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H case study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DH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문헌고찰
-간호사정양식
-임상병리검사
-약물조사
-간호과정
(자료분석,진단,계획, 수행 및 평가)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반에는 불안이 심했음
해당연령에 따른 성장발달 상태
치유가능성
기 타
퇴원계획에 포함될 사항 재활교육
간 호 진 단
구강 점막 손상
구강 점막 손상
자가간호결핍
(: 식사하기)
감염 위험성
자가간호결핍
(: 화장실 사용)
피부손상 위험성
감염 위험성
침상 체위 이동장애
비사용 증후군 위험성
자가간호 결핍
: 옷입기/몸치장
: 식사하기
: 목욕/위생
: 화장실 사용
침상 체위 이동장애
자가간호 결핍
뇌조직 관류장애
뇌조직 관류장애
침상체위 이동장애
뇌조직 관류장애
뇌조직 관류 장애
뇌조직 관류 장애
뇌조직 관류 장애
가족 기능 장애
가족 기능 장애
가족 기능 장애
구강 점막 손상
피부손상
침상이동 장애
기도흡인 위험성
감염 위험성
☆ 임상병리 검사 결과
① 혈액검사
검사
검사 결과
정상치
의심되는 질환
높을 때
낮을 때
WBC
14.64
5.2-12.4/*10^3/ul
급성충수염, 세균성 간염,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바이러스 감염
RBC
4.98
4.2-6.1/*10^6/ul
신장질환, 저산소증, 폐질환, 흡연, 탈수증
용혈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
HGB
15.7
12-18/ul
혈색소증
빈혈, 신장, 간장질환
HCT
44.10
37-52/%
탈수증, 다혈구혈증
빈혈
MCV
89.20
80-99/fl
악성빈혈, 고지혈증
용혈성 빈혈,
만성질환
MCH
31.00
27-31/pg
철결핍증, 실혈, 임신, 지중해성 빈혈, 만성질환에서의 빈혈, Sideroblastic 빈혈
MCHC
34.80
33-37/g/이
악성빈혈, folic acid 결핍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철결핍.,만성적인 실혈, 무염산증, 임신, 지중해 빈혈, Sideroblastic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PLT
213
130-400/*10^3/ul
골수섬유증, 만성 백혈병, 다혈구혈증
<정상혈소판>-골수기능억제. cytotoxics. 거대적아구성빈혈,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수혈후, Fanconi\'s 증후군, 비장기능항진, 바이러스.세균감염(rubella. 감염성 단핵증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등의 약물투여
<비정상혈소판>-Glanzmann\'s병
EOS
0.10
0-7/%
Allergy, 기생충감염, 호산구성 백혈병,
기관지천식
② Routine Admission
검사
검사결과
정상치
의심되는 질환
높을 때
낮을 때
K
4.3
3.5-5.0 mEq/L
에디슨씨 병, 대사성산혈증, 항알도스테론제 투여, 만성신부전, 신이식
구토, 설사, 대사성 알칼리혈증
Na
143
135-147 mEq/L
탈수증, 당뇨병, 요붕증,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Cushing 증후군
구토, 설사, 에디슨씨 병, 중증 심부전, 신증후군
BUN
21
20-40 mg/㎗
쇼크, 탈수, 신부전
간질환, 당뇨병
Ca
8.3
8.2-10.0 mg/㎗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Vit.D 결핍증, 만성신부전
Cholesterol
184
150-250 mg/㎗
갑상선 기능저하,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 간질환
Cl
105
98-108 mEq/L
탈수증, 호흡성 알칼리혈증
구토, 설사, 신장질환
Bilirubin
Total
0.5
0.1-1.1 mg/㎗
간염, 간경변, 담도차단, 용혈성 질환
Direct
0.1
0.1-0.4 mg/㎗
Creatinine Serum
0.7
0.6-1.5 mg/㎗
신부전, 요관 폐색
만성 근위축증
Glucose (혈당)
110
70-110 mg/㎗
당뇨병, 갑상선기능 항진증
에디슨씨병, 갑상선기능 저하증
ALP (Alkaline Phosphatase)
53
10-95 IU/L
간질환, 담석증, 골전이
갑상선 기능 저하증
☆ 약물조사
환자이름 : 박정식
진단명 : SDH
약 물 명
내용 ( 용량, 수량, 일, 용법, 경로 )
Meiact
100mg TAB
3
1
#3
Tid
PC
Gelma
10g / p
3
1
#3
Tid
PC
Warfarin
5mg 대화
1
1
PRN
Hydralazine
20mg/A 삼진제약
1
1
PRN :IV
① MEIACT (Film coated tab) 100mg TAB #3: Tid PC
1. 약물의 상품명 : MEIACT TAB(Film coated tab)
2. 약물의 화학명 : Cefditoren pivoxil.
3. 약물의 분류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
4. 약물의 용량 : 1회 100mg, 1일 3회. 필요시 1회 200mg, 1일 3회.
5. 약물의 투여방법 : P.O
6. 약물의 작용 및 효과 : 포도구균속, 연쇄구균속, 펩토스트렙토코쿠스속, Branhamella
catarrhalis, Propionibacterium acnes, 대장균, Citrobacter속, Klebsiella속,
Enterobacter속, Serratia속, Proteus속(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Morganella속, Providencia속, Influenza균, Bacteroides속 가운데 본제 감수성
균에 의한 다음 감염증
- 모낭염, 절, 절종증, 옹, 전염성농가진, 임파관(절)염, 화농성조위(곽)염, 표저, 피하 농양, 한선염, 감염성분류, 만성농피증
- 유선염, 항문주위농양, 외상수술창등의 표재성 2차 감염
- 인후두염, 급성기관지염, 편도염,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감염시), 만성호흡기질
환의 2차감염, 폐렴, 폐화농증
- 신우신염, 방광염 - 중이염, 부비강염 - 자부속기염, 자궁내 감염, 바르톨린선염
7. 약물의 부작용 및 부작용의 치료방법
- shock :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식, 현기, 변의, 이명, 발한 등의 증상을 관찰 한 뒤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 투여를 중지함.
- 과민증 : 진, 담마진, 홍반, 소양, 발열, 임파선종창, 관절통 증상을 보이는 경우 투 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 간장 : 때때로 GOT, GPT, ALP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 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 신장 : 때
  • 가격3,3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6.03.20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0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