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허리통증이란>
<허리통증의 예방>
1. 자세
2. 적절한 운동
3. 해로운 운동
<허리통증의 진단>
①X-선 촬영
②척추강 조영술
③CT
④MRI
⑤그 밖
<허리통증의 치료 방법>
1. 안정 가료과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
①냉찜질
②온열치료
③전기치료
④레이저 치료
2. 칼을 사용하지 않는 비관혈적 수술
①카이모 파파인 주사
②자동 흡인술(뉴클레오톰)
③레이저 수술
3. 칼을 사용하여 절개하는 수술
<허리질환의 종류>
<허리통증의 종류와 치료방법>
1.척추염좌(Strain, Sprain)
2. 노인성요통
3. 좌골신경통
4. 부인병성 통증
5. 퇴행성 척추염(degenerative spondylitis, spondylosis)
6. 허리디스크 [추간판(수핵)탈출증]
7. 척추관 협착증
8. 척추분리증
9. 척추측만증
<허리통증의 예방>
1. 자세
2. 적절한 운동
3. 해로운 운동
<허리통증의 진단>
①X-선 촬영
②척추강 조영술
③CT
④MRI
⑤그 밖
<허리통증의 치료 방법>
1. 안정 가료과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
①냉찜질
②온열치료
③전기치료
④레이저 치료
2. 칼을 사용하지 않는 비관혈적 수술
①카이모 파파인 주사
②자동 흡인술(뉴클레오톰)
③레이저 수술
3. 칼을 사용하여 절개하는 수술
<허리질환의 종류>
<허리통증의 종류와 치료방법>
1.척추염좌(Strain, Sprain)
2. 노인성요통
3. 좌골신경통
4. 부인병성 통증
5. 퇴행성 척추염(degenerative spondylitis, spondylosis)
6. 허리디스크 [추간판(수핵)탈출증]
7. 척추관 협착증
8. 척추분리증
9. 척추측만증
본문내용
2일 이내), 출혈의 위험이 있는 경우, 염증이 있는 경우, 암의 존재가 의심되는 경우 그리고 생식기 부위에는 적용해서 안 된다.
*표층 열치료( Hot pack 과 적외선램프)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피부 부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피하지방 층에서 차단이 되어 깊숙이 존재하는 근육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심층 열치료( 초음파 치료기) ; 초음파는 뼈와 근육사이의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열 에너지로 전환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③전기치료
전기 자극을 주어 신경을 자극하고, 혈액 순환을 증가시키게 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Tens라고 불리는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 치료와 두 개의 주파수를 교차시켜 새로운 파를 형성하여 체내 깊숙한 곳으로 침투시키는 간섭파 치료가 있다.
④레이저 치료
주로 헬륨 네온 레이저가 사용되는데 이 레이저는 소염 효과가 있으며 신경에 작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2. 칼을 사용하지 않는 비관혈적 수술
①카이모 파파인 주사
카이모 파파인은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파파야 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효소로써 원래는 인디언들이 고기를 연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던 것이다. 이 방법은 1980년 초반에 많이 사용되다가 수술 후에도 허리에 통증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 척추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버리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제한된 환자에게만 사용되는 추세다.
즉 다리의 통증이 허리의 통증보다 심하고, MRI로 수핵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면 퇴행성 변화나 척추관 협착 같은 척추뼈의 다른 병변이 없는 20~30대의 젊은 남자에게는 간편한 방법으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②자동 흡인술(뉴클레오톰)
1980년대 후반에 주로 보급된 방법으로 카이모 파파인 주사와 같은 원리이나 효소에 의해서 녹이는 것이 아니라 피부를 5mm정도 절개 후 가느다란 튜브 형태의 기구를 넣은 뒤 뉴클레오톰이라는 절개용 칼을 사용하여 수핵의 돌출 부위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 역시 처음에는 크게 각광 받았으나 현재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수술 대상 환자는 카이모 파파인과 동일하다.
③레이저 수술
디스크의 돌출 부위에 레이저를 쏘아서 수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1990년대 초반에 도입되어 인기를 끌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에서는 FDA공인을 받았다는 점을 강조하나 이는 디스크 환자들 중에서 이 방법으로 도움받을 수 있는 환자도 있다는 정도의 의미밖에는 없다. 이 방법에 대한 외국의 반응은 냉담하여 이에 대한 논문도 많지 않으며 1997년도 미국의 척추 교과서 등의 평가도 부정적이다.
3. 칼을 사용하여 절개하는 수술
가장 안전하고 비용도 저렴하고(보험 적용이 됨) 장기적인 성적도 비교적 우수한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수술시 커다란 흉터와 수술 후 신경과 근육의 유착으로 인해 다리 감각 이상 등의 합병증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미경등을 이용하여 수술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모든 수술이 커다란 흉터를 남기지는 않는다. 다만, 환자의 상태를 MRI등으로 진단하여 어떤 수술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가장 적절한 방법에 따라 수술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허리질환의 종류>
질환명
개요
척추염좌
(Strain, Sprain)
가장 많은 요통의 원인 중 하나로 주로 삐고(인대) 뭉친(근육) 경우
노인성요통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뼈와 근육, 인대가 약해지고 느슨해지며 추간판도 줄어드는 등 신체의 다양한 상태변화에 의한 요통
좌골신경통
좌골신경을 따라 나타나는 통증
부인병성 통증
부인과 질환과의 연관성에 의해 나타나는 요통
퇴행성척추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기는 척추부위의 관절염
추간판(수핵)탈출증
보통 디스크라고 불리는 질환
척추관협착증
척추안쪽의 척추관이 좁아져서 생기는 통증
척추분리증
일반적으로 \"뼈에 금이 갔다\"거나 \"뼈가 어긋나 있다\" 라는 등의 경우
척추측만증
척추가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지는 증세
<허리통증의 종류와 치료방법>
1.척추염좌(Strain, Sprain)
척추 염좌는 요통을 호소하는 가장 많은 경우 중의 하나로 삐고(인대) 뭉친(근육) 경우 등을 말하는 것으로 쉽게 치료될 수 있으나 별 치료 없이 그대로 놔두면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은 것 같으나, 점차 추간판탈출증(디스크), 근막 통증 증후근(근육이 심하게 굳어 아픔)고 같은 질환으로 발전될 수 있다. 척추 염좌는 손상 후 바로 치료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① 원인
급성은 외상을 받거나 물건을 들다 허리뼈의 연부조직(인대, 근육 등)이 늘어나거나 파열된 것을 말한다. 증상은 통증이 심하고 심지어 다친 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할 수 있다. 만성 척추 염좌는 뚜렷하지 않은 원인들(과도한 체중, 부적당한 자세지속, 척추 구조의 선천적인 이상 등)이 복합적으로 허리 부위에 스트레스를 줌으로써 일어나는 질병이다.
특히 나이를 먹으며 퇴행성 변화가 있으면 더 쉽게 일어난다. 증상과 치료는 통증이 급성 염좌보다 덜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예상되는 원인(체중, 근육약화, 잘못된 습관, 무리한 업무 등)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다.
② 증상
-근육경직(근육이 딱딱해짐) : 허리 양쪽 또는 한쪽에 경직이 나타나고 경직이 심해지면 허리가 굽어진다.
-압통(누를 때 아픔) :불편한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있다.
-방사통(아픈 부위에서 주변으로 통증이 신경을 따라서 퍼짐) : 엉덩이, 넓적다리에 통증이 있을 수 있으나 무릎 아래까지 이르는 통증은 드물다.
-운동 제한 : 통증 때문에 몸을 움직이기가 굉장히 힘이 든다.
③ 치료방법
X-RAY촬영 시 전후방 촬영을 하면 근육의 경직으로 척추가 구부러진 모습을 보일 수 있으나 경미할 경우 X-RAY상으로 특별한 소견이 없는 경우도 있다. 급성 염좌에 대한 대부분의 치료는 통증이 심할 경우 근육 이완제와 같은 약물과 물리치료를 받게 된다.
2. 노인성요통
물리치료로는 온습찜질, TENS, 초음파, 수기 치료, 운동치료 등이 있다.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 60%정도는 요통이 있다. 대부분 골다공증,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관절염같은 척추의 변성이 원인이다.
*표층 열치료( Hot pack 과 적외선램프)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피부 부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피하지방 층에서 차단이 되어 깊숙이 존재하는 근육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심층 열치료( 초음파 치료기) ; 초음파는 뼈와 근육사이의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열 에너지로 전환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③전기치료
전기 자극을 주어 신경을 자극하고, 혈액 순환을 증가시키게 된다. 대표적인 것으로 Tens라고 불리는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 치료와 두 개의 주파수를 교차시켜 새로운 파를 형성하여 체내 깊숙한 곳으로 침투시키는 간섭파 치료가 있다.
④레이저 치료
주로 헬륨 네온 레이저가 사용되는데 이 레이저는 소염 효과가 있으며 신경에 작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2. 칼을 사용하지 않는 비관혈적 수술
①카이모 파파인 주사
카이모 파파인은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파파야 나무 열매에서 추출한 효소로써 원래는 인디언들이 고기를 연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하던 것이다. 이 방법은 1980년 초반에 많이 사용되다가 수술 후에도 허리에 통증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 척추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버리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제한된 환자에게만 사용되는 추세다.
즉 다리의 통증이 허리의 통증보다 심하고, MRI로 수핵의 돌출이 확인되었으면 퇴행성 변화나 척추관 협착 같은 척추뼈의 다른 병변이 없는 20~30대의 젊은 남자에게는 간편한 방법으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②자동 흡인술(뉴클레오톰)
1980년대 후반에 주로 보급된 방법으로 카이모 파파인 주사와 같은 원리이나 효소에 의해서 녹이는 것이 아니라 피부를 5mm정도 절개 후 가느다란 튜브 형태의 기구를 넣은 뒤 뉴클레오톰이라는 절개용 칼을 사용하여 수핵의 돌출 부위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 역시 처음에는 크게 각광 받았으나 현재는 별로 사용되지 않으며 수술 대상 환자는 카이모 파파인과 동일하다.
③레이저 수술
디스크의 돌출 부위에 레이저를 쏘아서 수핵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1990년대 초반에 도입되어 인기를 끌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일부에서는 FDA공인을 받았다는 점을 강조하나 이는 디스크 환자들 중에서 이 방법으로 도움받을 수 있는 환자도 있다는 정도의 의미밖에는 없다. 이 방법에 대한 외국의 반응은 냉담하여 이에 대한 논문도 많지 않으며 1997년도 미국의 척추 교과서 등의 평가도 부정적이다.
3. 칼을 사용하여 절개하는 수술
가장 안전하고 비용도 저렴하고(보험 적용이 됨) 장기적인 성적도 비교적 우수한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수술시 커다란 흉터와 수술 후 신경과 근육의 유착으로 인해 다리 감각 이상 등의 합병증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미경등을 이용하여 수술 절개 부위를 최소화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모든 수술이 커다란 흉터를 남기지는 않는다. 다만, 환자의 상태를 MRI등으로 진단하여 어떤 수술 방법을 선택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가장 적절한 방법에 따라 수술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허리질환의 종류>
질환명
개요
척추염좌
(Strain, Sprain)
가장 많은 요통의 원인 중 하나로 주로 삐고(인대) 뭉친(근육) 경우
노인성요통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뼈와 근육, 인대가 약해지고 느슨해지며 추간판도 줄어드는 등 신체의 다양한 상태변화에 의한 요통
좌골신경통
좌골신경을 따라 나타나는 통증
부인병성 통증
부인과 질환과의 연관성에 의해 나타나는 요통
퇴행성척추염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기는 척추부위의 관절염
추간판(수핵)탈출증
보통 디스크라고 불리는 질환
척추관협착증
척추안쪽의 척추관이 좁아져서 생기는 통증
척추분리증
일반적으로 \"뼈에 금이 갔다\"거나 \"뼈가 어긋나 있다\" 라는 등의 경우
척추측만증
척추가 어느 한쪽으로 구부러지는 증세
<허리통증의 종류와 치료방법>
1.척추염좌(Strain, Sprain)
척추 염좌는 요통을 호소하는 가장 많은 경우 중의 하나로 삐고(인대) 뭉친(근육) 경우 등을 말하는 것으로 쉽게 치료될 수 있으나 별 치료 없이 그대로 놔두면 시간이 지나면서 괜찮은 것 같으나, 점차 추간판탈출증(디스크), 근막 통증 증후근(근육이 심하게 굳어 아픔)고 같은 질환으로 발전될 수 있다. 척추 염좌는 손상 후 바로 치료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① 원인
급성은 외상을 받거나 물건을 들다 허리뼈의 연부조직(인대, 근육 등)이 늘어나거나 파열된 것을 말한다. 증상은 통증이 심하고 심지어 다친 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할 수 있다. 만성 척추 염좌는 뚜렷하지 않은 원인들(과도한 체중, 부적당한 자세지속, 척추 구조의 선천적인 이상 등)이 복합적으로 허리 부위에 스트레스를 줌으로써 일어나는 질병이다.
특히 나이를 먹으며 퇴행성 변화가 있으면 더 쉽게 일어난다. 증상과 치료는 통증이 급성 염좌보다 덜하다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예상되는 원인(체중, 근육약화, 잘못된 습관, 무리한 업무 등)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다.
② 증상
-근육경직(근육이 딱딱해짐) : 허리 양쪽 또는 한쪽에 경직이 나타나고 경직이 심해지면 허리가 굽어진다.
-압통(누를 때 아픔) :불편한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있다.
-방사통(아픈 부위에서 주변으로 통증이 신경을 따라서 퍼짐) : 엉덩이, 넓적다리에 통증이 있을 수 있으나 무릎 아래까지 이르는 통증은 드물다.
-운동 제한 : 통증 때문에 몸을 움직이기가 굉장히 힘이 든다.
③ 치료방법
X-RAY촬영 시 전후방 촬영을 하면 근육의 경직으로 척추가 구부러진 모습을 보일 수 있으나 경미할 경우 X-RAY상으로 특별한 소견이 없는 경우도 있다. 급성 염좌에 대한 대부분의 치료는 통증이 심할 경우 근육 이완제와 같은 약물과 물리치료를 받게 된다.
2. 노인성요통
물리치료로는 온습찜질, TENS, 초음파, 수기 치료, 운동치료 등이 있다.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 60%정도는 요통이 있다. 대부분 골다공증, 척추관 협착증, 퇴행성 관절염같은 척추의 변성이 원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