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원격교육에서의 학습동기유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원격교육에서의 학습동기유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Keller의 학습동기 이론
ⅱ. 안드라고지 vs 페다고지
ⅲ. 웹기반 교육에서 동기문제
ⅳ. 웹기반 교육 참여시 학습동기 문제
ⅴ. 웹기반 교육 참여 중의 학습동기 문제
ⅵ. 웹기반 교육 마무리 단계의 학습동기 문제
ⅶ. 웹기반 교육에서의 학습동기에 대한 고려

Ⅲ. 결론

본문내용

실제 견학 방법 등의 방법을 동원한다.
① 학습자가 학습 상황에 가지고 오는 경험은 별 가치가 없다.
② 학습자가 얻는 가장 큰 가치 있는 경험은 교사나 교과서, 그리고, 시청각 자료, 혹은 다른 전문가를 통해 경험하는 것이다.
③ 주요 교육 방법은 강의 전달식 수업 방법이다.
학습에
대한
준비성
① 사람들은 실제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고 과제를 충족하기 위한 배움의 필요를 느낄 때 더욱 학습에 대한 준비성이 강화된다.
② 교육자는 학습자가 ‘알 필요가 있다.’라고 느낄 수 있게끔 학습 여건을 만들고 과정과 학습 도구를 조성할 책임이 있다.
③ 학습 프로그램은 생활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조직되어야 하고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준비성에 따라 학습이 다단계화될 필요가 있다.
① 사람들은(주로 학교 안에서) 규정하는 학습을 강요받기 쉽고 사회적 압력의 여부(상이나 체벌)에 따라 학습을 준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② 똑같은 연령의 사람들은 똑같은 것을 배우게 된다. 그렇게 때문에 학습은 표준화된 교육과정에 따라 준비되어지고 통일된 단계별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학습에
대한
지향성
① 학습자가 학습을 통하여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자아완성, 능력 및 기술 개발, 자기 발전 등의 자아성취와 관련이 깊다.
② 학습 경험은 수행성 개발과 향상에 중심을 두고 조직된다.
① 대부분의 학습자에게 있어 학습은 교과 내용을 익히고, 그리고 잘 배움으로써 미래의 삶에 잘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② 학습은 교과 중심적으로 논리적 단계와 교과별로 구성된다.
주요
특징
① 옆으로의 교육
② 낭만적, 통합형 교육과정
③ 자기 주도학습, 구성주의, 진보주의
④ 노울즈 성인교육학
① 위에서 아래로의 교육
② 고전적, 집합형 교육과정
③ 교사 주도, 객관주의, 주지주의
④ 헤르바르트 학교 교육학
ⅲ. 웹기반 교육에서 동기문제
웹기반 교육에서 동기문제는 여러 형태로 드러나겠지만 크게 세 가지 부류로 개념화될 수 있다. 학습자들이 교육에 참여를 결정할 때의 동기문제(부류1), 교육에 참여하면서 드러나는 동기문제(부류 2), 그리고 교육을 마무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동기분제(부류 3)가 그것이다. 동기문제를 이와같이 구분하는 이유는 첫째, 원격교육에서는 학습동기가 안정된 특성이 아니며(Coldeway, 1991), 둘째, 원격교육에서는 코스에 등록이유, 중도탈락 이유 등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Wilkes and Burnham, 1991). 따라서 본 장에서는 한 학습자가 웹기반 교육에 참여하는 동기와 일단 참여 후 지속하는 동기 그리고 마무리 할 때 가지 는 계속동기를 구분하여 논의한다.
Belawati(1998)는 원격교육의 단계별로 두 가지 목적의식을 제시하는데 하나는 \'최초 목적의식(initial goal commitment)\'이며 또 하나는 \'수정된 목적의 식(modified goal commitment)\'이다. 참여동기가 최초 목적의식에 관한 것이라면 지속동기나 계속동기는 수정된 목적의식에 의해 영향 받는 것이라 할 수 있다. Belawati는 지속적으로 재수정되는 목적의식이 학습자의 중도탈락이나 재등록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한다. 본 장에서 계속동기를 지속동기와 따 로 구분하는 이유는 주어진 수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완료하려는 동기와 그 후 스스로 학습하고자 하는 계속동기를 개념적으로 구분하는 동기이론 을 반영한 결과이다(Maehr, 1976).
한편, 웹기반 교육에서 학습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크게 개인적 요인과 환령요인의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개인적 요인이란 학습자의 개인적 과거경험 을 의미한다. 즉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정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지적, 정의적 영역에서의 모든 경험을 의미한다. 환경요건은 다시 웹기반 교육 체제내의 요건과 웹기반 교육체제 밖의 요건으로 나뉠 수 있다. 교육체제 내의 요건이란 각 학습상황별 수업설계, 실시, 평가 과정의 특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로그인 방법, 스피드, 화면이동, 피드백 등등 웹을 사용하여 수업을 실시하는 체제의 구조와 운영방법, 교과의 특성, 교수방법 등을 의미한다 . 교육체제 밖의 여건이란 학습자 및 교육체제를 둘러따고 있는 모든 사회적, 경제적 여건들을 의미한다. 이 같은 구분은 Rubenson(1986)이 원격교육에의 참여를 방해하는 요인을 크게 상황적, 기관적, 그리고 기질적 방해요인으로 구분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기질적 요인들이란 개인의 내적 과거경험을 의미하며, 기관적 요인들은 교육체제 안의 영향요인들, 그리고 상황적 요인들은 곧 교육체제 밖의 영향요인들을 의미한다.
ⅳ. 웹기반 교육 참여시 학습동기 문제
웹기반 교육 시작단계의 동기문제(부류 1) 중 첫번 째는 웹기반 교육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문제이다. 지금까지 원격교육분야에서는 학생들이 원격교육에 참여하게 되는 이유에 대한 연구들이 있어 왔다. Threlkeld and Brzoska(1994)는 원격교육에 참여하는 성인 학습자의 일반적 이유 세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편하고 융 통성 있다. 둘째, 대안이 없었다. 셋째 면대면 교육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수단이었다. Truell과 Truner(1998)는 직업교사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원격교육에 참여하려는 이유를 연구하여 자신들의 전문성 향상과 교육준비를 위해 도움이 될 때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 하였다. Murphy(1989)는 터키에서 원격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연구하여 그 요인이 직업을 위한 것임을 보고 하였다. 즉 직장에서 일을 하면서 동시에 학위획득을 위해 원격교육에 참 여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대학 학위에 대한 열망은 터키의 문화적 특성의 하나이었으며, 따라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학습할 수 있는 원격교육을 선택하 였다.
개인적 요인
사전지식, 공학에 대한 태도, 개인적 의지, 자기학습능력, 컴퓨터 조작능력, 문화적 특성, 개인적 희망 등.
교육체제 내의 요인
신기성 효과의 상실, 학생과 교수자의 상호 인정정도, 코드구조와 운영방법, 교과의 특성, 학습내용의 수준, 교수방법, 상호작용의 정도, 학생, 교수자 의사소통 기회, 지역 도우미의 역할, 시스템 접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3.27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14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