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 서지목록의 구분
2. 한국 서지목록의 발전
가. 고려
나. 조선(전기)
다. 조선(후기)
라. 조선(개화기)
마. 근대 이후(1910년 이후)
바. 근대 이후(1923년 이후)
사. 근대 이후(1954년 이후)
아. 근대 이후(1980년 이후)
2. 한국 서지목록의 발전
가. 고려
나. 조선(전기)
다. 조선(후기)
라. 조선(개화기)
마. 근대 이후(1910년 이후)
바. 근대 이후(1923년 이후)
사. 근대 이후(1954년 이후)
아. 근대 이후(1980년 이후)
본문내용
되어 3책에 서사
이문원서목, 서서서목, 열고관서목으로 구분
궁내부 규장각 도서와 춘방, 집옥재, 북한상행궁 등에 소장된 장서 10만여책
기술 : 서명, 책수, 함차
배열 : 사분법
교남책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제작시기 : 정조 7(1783)년
저자 : 성대중
특징 : 영남일대에서 간행된 서책을 수집한 가중장서목록
기술 : 서명 표출, 권수에 필요한 종이 장수 기재, 경상도의 43개 지방별로 구분
누판고(판각목록)
제작시기 : 정조 20(1796)년
저자 : 서유구
특징
중앙과 지방에 전래되고 있던 책판의 목록
가장 권위있고 완비된 해제서목으로 널리 이용
기술 : 서명을 표출하고 해제란에는 저자와 그 약전, 장판, 인지수 기록
배열 : 왕이 손수 지은 어찬과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어정을 별치한 후 경사자집의 사분법으로 체계화
해동역사 예문지(문헌서목)
제작시기 : 조선 정조, 순조년
저자 : 한치윤
특징
중국측 사료 523종, 일본측 사료 22종을 섭렵하여 엮은 것
국내 역사연구 및 중국과 일본이 문헌을 권수 또는 글끝에 적고 있어 참고서목으로서의 가치가 큼
예문지는 정편 권 42 ~ 59에 수록
기술 : 저자명, 서명 순이며 저자명을 주기입 목록으로 인정할 수 있는 중요한 서지학적 사실임
배열 : 한국서목 다음에 중국서목을 경사자집별로 구분
홍재전서 군서표기(관찬서목 - 관장목록)
제작시기 : 정조 23(1799)년에 편찬하여 순조 14(1814)년 간행
특징
정조의 시문, 교지, 유서, 책문 및 각종 저술을 해제하여 만듬
영조 48(1772)년 ~ 정조 24(1800)까지 간사된 서적이 수록되어 정조년간에 간사된 판본의 저작 및 간행연대 파악에 중요한 도구
기술 : 서명을 표출하고 저자, 권책수, 판본을 명기한 후 해제를 붙임(고활자본은 명칭까지 표시함)
배열 : 어제서와 명찬서를 연대순으로 나열
기타
열고관서목(장서목록 - 관장목록) : 순조 29(1829)년 이후에 작성
열려실기술 문예전고(문헌서목) : 저자 이긍익, 연려실기술의 별집 14권
각도책판목록 : 현종 6(1840)년 간행, 함경도를 제외한 7도의 판각목록
홍씨독서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 사분법 배열을 사용
조선(개화기)
증보문헌비고 예문고(문헌서목)
제작시기 : 영조 46(1770)년
저자 : 왕명에 의하여 홍봉한이 최초 편찬
특징
증보문헌비고 권 242 ~ 250에 수록되어 있는 문헌서목
고대부터 조선 말기까지의 서적에 관한 기술
기술 : 서명, 권차, 차자를 기재하였으며 내용은 간략한 편
배열 : 독자적인 분류체계로 역대서적, 역대저술, 사기, 어제, 열조어정제서, 유가류, 전장류, 문장류, 고실류, 잡찬류, 상위류, 여지류, 병가류, 자서류, 초집류, 역설류, 의가류, 농가류, 석가류, 문집류 등으로 구성
한국서지(문헌서목)
저자 : 모리스 꾸랑
특징
개인 수집 자료 및 쁠랑시, 뮈텔 주교, 로즈 제독 등 개인 소장 도서와 런던 대영박물관, 일본 우에노도서관 등의 소장 도서를 정리한 서목이며 4책으로 구성
32,821권의 도서 수록
기술 : 서명을 표출하고 권책수와 크기 기재, 해제를 붙임
배열 : 독자적인 분류체계이며 교화, 언어, 유교, 문묵, 의범, 서서, 기예, 교문, 교통의 9부분 35류로 구성
기타
한적목록고본(장서목록 - 가장목록) : 융희 1(1908)년 간행, 1,500여종의 장서 수록
제실도서목록(장서목록 - 관장목록) : 별궁, 규장각 장서등 10만여 책 정리
영남각읍교원서책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 영남 지역 향교 및 서원에 소장된 전적을 기록한 목록
근대 이후(1910년 이후)
조선고서목록
제작시기 : 1911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간행
저자 : 샤쿠오
이문원서목, 서서서목, 열고관서목으로 구분
궁내부 규장각 도서와 춘방, 집옥재, 북한상행궁 등에 소장된 장서 10만여책
기술 : 서명, 책수, 함차
배열 : 사분법
교남책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제작시기 : 정조 7(1783)년
저자 : 성대중
특징 : 영남일대에서 간행된 서책을 수집한 가중장서목록
기술 : 서명 표출, 권수에 필요한 종이 장수 기재, 경상도의 43개 지방별로 구분
누판고(판각목록)
제작시기 : 정조 20(1796)년
저자 : 서유구
특징
중앙과 지방에 전래되고 있던 책판의 목록
가장 권위있고 완비된 해제서목으로 널리 이용
기술 : 서명을 표출하고 해제란에는 저자와 그 약전, 장판, 인지수 기록
배열 : 왕이 손수 지은 어찬과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어정을 별치한 후 경사자집의 사분법으로 체계화
해동역사 예문지(문헌서목)
제작시기 : 조선 정조, 순조년
저자 : 한치윤
특징
중국측 사료 523종, 일본측 사료 22종을 섭렵하여 엮은 것
국내 역사연구 및 중국과 일본이 문헌을 권수 또는 글끝에 적고 있어 참고서목으로서의 가치가 큼
예문지는 정편 권 42 ~ 59에 수록
기술 : 저자명, 서명 순이며 저자명을 주기입 목록으로 인정할 수 있는 중요한 서지학적 사실임
배열 : 한국서목 다음에 중국서목을 경사자집별로 구분
홍재전서 군서표기(관찬서목 - 관장목록)
제작시기 : 정조 23(1799)년에 편찬하여 순조 14(1814)년 간행
특징
정조의 시문, 교지, 유서, 책문 및 각종 저술을 해제하여 만듬
영조 48(1772)년 ~ 정조 24(1800)까지 간사된 서적이 수록되어 정조년간에 간사된 판본의 저작 및 간행연대 파악에 중요한 도구
기술 : 서명을 표출하고 저자, 권책수, 판본을 명기한 후 해제를 붙임(고활자본은 명칭까지 표시함)
배열 : 어제서와 명찬서를 연대순으로 나열
기타
열고관서목(장서목록 - 관장목록) : 순조 29(1829)년 이후에 작성
열려실기술 문예전고(문헌서목) : 저자 이긍익, 연려실기술의 별집 14권
각도책판목록 : 현종 6(1840)년 간행, 함경도를 제외한 7도의 판각목록
홍씨독서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 사분법 배열을 사용
조선(개화기)
증보문헌비고 예문고(문헌서목)
제작시기 : 영조 46(1770)년
저자 : 왕명에 의하여 홍봉한이 최초 편찬
특징
증보문헌비고 권 242 ~ 250에 수록되어 있는 문헌서목
고대부터 조선 말기까지의 서적에 관한 기술
기술 : 서명, 권차, 차자를 기재하였으며 내용은 간략한 편
배열 : 독자적인 분류체계로 역대서적, 역대저술, 사기, 어제, 열조어정제서, 유가류, 전장류, 문장류, 고실류, 잡찬류, 상위류, 여지류, 병가류, 자서류, 초집류, 역설류, 의가류, 농가류, 석가류, 문집류 등으로 구성
한국서지(문헌서목)
저자 : 모리스 꾸랑
특징
개인 수집 자료 및 쁠랑시, 뮈텔 주교, 로즈 제독 등 개인 소장 도서와 런던 대영박물관, 일본 우에노도서관 등의 소장 도서를 정리한 서목이며 4책으로 구성
32,821권의 도서 수록
기술 : 서명을 표출하고 권책수와 크기 기재, 해제를 붙임
배열 : 독자적인 분류체계이며 교화, 언어, 유교, 문묵, 의범, 서서, 기예, 교문, 교통의 9부분 35류로 구성
기타
한적목록고본(장서목록 - 가장목록) : 융희 1(1908)년 간행, 1,500여종의 장서 수록
제실도서목록(장서목록 - 관장목록) : 별궁, 규장각 장서등 10만여 책 정리
영남각읍교원서책록(장서목록 - 사장목록) : 영남 지역 향교 및 서원에 소장된 전적을 기록한 목록
근대 이후(1910년 이후)
조선고서목록
제작시기 : 1911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간행
저자 : 샤쿠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