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관 삽관과 간호 및 영양보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장관 삽관과 간호 및 영양보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위장관 삽관의 목적

2. 위장관 종류

3. 설명 (Levin tube, Salem sump tube, Miller-Abbott tube, Cantor tube, Harris tube)

4. 간호중재

5. 위관영양 - 간헐적 집중식(intermittent bolus)영양공급, 간헐적 점적식(intermittent drip)영양공급, 지속적 점적식(continuous drip)영양공급, 경피적 위루관(PEG)을 이용한 영양공급

본문내용

씻어낸다. <근거 : 튜브의 막힘을 예방하기 위함 이다.>
⑧ 튜브의 마개를 닫는다.
지속적 점적식 영양공급
① 간헐적 점적식 영양공급과 같이 위관 영양 시스템을 준비한다.
<근거 : 처방된 유동식을 적어도 8시간 이상 줄 때 사용한다. 그러나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동 일 유동식을 4~8시간 이상 걸어두지 않는다.>
② 주입펌프에 의한 지속적인 주입으로 위관영양을 관리한다.
<근거 : 지속적으로 적은 양을 주입할 때 사용하며 기도 흡인의 위험을 줄인다.>
③ 위관영양의 종류, 강도, 양, 날짜, 시간, 처음 시작한 간호사 등을 유동식 주머니에 표시한다.
④ 주입펌프를 IV폴대에 매달고, 주입속도를 조절한다.
⑤50ml주사기로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고 20~30ml의 물을 넣어준다.
<근거 : 위관영양이 위장 내로 지속해서 주입되는지 확인한다.>
⑥ 유동식 주머니 끝에 튜브를 연결하고 조절기를 연 후 주입펌프를 작동시킨다.
⑦ 매 4시간마다 위관영양을 중지하고 50ml 주사기를 흡인해서 잔유량을 조사한 후, 30~50ml의 물 로 튜브를 씻어 내린다. <근거 : 흡수상태와 튜브의 유ㅟ치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⑧ 처방된 물 (보통 30~50ml)을 50ml 주사기로 주입하여 위관튜브를 씻어 내린다.
<근거 : 튜브가 막히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⑨ 사용한 모든 기구는 위관영양 후에 따뜻한 물로 닦는다. <근거 : 기구 속에 있는 유동음식을 제거 하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감소시켜서 재사용하기 위함이다.>
⑩ 만일 주입이 지속적일 때는 대상자가 안전한지 확인한다.
경피적 위루관 영양공급
① 손을 씻는다.
② 대상자를 확인하고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③ 침상머리를 30~40도 올려서 좌위나 반좌위가 되도록 한다. <근거 : 음식물의 역류를 방지한다.>
④ 위루관 옆에 수건을 댄다.
⑤ 주사기로 위내용물을 흡인하여 잔유량을 확인하고 다시 넣는다. <근거 : 잔유량이 50~100cc이상 인 경우 급식을 1시간 정도 중단한다.>
⑥ 위루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물을 20~30cc 주입한다. <근거 : 물이 들어가지 않으면 튜브가 막힌 것을 의미한다.>
⑦ 관급식용 주머니에 유동식을 부어 위루관과 연결하고 서서히 주입되도록 조절기를 조절한다. 주입 시간은 1시간 정도 소요된다.
⑧ 유동식 주입이 끝난 후 30~50cc의 물을 주입한다. <근거 : 튜브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⑨ 주사기나 튜브급식용 주머니를 제거하고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3.14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