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 프로그램(노인인지활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 프로그램(노인인지활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크게 불러 대답을 하면 이름표 를 달아준다.
-"오늘은 몇 월 몇 일 인가요"?
: 정확히 맞춘 사람에게 사탕주기
-다시 한번 다 같이 날짜를 맞춘 사람 따라 날짜 말하기
10
이름표, 사탕
전개
1. 우리 모두 다 함께 동요에 맞추어 율동
-우리모두 다함께 손뼉을(손뼉2회, 입으로 짝짝 소리내기), 고개를(끄덕 끄덕), 발굴러(쾅쾅), 사랑해(옆사람 보며 사랑해요), 다 함께 춤을(랄랄 랄랄)
2. 의자체조
3. 공 바구니 넣기
-청백으로 나누어 작은 공들을 바구니에 던져 많이 넣는 팀에 우승 3전2 선 승제
-공이 들어간 숫자를 큰 소리로 세서 이긴 팀을 확정한다.
-게임을 하고 나서 어떤 생각이 드는지 이야기 한다.
30
의자, 카세트,
작은 고무공 100개, 바구니
마무리
-약간의 간식을 먹으며 진행자가 정말 즐거웠고 이렇게 참석하여 주 셔서 감사하다고 인사를 한다.
-다음주 이 시간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공지한다.
10
유의점
-신체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체조는 매 회기마다 실시한다.
-진행자는 흥겹고 경쾌하게 진행하고, 노인들의 언어로 많은 칭찬과 지지가 필요하다.
-바구니 공 넣기를 할 때 보조 치료자들도 같이 참여시켜 좀 더 많 은 숫자의 공이 바구니에 들어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자신감과 만족감 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 개요
교육 제목
<제 7회> 낱말 맞추기, 풍선 배드민턴, 명절 이야기
교육 일시
4월 27일, 수요일, 오전 10:00∼11:00
소요 시간
소집: 10분, 진행: 50분 (1시간 소요)
교육 대상
노인병동 환자 10인
교육 장소
소극장
교육 목표
-신체활동을 활발히 하여 각 부위의 유연성과 관절운동을 통한 뇌 자극을 활발히 하여 인지기능의 손상을 회복하는데 복잡한 수행과정을 제공한다.
-정해진 제목에 맞는 단어나 그림 많이 찾기를 통하여 기억 및 판단력, 시공간 능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이 있다.
교육 방법
시범
교육 자료
-이름표, 의자, 카세트, 풍선, 배드민턴채, 낱말 카드나 그림
⊙ 세부 내용
단 계
주요내용 및 활동
시간(분)
학습 자료
도입
1. 소개 및 이름표 달아주기
-새로 참석한 사람을 소개한다.
-각자 이름표를 만들어 진행자가 이름을 크게 불러 대답을 하면 이름표 를 달아준다.
-"오늘은 몇 월 몇 일 인가요"?
: 정확히 맞춘 사람에게 사탕주기
-다시 한번 다 같이 날짜를 맞춘 사람 따라 날짜 말하기
10
이름표, 사탕
전개
1. 의자체조
2. 낱말 맞추기
-큰제목(선물, 명절, 주방용품, 식물, 동물, 탈것)에 맞는 그림이나 낱말 을 섞어 놓고 많이 찾는 사람에게 선물을 준다.
4. 자신들이 찾은 단어들을 보고 어떤 생각이 나는지 이야기를 나눈다.
5. 풍선 배드민턴 : 참석자 전원에게 풍선을 주고 불도록 한다.
-가장 크게 분 사람에게 박수를 쳐준다.
-개인에게 배드민턴을 나누어주고 가장 크게 분 풍선으로 앉아서 베드 민턴을 한다.
30
의자, 카세트,풍선, 배드민턴채, 낱말카드, 그림
마무리
-약간의 간식을 먹으며 진행자가 정말 즐거웠고 이렇게 참석하여 주 셔서 감사하다고 인사를 한다.
-다음주 이 시간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공지한다.
10
유의점
-낱말 맞추기를 할 때 익숙한 것을 위주로 한다.
-좀 더 자세히 쉽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풍선 배드민턴을 할 때 많은 칭찬과 풍선이 간 사람 이름을 크게 불 러주고 진행자는 중계방송을 하듯이 코믹하게 한다.
⊙ 개요
교육 제목
종이 공 만들기, 사진을 보고 생각 나는 것은 무엇인지
교육 일시
매주 수요일 오후 13:00시, 4주 프로그램
소요 시간
소집:10분 진행:50분 1시간 소요
교육 대상
노인병동 환자 10인
교육 장소
소극장
교육 목표
-신체활동을 활발히 하여 각 부위의 유연성과 관절운동을 통한 뇌 자극을 활발히 하여 인지기능의 손상을 회복하는데 복잡한 수행과정을 제공한다.
-군인 사진을 보고 추상적 사고 능력 및 회상
교육 방법
시범
교육 자료
-이름표, 의자, 카세트, 사진, 바구니 2개, 신문지
⊙ 세부 내용
단 계
주요내용 및 활동
시간(분)
학습 자료
도입
1. 소개 및 이름표 달아주기
-새로 참석한 사람을 소개한다.
-자기 이름표를 만들어 진행자가 이름을 크게 불러 대답을 하면 이름표를 달아준다.
2. 워밍업
-박수치기 진행자 주문대로 10번씩 치기(앞으로, 옆으로, 위로, 아래로), 주먹박수, 손목박수, 손끝 박수, 발 박수, 1분 동안 박 치며 세어보기
3. "오늘은 몇 월 몇 일 인가요"?
-각자 알고 있는 우리나라 대통령 이름 대보기
-역대 대통령하면 생각나는 것 이야기 해보기
-다시 한번 다같이 날짜를 맞춘 사람 따라 날짜 말하기
15
이름표
전개
1. 의자체조
-신체활동을 통해 신체적 유연성과 운동감각을 향상시키고 진행자를 따라 함으로써 집중력 향상
2. 추상적 사고 및 기억, 회상
-신문에 칼라로 크게 나있는 사진을 보여주고 어떤 사진인지 이야기하기
-보고 난 후 자신이나 가족, 주변 사람들이 군대 갔을 때 어땠는지 그때를 회상하면서 이야기하기
3. 신문지 공 만들기 게임
-폐 신문지를 양 팀으로 나누어 충분히 준 다음 2분 동안 공을 많이 만들게 한다.
4. 공 주고 받기
25
의자, 카세트, 사진, 바구니 2개, 신문지
마무리
1. 진행자가 환자들의 참여율을 확인하고 환자들의 참여 소감을 묻는다.
-환자전체가 소감을 말한다.
-진행자가 소감을 말하고 마무리 인사를 한다.
2. 다함께 박수 치며 인사하고 끝낸다.
10
유의점
-프로그램 진행중 신체적 이상징후가 나타날 경우 병동에 연락하여 즉시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
-자발적인 표현이 없기 때문에 진행자는 상황에 맞게 참석자 전원을 자극하여 말로 표현이 안될 때는 눈 맞춤이라도 해야 한다.
-공격적이거나 이상 행동을 하는 경우 프로그램이 끝난 후 병동 치료팀에게 보고해야 한다.
⊙ 참고문헌
1.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신경정신의학 제권 제1호 1989, 권용철, 박종한)
2.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 단축형 표준화 예비연구(신경정신의학 제 35권 제 2호 1996, 기백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2.0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