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련질병 고찰
2)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진단적 검사 결과 (임상검사결과, 진단방사선 검사, 특수 검사 등)
(4)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정맥수액 주입
3) 간호진단 및 중재,평가
4) 참고문헌
2)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진단적 검사 결과 (임상검사결과, 진단방사선 검사, 특수 검사 등)
(4)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정맥수액 주입
3) 간호진단 및 중재,평가
4) 참고문헌
본문내용
one succinate)
약리/효능
Corticosteroid제제
용법
쇼크 상태 보조요법 : 30mg/kg 30분동안 IV q 4~6hr 48시간까지 투여가능
급성척수손상 - 손상이 있은후 8시간 내에 개시되어야 함 : 30mg/kg 15분동안 IV후 45분 경과 뒤 23시간동안 5.4mg/kg/hr IV연속주입
개시요법 : 10~40mg 사용하고 1분 또는 수분에 걸쳐 IV
부작용
전신성 진균감염, 투여 중 면역접종실시 금지
약품명
Ursa 200mg tab (UDCA)
약리/효능
담석증
용법
200mg t.i.d.
부작용
피부소양감, 구토, 오심, 설사, 연변
약품명
Megace suspension 40mg/ml
약리/효능
AIDS 환자의 식욕부진, 악액질 또는 원인불명의 현저한 체중감소의 치료
용법
초기량 : 20ml(800mg)/day, 3회 분복
유지량 : 10-20ml(400-800mg)/day
잘 흔들어서 복용
부작용
설사, 발기부전, 고창, 고혈압, 무력증, 불면증, 오심, 빈혈, 발열, 빈혈, 발열, 성욕감퇴, 소화불량, 고혈당증, 두통, 통증, 구토, 폐렴, 빈뇨 등
약품명
Normal saline 1000ml bag제일제당
약리/효능
수분, 전해질보급, 주사제의 용해희석제
부작용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전해질 이상
3) 간호진단 및 중재,평가
간호진단명
1월 17일 09:00
전신허약감,침상안정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주관적 자료
“어지럽고 머리가 띵해.”
“힘이 하나도 없어.”
“못 일어나겠어.”
객관적 자료
수축기 혈압이 83mmHg,심박동수가 109회로 측정됨.
화장실 갈 때 비틀거림.
Goal outcome criteria
수축기 혈압이 80mmHg이상이고 심박동수가 120회 이하이다.
다음날 아침까지 어지러움이 감소한다.
간호 계획
① 가능한 범위 내에서 활동한다.
② 한 번에 즉시 필요한 간호만 해준다.
③ 수액을 공급한다.
④ 출혈여부를 사정한다.
⑤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⑥ 혈액순환이 잘 되고 있는지 사정한다.
간호 중재
① N/S 500ml를 full drip한다.
② DPP측정함(측정됨)
③ 시술부위 출혈 유무 관찰함(출혈 없음)
④ 시술한 쪽의 다리를 굽히지 않는다.
이론적 근거
① 오랫동안의 안정은 허약감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식사 후 휴식한 후 짧은 활동을 여러 번 나누어 실시한다.
② 휴식을 방해하는 기간을 줄여준다.
③ 빠른 수액보충은 혈액량을 증가시켜 준다.
④ 출혈로 인해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러운 저혈량성 쇼크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⑤ 시술한 쪽의 다리를 굽히면 출혈될 가능성이 있다.
평가 및 재계획
18일 01:00시 활력징후(80-55-100-20-36.7)로 측정되고 환자가 아까와 같은 불편감은 없다고 말함.
18일 09:00시에도 환자 이상증상은 없지만 혈압 상승되지 않음.
지속적으로 환자의 혈압하강 징후와 이상증상 관찰 필요함.
간호진단명
1월18일 09:00
질병과정,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주관적 자료
“입맛이 없어.”
“영양제 줬으면 좋겠어.”
“몸에 힘이 없어, 저번에 맞은 영양제 줘.”
“입맛 돌게 하는 약 줘.”
“약간 토할 것 같아.”
객관적 자료
환자 병실 내에만 있음.
밥 한공기 중 1/4식사하고 그 외에 반찬과 국도 못 드심.
환자 일어나려하지 않음.
Goal outcome criteria
점심식사를 반 이상 한다.
저녁식사 때까지 오심증상이 나아졌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
① 소량씩 자주 먹는다.
② 필요시 처방된 영양제를 투여한다.
③ 필요시 처방된 약을 투여한다.
④ 식사양상을 사정한다.
⑤ 오심 증상을 자극하는 환경적 요인을 통제한다.(심한 냄새,음식,소음 등)
⑥ 약물을 투여했을 시 효과를 평가한다.
⑦ 매일 같은 시간 체중을 측정한다.
⑧ 식사 시 옆에서 격려해준다.
⑨ 식사 전에 구강간호한다.
간호 중재
① 소량씩 자주 먹으라고 말함
② 처방된 영양제 투여함(Cletamin 500ml)
③ 처방된 약 투여함(Megace,항구토제)
④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사정하고 기호식품 섭취하도록 격려함.
⑤ 식사 전 함수하도록 교육함.
⑥ 식사 시 옆에서 격려함.
이론적 근거
① 과식은 오심,구토를 증가시킨다.
② 혈관을 통해 직접 영양을 공급한다.
③ Megace는 식욕부진에 효과가 있고, 항구토제는 오심증상을 완화시킨다.
④ 문제들은 영양섭취를 방해할 수 있다.
⑤ 오심,구토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⑥ 각 개인은 모든 약물에 대해 다르게 반응한다.
평가 및 재계획
몸에 힘없던 것이 영양제 맞고 괜찮아 진 것 같다고 함.
점심식사 반 이상 드심.
다음 날 아침 환자가 토할 것 같은 증상 거의 없어졌다고 말함.
간호진단명
1월19일 09:00
질병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운동 많이 하면 좋지.”
“입맛 없을 땐 못 먹지 뭐.”
“그냥 졸리면 자고 입맛 없음 안 먹고.”
“하루 두 시간 운동해.”
객관적 자료
질병에 대해 물어보면 잘 모른다 함.
Goal outcome criteria
환자가 적당한 운동과 일상생활을 해야겠다고 말한다.
질병에 관해 물었을 때 자신감 있게 설명할 수 있다.
간호 계획
① 질병과정에 대한 이해수준을 사정한다.
② 퇴원 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활동과 휴식기간을 계획한다.
③ 추후 신체검진과 검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④ 환자를 지지해줄 사람을 확인하도록 한다.
⑤ 좋은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명한다.
간호 중재
① 영양 섭취가 중요함을 강조함.
② 환자를 지지해 줄 사람을 사정함(남편)
이론적 근거
① 필요한 정보를 줄 수 있다.
②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③ 재발 가능성을 예방한다.
④ 지지체계는 행위변형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⑤ 적당한 식이유지는 회복에 도움이 되고 더 이상의 손상을 방지한다.
평가 및 재계획
퇴원일 입원환자가 많아 예정된 시간보다 일찍 퇴원해서 계획을 중재 못함.
4) 참고문헌 : 종양학 (일조각)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현문사)
최신간호임상메뉴얼(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진단적 검사와 간호(수문사)
www.druginfo.co.kr
약리/효능
Corticosteroid제제
용법
쇼크 상태 보조요법 : 30mg/kg 30분동안 IV q 4~6hr 48시간까지 투여가능
급성척수손상 - 손상이 있은후 8시간 내에 개시되어야 함 : 30mg/kg 15분동안 IV후 45분 경과 뒤 23시간동안 5.4mg/kg/hr IV연속주입
개시요법 : 10~40mg 사용하고 1분 또는 수분에 걸쳐 IV
부작용
전신성 진균감염, 투여 중 면역접종실시 금지
약품명
Ursa 200mg tab (UDCA)
약리/효능
담석증
용법
200mg t.i.d.
부작용
피부소양감, 구토, 오심, 설사, 연변
약품명
Megace suspension 40mg/ml
약리/효능
AIDS 환자의 식욕부진, 악액질 또는 원인불명의 현저한 체중감소의 치료
용법
초기량 : 20ml(800mg)/day, 3회 분복
유지량 : 10-20ml(400-800mg)/day
잘 흔들어서 복용
부작용
설사, 발기부전, 고창, 고혈압, 무력증, 불면증, 오심, 빈혈, 발열, 빈혈, 발열, 성욕감퇴, 소화불량, 고혈당증, 두통, 통증, 구토, 폐렴, 빈뇨 등
약품명
Normal saline 1000ml bag제일제당
약리/효능
수분, 전해질보급, 주사제의 용해희석제
부작용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전해질 이상
3) 간호진단 및 중재,평가
간호진단명
1월 17일 09:00
전신허약감,침상안정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주관적 자료
“어지럽고 머리가 띵해.”
“힘이 하나도 없어.”
“못 일어나겠어.”
객관적 자료
수축기 혈압이 83mmHg,심박동수가 109회로 측정됨.
화장실 갈 때 비틀거림.
Goal outcome criteria
수축기 혈압이 80mmHg이상이고 심박동수가 120회 이하이다.
다음날 아침까지 어지러움이 감소한다.
간호 계획
① 가능한 범위 내에서 활동한다.
② 한 번에 즉시 필요한 간호만 해준다.
③ 수액을 공급한다.
④ 출혈여부를 사정한다.
⑤ 주기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⑥ 혈액순환이 잘 되고 있는지 사정한다.
간호 중재
① N/S 500ml를 full drip한다.
② DPP측정함(측정됨)
③ 시술부위 출혈 유무 관찰함(출혈 없음)
④ 시술한 쪽의 다리를 굽히지 않는다.
이론적 근거
① 오랫동안의 안정은 허약감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식사 후 휴식한 후 짧은 활동을 여러 번 나누어 실시한다.
② 휴식을 방해하는 기간을 줄여준다.
③ 빠른 수액보충은 혈액량을 증가시켜 준다.
④ 출혈로 인해 혈압이 떨어지고 어지러운 저혈량성 쇼크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⑤ 시술한 쪽의 다리를 굽히면 출혈될 가능성이 있다.
평가 및 재계획
18일 01:00시 활력징후(80-55-100-20-36.7)로 측정되고 환자가 아까와 같은 불편감은 없다고 말함.
18일 09:00시에도 환자 이상증상은 없지만 혈압 상승되지 않음.
지속적으로 환자의 혈압하강 징후와 이상증상 관찰 필요함.
간호진단명
1월18일 09:00
질병과정,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주관적 자료
“입맛이 없어.”
“영양제 줬으면 좋겠어.”
“몸에 힘이 없어, 저번에 맞은 영양제 줘.”
“입맛 돌게 하는 약 줘.”
“약간 토할 것 같아.”
객관적 자료
환자 병실 내에만 있음.
밥 한공기 중 1/4식사하고 그 외에 반찬과 국도 못 드심.
환자 일어나려하지 않음.
Goal outcome criteria
점심식사를 반 이상 한다.
저녁식사 때까지 오심증상이 나아졌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
① 소량씩 자주 먹는다.
② 필요시 처방된 영양제를 투여한다.
③ 필요시 처방된 약을 투여한다.
④ 식사양상을 사정한다.
⑤ 오심 증상을 자극하는 환경적 요인을 통제한다.(심한 냄새,음식,소음 등)
⑥ 약물을 투여했을 시 효과를 평가한다.
⑦ 매일 같은 시간 체중을 측정한다.
⑧ 식사 시 옆에서 격려해준다.
⑨ 식사 전에 구강간호한다.
간호 중재
① 소량씩 자주 먹으라고 말함
② 처방된 영양제 투여함(Cletamin 500ml)
③ 처방된 약 투여함(Megace,항구토제)
④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사정하고 기호식품 섭취하도록 격려함.
⑤ 식사 전 함수하도록 교육함.
⑥ 식사 시 옆에서 격려함.
이론적 근거
① 과식은 오심,구토를 증가시킨다.
② 혈관을 통해 직접 영양을 공급한다.
③ Megace는 식욕부진에 효과가 있고, 항구토제는 오심증상을 완화시킨다.
④ 문제들은 영양섭취를 방해할 수 있다.
⑤ 오심,구토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⑥ 각 개인은 모든 약물에 대해 다르게 반응한다.
평가 및 재계획
몸에 힘없던 것이 영양제 맞고 괜찮아 진 것 같다고 함.
점심식사 반 이상 드심.
다음 날 아침 환자가 토할 것 같은 증상 거의 없어졌다고 말함.
간호진단명
1월19일 09:00
질병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운동 많이 하면 좋지.”
“입맛 없을 땐 못 먹지 뭐.”
“그냥 졸리면 자고 입맛 없음 안 먹고.”
“하루 두 시간 운동해.”
객관적 자료
질병에 대해 물어보면 잘 모른다 함.
Goal outcome criteria
환자가 적당한 운동과 일상생활을 해야겠다고 말한다.
질병에 관해 물었을 때 자신감 있게 설명할 수 있다.
간호 계획
① 질병과정에 대한 이해수준을 사정한다.
② 퇴원 후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활동과 휴식기간을 계획한다.
③ 추후 신체검진과 검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④ 환자를 지지해줄 사람을 확인하도록 한다.
⑤ 좋은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설명한다.
간호 중재
① 영양 섭취가 중요함을 강조함.
② 환자를 지지해 줄 사람을 사정함(남편)
이론적 근거
① 필요한 정보를 줄 수 있다.
②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③ 재발 가능성을 예방한다.
④ 지지체계는 행위변형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⑤ 적당한 식이유지는 회복에 도움이 되고 더 이상의 손상을 방지한다.
평가 및 재계획
퇴원일 입원환자가 많아 예정된 시간보다 일찍 퇴원해서 계획을 중재 못함.
4) 참고문헌 : 종양학 (일조각)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현문사)
최신간호임상메뉴얼(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진단적 검사와 간호(수문사)
www.druginfo.co.kr
추천자료
폐암 간호과정
간암 케이스
정신간호학실습 정신과에서 시행하는 임상검사조사
폐암 케이스
소화기계ppt정리
자궁, 자궁내막, 유방에 생길수 있는 악성 종양과 암종
Ovary Cancer(난소암) 문헌고찰
편평상피암
폐암 (lung cancer) case study
자궁경부암완성 (1)
폐암 lung cancer 문헌고찰, 간호과정 예시
식도암 ( esophageal cancer ) case study [ 성인간호 실습 식도암 컨퍼런스 ]
성인간호학 폐암 case
[2017A+만점]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폐암 - Lung Cancer 간호과정 (비효과적 호흡양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