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고유 난방 아자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고유 난방 아자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아자방의 역사

2.아자방 뒷이야기

3.아자방의 구조

4.아자방의 신비

5.회암사

본문내용

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이미 세계건축사전에 이름이 올라 있는 경남 하동 칠불사의 아자방(亞字房)과 그 구조가 유사하다. 그러나 서승당은 칠불사보다 구조가 더 정교하고 규모가 커 학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또한 몇몇 건물터에서는 완벽한 형태의 구들시설도 발견됐다. 이는 유례가 없는 일. 기전문화재연구원의 김무중 연구관은 회암사의 구들시설은 국내 고건축 사상 가장 규모가 큰 시설일 뿐 아니라 정교하기까지 해 한국건축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출토 유물 역시 예사롭지 않다. 왕실을 상징하는 용과 봉황이 정교하게조각된 기와조각, 왕실용 최고급 도자기, 출토 예가 없는 분청 향완(香碗), 연꽃을 조각한 불상 대좌(臺座) 등 수 만점. 특히 天寶山 檜巖寺朝鮮國王 등의 글이 새겨진 지름 30㎝의 대형 청동 풍탁, 금박이 입혀진 원판형 청동기 등은 회암사의 위세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단적으로보여준다.
조선 중기 불교를 시기한 유생들의 의도적 방화로 절이 소실됐을 가능성을 확인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발굴 성과다. 김무중 연구관은 불에 탄 흔적의 유구(遺構)들이 확인된 점, 불상의 불두가 깨진 채로 출토됐다는 점 등등이 이를 입증해준다고 말한다.

키워드

아자방,   온돌,   역사,   구조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3.15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