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서론
1.호텔산업의 어원과 개념
2.호텔산업의 정의
3.호텔산업의 의의
Ⅱ.본론
1. 호텔산업의 역사
2. 호텔산업의 발전 추이
3. 서양호텔산업의 발전과정
<1>미국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2>스위스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3>영국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4>프랑스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5>독일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4. 동양호텔산업의 발전과정
<1> 일본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2> 중국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Ⅲ.결론
Ⅰ.서론
1.호텔산업의 어원과 개념
2.호텔산업의 정의
3.호텔산업의 의의
Ⅱ.본론
1. 호텔산업의 역사
2. 호텔산업의 발전 추이
3. 서양호텔산업의 발전과정
<1>미국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2>스위스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3>영국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4>프랑스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5>독일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4. 동양호텔산업의 발전과정
<1> 일본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2> 중국 호텔산업의 발전과정
Ⅲ.결론
본문내용
프랑스에서 Ritz가 27세의 나이로 지배인으로서 종사했던 유명한 호텔이기도 하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유럽지역의 왕족들이 방문하기도 한 이 호텔은 특히, 벨기에의 앨버트 왕과 왕비가 신혼여행 중에 투숙한 후 그의 왕족들이 정기적으로 이 호텔을 방문하기에 이르렀다.
그 후 스위스는 유럽인들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사랑 받는 휴양지로서 무수한 고급호텔들이 속속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3) 영국 호텔의 발전과정
그랜드 투어는 17세기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시대에 성행하였던 관광의 유형으로서, 처음에는 상류층의 자녀들을 교육목적으로 견문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서유럽 등의 순환여행을 실시하였던 때부터 생겨났다. 존 타우너(john towner) 박사는 그랜드 투어를 연구하는데 자료가 불충분하여 그 당시의 일기, 편지 및 여행기록 등의 기초적 정보자료에 근거를 두고 그랜드 투어를 연구하였다.
그랜드 투어는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옛날 명문 집안의 젊은 층들이 교육의 기초과목으로 유럽내의 관심 있는 도시와 지역 등을 여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본래 서유럽의 특정지역과 도시는 정해 있지 않고 교육과 위락의 목적으로 여행하였다. 그러나 16세기에서 18세기를 걸치는 동안 그랜드 투어는 관광객의 사회계급적 제한 혹은, 목적지가 분명하지 않은 채 당시 영국의 귀족들은 그리이스, 로마, 근동지역을 포함해서 포르투갈을 비롯하여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의 서구지역 어느 곳이던지 여행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므로 그랜드 투어는 한 사회계층에 국한되지 않는 특수 관광객의 순환관광으로 관찰되어 진다.
영국인들의 순환관광(grand tour)은 주로 파리와 베르사이유(versailles)궁전, 이탈리아의 론(rhone)계곡의 고적지 방문, 베니스, 투린, 로마, 나폴리 등을 정점으로 하여 돌아오는 여정이 있었고 독일의 라인강을 따라 다른 국가들도 여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후반의 관광은 고전적이며 복고풍(renaissance) 취미에 대한 여행이 많아 즉, 이탈리아 전지역의 유적지를 중심으로 한 해상도시의 관광 및 관광개발이 뚜렷하고, 따라서 프랑스 및 독일의 강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 통과연계 관광지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 지역들은 수로교통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낭만주의의 그랜드 투어가 성행하여 자연경관을 즐기기도 하였으며, 여행기간은 16세기 중엽에는 평균 40개월이었으나 1830년대에는 4개월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당시의 숙박시설로는 도로변에 호스텔 및 여관과 같은 숙소와 성지순례와 상인들이 이용했던 간이숙박시설 서비스가 있었다. 그러나 시골 외곽지대에서의 시설은 형편이 없었고, 유럽지역의 성곽들은 부유층의 관광객용 숙소로 개조되기도 했다. 반면에 18세기 후반부터는 은행들의 부수적인 업무로 환전업무를 실시하기도 하면서 호텔을 안내하고 여행객들의 짐도 운반하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전의 여행은 대체로 순례나 상업 혹은, 공용업무의 성격여행이었다. 하나, 1519년 포르트갈의 마젤란(magellan)은 대서양을 횡단하여 아메리카를 발견하면서 신대륙으로 향하는 소위, 원거리 해외여행과 세계일주의 여로가 트이게 되고, 이를 동기로 모험여행과 더불어 16세기말부터는 개인여행에 대한 호기심이 작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16세기초에 들어서면서 영국에서는 부유층을 위한 온천지역 개발이 확대됨으로써, 이에 대한 편의시설이 증가하고 온천 이용이 대중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질병의 치료효과로서 해수욕을 즐기는 계층의 여행객이 생겨나, 스카보로우(scarborough)외 브라이튼(brighton)은 온천 및 해수욕장으로서 유명하여 이곳을 찾는 여행객들에게 숙박지로도 널리 알려지고 있었다. 당시 브라이튼 지역을 자주 찾던 웨일즈((wales) 왕자는 1784년에 이곳에다 유명한 별장을 짓고 소일하기도 하였다.
영국의 산업혁명을 계기로 공업도시에 인구가 집중되고, 국내외의 시장유통과 원료공급으로 인한 식민지의 활용, 그리고 철도와 기선의 이용으로 여행이 용이해짐으로서 관광객의 대량이동에 따른 중산층의 숙박시설 이용의 필요성도 시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게 된 것이다.
영국에서 호텔(hotel)이란 단어는 1760년에 처음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1600년도에 세계최초로 영국의 써랍셔(shrophshire) 지방에서 목조2층의 건물로서 \"Feathers Hotel of Ludlow)\"가 등장하여 벌써 호텔이란 말이 생겨나고 있었다. 호텔이 등장하기 전에 여행은 대개의 경우, 목적지에서 민박을 청하거나 하숙(lodging)이나 셋방(chamber)에 숙박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1774년에 벌써 로우(david low)에 의해서 코벤트(covent) 정원인 아처경(lord archer)경의 농가에 First Family Hotel이라는 현대적 호텔의 모형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 후 60년 동안 영국의 도시 및 휴양지에 현대식의 호텔들이 건립되면서 1838년에는 유스튼(euston)에 First Railway Terminal Hotel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1840년 이후에는 철도역 등에 유람자들을 위한 철도휴게소가 생기고, 도심지에는 호텔용 빌딩과 산책로, 공공위안시설물과 회의장소 등이 생기면서, 1851년 2월에는 호텔과 여관을 포함한 런던의 숙박시설 현황이 발간되었고, 1854년도에 들어와서는 The Royal Hotel Guide란 책자에 영국 전체의 호텔 8,000여 개소가 소개되고 있었다
당시 철도당국은 훌륭한 호텔과 서비스의 제공이 곧, 교통량의 증가추세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깨닫고 있었다. 따라서 호텔의 발전과 아울러, 칼 베데커(karl baedeker)와 존 머레이(john murray)는 각각 여행안내서를 발행하여 여행의 관광욕구를 끌어내는 데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19세기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시민들에게는 외식하는 관습이 생겨났다. 많은 인구가 교외에 거주하기 때문에 점심식사하러 집에 갈 수 없는 사람이나, 낮에 쇼핑하러 시내 중심가로 들어온 시민들을 위해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과 커피
그 후 스위스는 유럽인들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사랑 받는 휴양지로서 무수한 고급호텔들이 속속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3) 영국 호텔의 발전과정
그랜드 투어는 17세기 영국의 엘리자베스 여왕시대에 성행하였던 관광의 유형으로서, 처음에는 상류층의 자녀들을 교육목적으로 견문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서유럽 등의 순환여행을 실시하였던 때부터 생겨났다. 존 타우너(john towner) 박사는 그랜드 투어를 연구하는데 자료가 불충분하여 그 당시의 일기, 편지 및 여행기록 등의 기초적 정보자료에 근거를 두고 그랜드 투어를 연구하였다.
그랜드 투어는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옛날 명문 집안의 젊은 층들이 교육의 기초과목으로 유럽내의 관심 있는 도시와 지역 등을 여행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본래 서유럽의 특정지역과 도시는 정해 있지 않고 교육과 위락의 목적으로 여행하였다. 그러나 16세기에서 18세기를 걸치는 동안 그랜드 투어는 관광객의 사회계급적 제한 혹은, 목적지가 분명하지 않은 채 당시 영국의 귀족들은 그리이스, 로마, 근동지역을 포함해서 포르투갈을 비롯하여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의 서구지역 어느 곳이던지 여행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러므로 그랜드 투어는 한 사회계층에 국한되지 않는 특수 관광객의 순환관광으로 관찰되어 진다.
영국인들의 순환관광(grand tour)은 주로 파리와 베르사이유(versailles)궁전, 이탈리아의 론(rhone)계곡의 고적지 방문, 베니스, 투린, 로마, 나폴리 등을 정점으로 하여 돌아오는 여정이 있었고 독일의 라인강을 따라 다른 국가들도 여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7세기 후반의 관광은 고전적이며 복고풍(renaissance) 취미에 대한 여행이 많아 즉, 이탈리아 전지역의 유적지를 중심으로 한 해상도시의 관광 및 관광개발이 뚜렷하고, 따라서 프랑스 및 독일의 강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 통과연계 관광지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이 지역들은 수로교통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낭만주의의 그랜드 투어가 성행하여 자연경관을 즐기기도 하였으며, 여행기간은 16세기 중엽에는 평균 40개월이었으나 1830년대에는 4개월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당시의 숙박시설로는 도로변에 호스텔 및 여관과 같은 숙소와 성지순례와 상인들이 이용했던 간이숙박시설 서비스가 있었다. 그러나 시골 외곽지대에서의 시설은 형편이 없었고, 유럽지역의 성곽들은 부유층의 관광객용 숙소로 개조되기도 했다. 반면에 18세기 후반부터는 은행들의 부수적인 업무로 환전업무를 실시하기도 하면서 호텔을 안내하고 여행객들의 짐도 운반하게 되었다. 산업혁명 이전의 여행은 대체로 순례나 상업 혹은, 공용업무의 성격여행이었다. 하나, 1519년 포르트갈의 마젤란(magellan)은 대서양을 횡단하여 아메리카를 발견하면서 신대륙으로 향하는 소위, 원거리 해외여행과 세계일주의 여로가 트이게 되고, 이를 동기로 모험여행과 더불어 16세기말부터는 개인여행에 대한 호기심이 작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16세기초에 들어서면서 영국에서는 부유층을 위한 온천지역 개발이 확대됨으로써, 이에 대한 편의시설이 증가하고 온천 이용이 대중화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질병의 치료효과로서 해수욕을 즐기는 계층의 여행객이 생겨나, 스카보로우(scarborough)외 브라이튼(brighton)은 온천 및 해수욕장으로서 유명하여 이곳을 찾는 여행객들에게 숙박지로도 널리 알려지고 있었다. 당시 브라이튼 지역을 자주 찾던 웨일즈((wales) 왕자는 1784년에 이곳에다 유명한 별장을 짓고 소일하기도 하였다.
영국의 산업혁명을 계기로 공업도시에 인구가 집중되고, 국내외의 시장유통과 원료공급으로 인한 식민지의 활용, 그리고 철도와 기선의 이용으로 여행이 용이해짐으로서 관광객의 대량이동에 따른 중산층의 숙박시설 이용의 필요성도 시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게 된 것이다.
영국에서 호텔(hotel)이란 단어는 1760년에 처음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1600년도에 세계최초로 영국의 써랍셔(shrophshire) 지방에서 목조2층의 건물로서 \"Feathers Hotel of Ludlow)\"가 등장하여 벌써 호텔이란 말이 생겨나고 있었다. 호텔이 등장하기 전에 여행은 대개의 경우, 목적지에서 민박을 청하거나 하숙(lodging)이나 셋방(chamber)에 숙박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1774년에 벌써 로우(david low)에 의해서 코벤트(covent) 정원인 아처경(lord archer)경의 농가에 First Family Hotel이라는 현대적 호텔의 모형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 후 60년 동안 영국의 도시 및 휴양지에 현대식의 호텔들이 건립되면서 1838년에는 유스튼(euston)에 First Railway Terminal Hotel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1840년 이후에는 철도역 등에 유람자들을 위한 철도휴게소가 생기고, 도심지에는 호텔용 빌딩과 산책로, 공공위안시설물과 회의장소 등이 생기면서, 1851년 2월에는 호텔과 여관을 포함한 런던의 숙박시설 현황이 발간되었고, 1854년도에 들어와서는 The Royal Hotel Guide란 책자에 영국 전체의 호텔 8,000여 개소가 소개되고 있었다
당시 철도당국은 훌륭한 호텔과 서비스의 제공이 곧, 교통량의 증가추세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을 깨닫고 있었다. 따라서 호텔의 발전과 아울러, 칼 베데커(karl baedeker)와 존 머레이(john murray)는 각각 여행안내서를 발행하여 여행의 관광욕구를 끌어내는 데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19세기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시민들에게는 외식하는 관습이 생겨났다. 많은 인구가 교외에 거주하기 때문에 점심식사하러 집에 갈 수 없는 사람이나, 낮에 쇼핑하러 시내 중심가로 들어온 시민들을 위해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점과 커피
추천자료
호텔 식음료 마케팅 운영과 미래의 전망
[호텔경영론]코오롱호텔 현황분석 및 마케팅전략분석
[이직][레스토랑종사원 이직][호텔종사원 이직][경찰관 이직][직업][직종][직장]이직의 개념,...
메리어트호텔의 마케팅 성공사례
신라호텔의 마케팅 성공사례
[중저가 호텔] 중저가호텔의 특성, 문제점 및 경쟁력 제고 방안
Burj-al-arab(버즈 알 아랍) 호텔 브랜드 및 경영전략 사례, 마케팅, SWOT, 두바이 7성급 호...
[수익성, 수익성 의미, 수익성 영향요인, 은행 수익성, 호텔, 영화, P2P, 인터넷뱅킹]수익성...
[홍보활동][PR활동][홍보][PR][지역사회복지관][대한민국임시정부][정부][호텔]지역사회복지...
[경영조직][경영][조직][기업][학교][호텔][항공산업][고능률생산조직][학습조직][생산조직]...
[서비스마케팅] 롯데호텔과 신라호텔의 서비스마케팅 분석
[기업][온라인기업][언론기업][손해보험기업][IT기업][호텔기업][관광기업]온라인기업(닷컴기...
[구전의도][구전][구전의도와 고객만족][구전의도와 기업정보][구전의도와 호텔연회장][구전...
진쟝(Jinjiang) 중국 최대의 호텔체인 기업의 성공 경영전략 (진쟝 중국호텔 체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