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D와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IVD와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척추란?
1) 경추(cervical, C1~C7)
2) 흉추(thoracic, T1~T12)
3)요추(lumbar, L1~L5)
4) 천추(sacrum)
5) 미추(coccyx)

2. 척추의 구성
1) 추간판
2) 후관절
3)인대
4) 근육

3. 추간판 탈출증이란?

4. 호발부위

5. 추간판 탈출증의 종류
◈ 경추 디스크(Cervical disk)
1) 증상
2) 이학적 검사
3) 영상진단 검사
◈ 흉추 추간판 탈출증
1) 원인
2)증상
3)진단법
◈ 요추 추간판 탈출증
1)원인
2)단계
3)증상
4) 이학적 검사
5) 방사선 검사

6. 관리
1) 지지방법
2) 약물치료
3) 수술중재
4) 대체 및 보조요법
7. 합병증
8. 예후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반사의 증감, 근력약화와 근위축, 감각둔마
3) 영상진단 검사
CT, MRI 등에서 신경을 압박하는 수핵을 관찰
경추부에서는 요추부보다도 MRI가 더욱 유용하나 때로는 골편유무등의 확인을 위하여 CT를 병행 하는 것이 필요
◈ 흉추 추간판 탈출증
등 디스크라고도 부르며 과거에 통계로는 백만명에 1명 정도
1) 원인
아직 불명확
발생 호발 연령은 45세이며, 열번째 흉추와 열두번째 흉추사이(부유늑골때문)
70%가 석회화된 만성 디스크병이고, 30% 정도가 급성 디스크
2)증상
가슴과 등의 통증이 특징
걸으면 다리가 무거워지면서 양다리가 저리고 시리는 신경성 다리저림증
보행이상, 하지 마비 또는 약화, 감각이상 등
기타 증상으로 소변 또는 대변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고, 배부 또는 하지 통증
3)진단법
검사방법은 주로 컴퓨터 촬영술 또는 MRI로 발견
※등 디스크가 드문 이유
흉추의 척추면 각도는 디스크가 쉽게 나올 수 있는 상태지만 흉추가 받는 하중을 늑골(갈비뼈)이 대신 분담하여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에 큰 압력이 걸릴 수가 없기 때문
◈ 요추 추간판 탈출증
요추의 구조상 제 4∼5요추간판(4번째 요추와 5번째 요추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에서 많이 발생
1)원인
퇴행 변화: 충격흡수 기능이 떨어지고 수핵의 퇴행은 더욱 가속
섬유륜은 특히 회전력에 매우 취약하여 작은 회전력에 의해서도 손상
수핵의 출격흡수 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반복적으로 손상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유전적, 환경적 요소가 크게 기여
그 외에 운동 부족에 의한 척추근의 약화, 잘못된 생활습관, 반복된 작업이나 운동에 의한 과도한 부담이 추간판을 손상
< 디스크의 단계 >
3) 증상
① 하지로 방사하는 통증, 즉 다리가 찌릿찌릿하거나
땅기면서 아픈 통증
② 허리나 엉덩이 부분의 통증
③ 하지의 근력이 감퇴되어 다리에 힘이 없고 다리가 무겁게
느껴지는 증상
④ 반대쪽 하지와 감각이 다른 감각 이상 증세
요통과 골반통증, 심하면 허벅지 부위의 통증이 발생
다리 밑으로 당기거나 저리고, 감각저하, 마비증세.
4) 이학적 검사
·척추외관검사 : 환자 뒤에서 척추의 편위. 굴곡시 굴곡 정도, 척추의 회전을 관찰
·하지직거상검사 : 추간판 탈출증 암시해주는 간편한 검사이나 판단에는 신중
제3-4추간판탈출증에서는 대퇴스트레칭 검사를 시행
·근력검사 : 대개 슬관절 신전근, 엄지발가락 신전과 굴곡를 검사 하는데 반드시 건측과
비교하여 판단
·감각검사 : 대개 하퇴의 내측(L4), 외측(L5),
장딴지의 외측(S1), 내측(S2)를 검사.
반드시 건측과 비교하고 다른
검사의 결과와 종합하여 판단.
척수증(myelopathy)이 오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척수증이 의심되는
경우는 상부 흉추까지 또는
감각 변화가 없는 레벨까지 감각체크
·심부건반사 : 슬반사(L4), 족반사(S1)를
반드시 검사하는데 정상인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환자가 긴장하면
반사가 유발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발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건측과 비 교하고 다른 소견과 종합하여 판단. 척수증과 감별
·병적반사검사 : Ankle clonus나 바빈스키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 척수증 여부를 반드시 감별
5) 방사선 검사
X-ray
척추강 조영술
CT(컴퓨터단층촬영)
MRI(자기공명영상촬영)
6. 관리
1) 지지방법
① 더 이상 신경학적 결손이 진행되지 않는다면 4~6주간 안정을 취하는 보존치료를 한다.
② 단단한 침요 사용 및 침상 안정(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 감소).
(다리밑에 베개 대주어 고관절과 슬관절을 약간 굴곡시켜 좌골신경 이완)
③ 손상부위의 냉온 마사지
급성 : 48시간 얼음주머니 → 열이용(급성통증 완화되면 근력강화운동 실시)
④ 반좌위 : 추간판 후면 간격 넓어지고 전방요추굴절을 증진시켜 등긴장 감소
⑤ 경추디스크 : 경추칼라와 견인, 침상상부 상대적 견인위해 상승
요추디스크 : 골반견인 실시해 추간판공 넓혀줌.
⑥ 물리치료(심부초음파, 온열과 습열치료)
⑦ 콜셋, 보조기사용(제한된 등움직임은 근 육 약화 척수수조 퇴행시키므로 3개월 이상 사용금 지),
⑧ 바른 자세교육
2) 약물치료
① 항염증성 약물 - ibuprofen(Motrin), prednisone(Orasone)
② 근이완제 - diazepam(valium), cyclobenzaprine(Flexeril)
③ 진통제나 마취제 - 급성기에 투여
3) 수술중재
① 적응증
* 점차로 신경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 하지직거상 검사상 심한 제한이 있으며 심한 신경증상 (감각소실 및 마비)이 있는 경우
* 마미증후군 : 대소변 장애 및 성기능 장애 발생 시 응급수술
* 6주이상의 상당기간 보존적 치료로 호전이 없는 경우
* 참을 수 없는 동통이 있거나 계속 재발되는 경우
* 동통으로 인해 활동에 심한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
② 고전적 수술
* 추궁절제 및 추간판제거술 :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90%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임
* 피부를 절개하여 상하 추궁판을 부분절제하고 그사이의 황색인대를 제거한 후, 이를 통하여 신경근을 견인하고 탈출 된 수핵을 제거하는 방법
③ 최소 침습적 수술 (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화학적 수핵 용해술 ( Chemonucleolysis ) :
Chymopapain이라는 약물로 수핵을 녹임. 젊은 연령 환자의 돌출 또는 팽윤성 디스크에서 70-80% 정도 양호한 결과를 보임
* 자동흡입 수핵제거술 ( Automated percutaneous discectomy ) :
45%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이며 12%에서 재발로 인한 재수술의 가능성이 있음
* 레이저 추간판 감압술 ( Laser discectomy ) :
레이저로 수핵을 녹여 감압. 경미한 디스크에
적용되며 55-70%에서 양호한 결과. 35%에서 재발로
인한 재수술의 가능성 있음.
* 내시경 수핵제거술 ( Arthroscopic microdiscectomy ) :
85% 성공률
* 미세현미경적 추간판제거술 ( Microsurgical discectomy ) :
양호한 방법이나 시야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4.05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