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관
-건축양식특성
2. 비잔틴미술의 정의
3. 비잔틴문화의 배경
4. 비잔틴미술
5. 교회건축
-건축양식특성
2. 비잔틴미술의 정의
3. 비잔틴문화의 배경
4. 비잔틴미술
5. 교회건축
본문내용
로 꼽힌다. 암흑시대 수도사들은 성직자이면서 동시에 교사, 예술가였는데 초기 채색사본들은 대개 이들에 의해서 제작되었다. 작품의 주된 목적은 성서의 내용과 그 의미와 느낌을 감동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세밀화 - 채색사본
<린드스판의 서: 8세기초, 미니어쳐 런던>
비잔틴 양식의 독자적이고 진보된 예술업적은 채색 필사본에 서 찾아 볼 수 있다.
사본의 작가들은 성서의 내용과 그 의미를 그리고 느낌을 감동 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는데 초기에는 대개 복잡하고 정교한 장 식문양을 이루거나 기하학적인 방법으로 인물을 표현하는데 주력하였다.
비잔틴에서는 726년 황제의 성상 금지령이 선포되었다. 성상 금지령은 그리스도와 성인, 성모마리아등을 형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금지하는 운동이었다. 오늘날 우리가 그리스의 벽화나 원본 조각상을 볼 수 없는 이유도 이 시기에 모두 파괴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이것의 근거는 '나 이외에 우상을 섬기지 말라'는 성서의 기록인데, 이는 교리적으로는 성상 남용에 대한 반발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교황 권한의 확장에 대한 왕권 회복 운동이었다. 한편 로마 교회에서는 게르만 족을 크리스트교로 개종시키는데 성상이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이를 반대하였다. 그후, 비잔틴 황제를 수장으로 하는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로마 카톨릭으로 갈라져(1054),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내부의 분열과 게르만족의 계속된 침입에 쇠약해진 서로마 제국은 4세기 후반 멸망하고 로마를 멸망시킨 게르만족은 로마의 옛 땅에 지방왕국을 형성하고 로마문명의 유산을 흡수하고 기독교에 동화된다. 유럽의 중세문화는 추상적이고 초월적인 성격을 지닌 초기 기독교 미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게르만족의 추상 장식문양에서도 커다란 영향을 입었다.
한마디로 중세유럽의 미술가들은 사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일에 관심이 없었다. 그들은 성서의 내용과 의미를 전달하려고 했고, 현실이란 언제나 덧없고 순간적이라고 생각한 중세 미술가들에게 중요한 것은 변 치 않는 신의 정신을 마음으로 느끼고 표현하는 일이었다.
5. 교회건축
건축개요
1)초기 기독교 시대의 바실리카식 교회의 장축형 평면구성에서 탈피하여 돔에 의한 집중형 평면을 사용
2)집중형 평면구성
-집중형 평면 또는 유심형 평면이라고 함
-중앙에 대형 돔을 가설하고 돔의 하부공간을 신랑으로 이용
-대형 돔주위에 소형 돔을 가설하고 하부공간을 측랑으로 이용
-대형 돔을 지지하는 아케이드와 열주가 신랑과 측랑을 공간적을 분리
-평면은 중앙의 대형 돔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되는 집중형 또는 그리스 십자형 형태
내부 공간
-종래의 바실리카식 교회가 장축형 공간을 형성하였다면 집중형 평면의 교회는 구심적 공간을 형성
-대형 돔 하부의 공간을 중심으로 주위 소형 돔 하부의 공간이 유기적으로 통합
-돔 하부의 고창을 통해 내부공간에 채광
건축실례
성 소피아 성당, 콘스탄티노플, 532~537년
-비잔틴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자 최대규모의 성당
-건축가 안테미우스와 이시도루스에 의해 건설
-서로마의 비실리카식 장축형 평면구성과 동로마의 중앙집중식 평면구성을 성공적으로 통합
-주공간인 중앙돔 하부의 신랑과 부공간인 반구형 돔 하부의 후진과 측랑 등의 공간이
상호유기적 으로 통합됨
-벽돌로 조적된 직경 30m의 중앙 돔은 펜덴티브와 주위의 반구형 돔에 의해 지지
-벽과 기둥은 대리석으로 돔과 보울트, 바닥은 모자이크로 치장되어 내부공간이 매우 화려
성 세르기우스와 바커스 성당, 콘스탄티노플, 527년
성 비탈레 성당, 라벤나, 526~547년
성 마르크 성당, 베니스, 864년, 1085년 재건
세밀화 - 채색사본
<린드스판의 서: 8세기초, 미니어쳐 런던>
비잔틴 양식의 독자적이고 진보된 예술업적은 채색 필사본에 서 찾아 볼 수 있다.
사본의 작가들은 성서의 내용과 그 의미를 그리고 느낌을 감동 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는데 초기에는 대개 복잡하고 정교한 장 식문양을 이루거나 기하학적인 방법으로 인물을 표현하는데 주력하였다.
비잔틴에서는 726년 황제의 성상 금지령이 선포되었다. 성상 금지령은 그리스도와 성인, 성모마리아등을 형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금지하는 운동이었다. 오늘날 우리가 그리스의 벽화나 원본 조각상을 볼 수 없는 이유도 이 시기에 모두 파괴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이것의 근거는 '나 이외에 우상을 섬기지 말라'는 성서의 기록인데, 이는 교리적으로는 성상 남용에 대한 반발이었지만 정치적으로는 교황 권한의 확장에 대한 왕권 회복 운동이었다. 한편 로마 교회에서는 게르만 족을 크리스트교로 개종시키는데 성상이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이를 반대하였다. 그후, 비잔틴 황제를 수장으로 하는 그리스 정교회와 로마 교황을 중심으로 하는 로마 카톨릭으로 갈라져(1054),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한편 내부의 분열과 게르만족의 계속된 침입에 쇠약해진 서로마 제국은 4세기 후반 멸망하고 로마를 멸망시킨 게르만족은 로마의 옛 땅에 지방왕국을 형성하고 로마문명의 유산을 흡수하고 기독교에 동화된다. 유럽의 중세문화는 추상적이고 초월적인 성격을 지닌 초기 기독교 미술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게르만족의 추상 장식문양에서도 커다란 영향을 입었다.
한마디로 중세유럽의 미술가들은 사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일에 관심이 없었다. 그들은 성서의 내용과 의미를 전달하려고 했고, 현실이란 언제나 덧없고 순간적이라고 생각한 중세 미술가들에게 중요한 것은 변 치 않는 신의 정신을 마음으로 느끼고 표현하는 일이었다.
5. 교회건축
건축개요
1)초기 기독교 시대의 바실리카식 교회의 장축형 평면구성에서 탈피하여 돔에 의한 집중형 평면을 사용
2)집중형 평면구성
-집중형 평면 또는 유심형 평면이라고 함
-중앙에 대형 돔을 가설하고 돔의 하부공간을 신랑으로 이용
-대형 돔주위에 소형 돔을 가설하고 하부공간을 측랑으로 이용
-대형 돔을 지지하는 아케이드와 열주가 신랑과 측랑을 공간적을 분리
-평면은 중앙의 대형 돔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이 되는 집중형 또는 그리스 십자형 형태
내부 공간
-종래의 바실리카식 교회가 장축형 공간을 형성하였다면 집중형 평면의 교회는 구심적 공간을 형성
-대형 돔 하부의 공간을 중심으로 주위 소형 돔 하부의 공간이 유기적으로 통합
-돔 하부의 고창을 통해 내부공간에 채광
건축실례
성 소피아 성당, 콘스탄티노플, 532~537년
-비잔틴 양식의 대표적인 건물이자 최대규모의 성당
-건축가 안테미우스와 이시도루스에 의해 건설
-서로마의 비실리카식 장축형 평면구성과 동로마의 중앙집중식 평면구성을 성공적으로 통합
-주공간인 중앙돔 하부의 신랑과 부공간인 반구형 돔 하부의 후진과 측랑 등의 공간이
상호유기적 으로 통합됨
-벽돌로 조적된 직경 30m의 중앙 돔은 펜덴티브와 주위의 반구형 돔에 의해 지지
-벽과 기둥은 대리석으로 돔과 보울트, 바닥은 모자이크로 치장되어 내부공간이 매우 화려
성 세르기우스와 바커스 성당, 콘스탄티노플, 527년
성 비탈레 성당, 라벤나, 526~547년
성 마르크 성당, 베니스, 864년, 1085년 재건
추천자료
미술가와 미술교사,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미술치료의 정의, 개념, 역사, 이론, 기법, 미술치료 사례 및 미술치료 프로그램
[한국근대 최초 여성작가][한국근대미술 작가][한국근대미술 주요작품][서양근대 미술][서양...
[추상표현주의][추상표현주의미술]추상표현주의(추상표현주의미술)의 개념과 추상표현주의(추...
초현실주의(초현실파) 미술의 특징과 특색, 초현실주의(초현실파) 미술의 역사와 모체, 초현...
[고려시대][예술][음악][불교미술][문학][고려시대 예술][고려시대 음악][고려시대 불교미술]...
[인상주의미술][마네]인상주의(인상파) 미술의 성격, 인상주의(인상파) 미술의 배경, 에두아...
[르네상스 미술][라파엘로 산치오]르네상스 미술의 기원, 르네상스 미술의 화파, 라파엘로 산...
[발상][미술과 발상의 기법][미술과 발상의 발달][미술과 발상의 방법][미술과 발상의 사례]...
[아동미술의 이해] 1장 미술의 역사와 조형활동 - 시대별 미술의 역사
[공공미술과도시환경] 한국형 공공미술의 실제와 전망 - 공공미술 사례분석(안양공공예술프로...
[★★평가우수자료★★][서양미술사] 서양미술사에서 아테나(Athena) 도상의 변화 양상 - 고대에...
페미니즘미술 : 페미니즘미술작품의 분석 ; 페미니즘미술의 형성배경과 특성
[미술치료 발전과정] 미술치료의 역사(미국, 독일, 영국, 일본, 한국에서의 미술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