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예술의 이해 마당극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마당극의 개념과 성격

2. 마당극의 발생과 전개

3. 마당극의 공연 작품

4. 마당극의 특징과 짜임새

5. 마당극의 성과와 반성

6. 마당극의 전망

본문내용

의 연마가 요구되며 민족 공통의 정서를 되살리는 통일연극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6. 마당극의 전망
80년대의 마당극의 목표는 '극에서 굿으로의 회귀'라는 역설적 명제의 실천이다. 마당극이 단순한 연극행위로 끝나지 않고 민족 · 민중 공동체의 형성을 위한 문화운동 내지는 사회운동으로 나아갈 것을 천명한 것이다. 이는 현실사회의 모순과 갈등을 공동체적 관심사의 표적으로 부각시키고 거기에서 성취된 사회 인식을 행동화하여 다시 생활전선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것이다. 마당은 일과 놀이, 놀이 정신과 마당 정신, 생활과 예술, 또는 가장 높은 차원에서의 예술과 정치의 일체화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또한 마당극은 마당굿의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 반생명적 요소를 척결하고 생명의 본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희 방식으로는 마당굿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마당굿은 신명의 굿판이요, 생명의 굿판이며, 죽음을 이기는 삶의 축제인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과 함께 굿이나 전통 놀이에서 표현 방식과 기법 등을 과감하게 수용해야 할 것이다. 전통연희로부터 단순히 표현방식만을 빌려올 것이 아니라, 굿의 특성이나 건강한 놀이 정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2.11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