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술과 술문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술의 역사
2. 술의 종류
3. 술 문화
4. 술이 있는 한국화

<결론>

본문내용

시선은 줄곧 놀이 장면을 향해 있는 소년의 모습 등이 매우 해학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오른쪽 아랫부분에 상체를 뒤로 젖히고 걸어 들어오고 있는 관원을 비롯하여 화면 전체에 군데군데 적절히 채색을 가해 놀이판의 흥겨움에 활기를 더해주고 있다.
이 그림의 배경인 보릿고개의 가난함이 극성을 부릴 때 보기 드문 막걸리를 마련해온 술 장사꾼은 앞에는 나무 판때기를 깔아 전을 펼치고, 자신은 짚으로 엮은 거적을 깔고 앉았다. 술 단지 세 개는 흙을 수비하지 않은 토기이고 겨우 하나만 질그릇이다. 이러한 술 단지는 텔레비전 사극에서 흔히 보는 것과 다르다. 사극에는 유악을 발라 빤질빤질 윤이 나는 오지 그릇이 등장하지만, 19세기 중엽만 해도 오지그릇은 찾아보기 쉽지 않았고, 보통은 유악을 바르지 않은 질그릇이 쓰였다. 그림에 나오는 회색 술 단지가 유악을 바르지 않고 맨 진흙을 구운 질그릇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야 오지그릇이 보편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 술 장사꾼이 따르는 술의 모양으로 보아 그것이 막걸리임이 짐작되고도 남는다. 또한 술 단지의 입구가 넓은 것으로 보아 더욱 확실해 보인다. 왜냐하면 알콜 도수가 높은 소주는 휘발성이 강해 술 단지의 입구가 좁아야 하지만, 막걸리처럼 알콜 도수가 낮은 술은 반드시 그러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2) 신윤복의 <주사거배>
이 그림은 주막집의 주모와 취객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술자리가 파한 뒤에 집으로 돌아가는 취객들의 왁자지껄한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주변 배경이 매우 세심하게 묘사되어 있는데 담 바깥쪽으로 다른 집의 기와와 초가지붕이 보이고 대청 뒤편에는 삼층장과 뒤주와 백자그릇들이 정갈하게 정돈되어 있다. 이런 세심한 배경 묘사를 통해 옛 한국민가의 살림살이를 엿볼 수 있다. 남색 치마를 입은 주모와 바로 그 옆의 빨간 치마를 입은 사람의 색대비가 매우 선명하여 시선을 집중시킨다.
옛 사람들은 술을 즐겼지만, 언제나 마음 놓고 마신 것은 아니었다. 영조 시대에는 술로 인한 사건, 사고가 빈발하자 강력한 금주령을 실시했다. 그러나 그 시대에서 법을 어기고 몰래 술을 먹는 일은 다반사로 벌여졌는데, 그 시절 신윤복의 <주사거배>는 주막에 들러 선 채로 서둘러 술잔을 들이켜는 관리들의 모습을 풍자적으로 그리고 있다.
영조는 1733년 1월 금주령을 내린다. 물론 밀주 제조 단속도 엄격했다. 이로 인해 제사에도 술을 올리지 못하고 냉수를 떠놓는 일이 생기자 사람들의 원성이 자자해졌다. 그러나 영조는 철두철미하게 금주령을 지키도록 했다. 이렇듯 엄격했던 금주령이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결론>
우리 조상들의 주법에는 격식보다는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우선이었다. 술을 강제로 권하지 않았던 것이다. 강압적이지 않은 자유로운 분위기, 배려의 술자리였던 것이다. 술자리에서 잔이 한바퀴 도는 것을 순배라고 하는데, 홀수 돌리기가 원칙이었다. 그런데 석 잔은 훈훈하고 다섯 잔은 기분 좋고, 일곱 잔은 흡족하고, 아홉 잔은 지나친 것으로 여겨 지나친 술잔 돌리기를 금하였다고 한다. 이는 술자리에 소외된 사람이 없도록 차례가 돌아가게 하면서도 술을 잘 못 먹는 사람 또한 괴롭히지 않으려는 배려였던 것이다.
술은 예로부터 신과 인간, 인간과 인간을 하나로 잇는 바로 그 매개체였다고 할 수 있다. 세계 어느 곳에서나 술은 신에 대한 숭고하고 경건한 마음을 표현하는 신성한 공물이었다. 제의가 끝난 후 신에게 올렸던 술은 인간의 몫이었고, 그를 마심으로써 인간은 신과 하나 됨을 느꼈던 것이다. 제의에 이어지는 집단적인 음주가무는 신과 인간뿐만 아니라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일체감 또한 불러 일으켰다.
우리나라에서도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등 부족국가시대의 제천의식에는 하나같이 마을 단위로 술을 빚어 음주와 가무를 한 기록이 남아있다. 지금도 음복이라 하여 조상께 올렸던 술을 그 제사에 참석한 가족이나 친족과 함께 나누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멋스러운 술 문화와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조상들의 마음은 실로 존경스럽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이러한 조상들의 조화와 공존의 문화를 비록 그와 전부 같이 할 수는 없어도 마음과 정성으로는 같이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주영하 <그림 속의 음식, 음식 속의 역사> 사계절
2. 최준식 정혜경 <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 휴머니스트
3. 박록담 <전통주> 대원사
4. 정현순 오문석 <한국의 술> 두남

키워드

한국,   전통술,   술문화,   ,   전통주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2.1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