동격관에 따라 머리는 사람 몸은 짐승의 형태
스 핑 크 스
6. 주거건축
건축개요
이집트인의 종교관에 따라 주거는 일시적 거처로서 간주. 다른 건축분야에 비해 발달이 부진
주로 흙벽돌과 목재를 이용하였으며 지붕은 평지붕
종 류
- 귀족주택
텔 엘 아마르나 주거 - 흙벽돌을 이용한 평지붕, 중정형식의 귀족주택
중앙의 홀을 중심으로 가족, 손님, 하인용 공간으로 구분
중앙 홀은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다른 부분보다 높고 상부에 창이
설치
하지만 이곳은 저밀도 주거 환경을 형성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주거 형식 이라고 생각 하지는 않는다.
테베의 도시 주거 - 고밀도의 주거환경을 형성하여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다층형 주택 건축
신왕조 시대(B.C 1553~1085)이후에 다층 주 택이 일반적이었을 것으로 추정
- 노동자 집단주거지
카훈의 집단주거 - 파라오 무덤건설에 동원된 노동자들의 집단주 거지,
노동자 이탈 방지를 위해 성벽으로 둘러싸인 정방형에 가까운 형태
동서 두 구역으로 구분, 동쪽 구역은 상류주택 9채가 위치, 서쪽 구역은 일반 노동자 주택들이 가로를 따라 촘촘히 배치
텔 엘 아마르나 노동자 집단 주거 - 다섯 개의 가로를 중심으로 집합된 형태
입구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프라이버시 고려
홀, 거실, 침실, 부엌 네 개의 공간으로 구성
디에르 엘 메디아 - 파라오 무덤장식에 동원된 노동자들의 집단주거로 B.C 1500년경 성립
주거지가 세월을 지나면서 조금씩 성장
(하나의 가로를 중심으로 마주보게 배열→처음 구축된 방어벽 밖으로 주택이 추가되어 또 하나 의 가로 형성되어 주거지 범위가 넓어짐)
초기에는 노동자 집단주거지에서 일반인 주거지로 변화
홀, 거실, 침실, 부엌 네 개의 공간으로 구성
■ 참고문헌
빈난트 클라센, 『서양건축사』, 조철희 옮김, 서울:대우출판사, 1991
손세관, 『도시주거 형성의 역사』, 서울:열화당, 2000
패트릭 넛갠스, 『건축이야기』, 윤길순 옮김, 서울:동녘출판사, 2001
조너선 글랜시,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건축의 역사』, 강주헌 옮김, 서울:시공사, 2002
http://new.photo.naver.com/ArticleRead.nhn?did=31&articleNum=20050706180211510
http://www.auric.or.kr/community/club/club_index.asp?club_code=372 (민영기의 건축공부방)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eid=uQ8SKkrY7AxJfAwsKP0FPB%2FT6wsexUun
http://kin.naver.com/open100/entry.php?eid=7s0GJTWFe%2BAWqbWe148k1oXk3fuC2lMM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2.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