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맞춰 고막을 통하여 체온 측정하였다.
7. 대상자의 산소포화도와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를 모니터링 한다.
→ 산소포화도는 한시간마다 측정하였고, ABGA는 하루에 한번 아침에 채혈하였다.
8.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파울러 체위를 취해준다.
→ 대상자에게 반파울러 체위가 호흡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을 알려드렸고, 체위변경을 통해 반파울러 자세를 유지했다.
9. 대상자에게 처방된 산소를 투여한다.
→ 처방된 산소 o2 2L Nasal prong 적용하였으며, Chest X ray 악화됨에 따라 산소 처방량이 증가했다.
10. 필요 시 흉부 물리요법을 시행한다.
→ 혹여나 가래배출이 어렵거나, 가래가 끓는 느낌이 들 때, 호출벨을 이용하여 간호사를 불러 흉부물리요법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11. 대상자에 수분섭취를 격려하여 환기를 증진시킨다.
→ 대상자에게 가래의 점도 감소, 기도의 수분 유지, 호흡기 건강 증진, 탈수 예방 등 수분섭취의 이점을 설명한 뒤 섭취를 격려했다.
12. 처방된 약물을 정확한 시간에 투여한다.
→ Tabaxin 4.5g + ns 100ml QID, Spatam 10% 6ml TID, Gaster 20mg BID 투여했다.
13.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흡과 기침, 호흡교정방법을 교육한다.
→ 가래를 배출하는 것을 어려워 하셨지만 흡인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극도로 refuse하는 상태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기침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14. 대상자에게 활동을 조절하는 것과 호흡곤란 시 불필요한 일은 피하도록 교육한다.
→ 조금만 움직이는 것도 대상자에게는 무리가되는 상황이었기에 이동식 변기를 곁에 두었고, 필요한 물건은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두었다.
15. 대상자에게 호흡악화 증상은 교육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 대상자에게 호흡이 평소에 비해 빨라지거나 힘이 들면 언제든지 간호사실 호출 벨을 사용 할 수 있도록 교육했고, 대상자 손닿기 쉬운 곳에 호출 벨을 위치시켰다.
evaluation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을 회복하여 SpO2 95% 이상을 유지할 것이다.
→ (미달성) 대상자는 내과중환자실로 전실하시고 고용량으로 Airvo를 통하여 산소를 투여하는 중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수치가 93%이상이 될 것이다.
→ (달성) 대상자는 O2를 투여받아 SpO2 수치를 95%로 유지하였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가래의 양이 종이컵의 1/3으로 줄어들 것이다.
→ (미달성) 대상자는 내과 중환자실로 전실가셨고, 그 부분은 자료를 볼 수 없었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V/S 중 호흡수가 22회/분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 (미달성) 대상자는 호흡수가 30회/분 이상으로 계속 측정되었다.
참고문헌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6명, 현문사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7. 대상자의 산소포화도와 동맥혈가스분석 결과를 모니터링 한다.
→ 산소포화도는 한시간마다 측정하였고, ABGA는 하루에 한번 아침에 채혈하였다.
8.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파울러 체위를 취해준다.
→ 대상자에게 반파울러 체위가 호흡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을 알려드렸고, 체위변경을 통해 반파울러 자세를 유지했다.
9. 대상자에게 처방된 산소를 투여한다.
→ 처방된 산소 o2 2L Nasal prong 적용하였으며, Chest X ray 악화됨에 따라 산소 처방량이 증가했다.
10. 필요 시 흉부 물리요법을 시행한다.
→ 혹여나 가래배출이 어렵거나, 가래가 끓는 느낌이 들 때, 호출벨을 이용하여 간호사를 불러 흉부물리요법 시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11. 대상자에 수분섭취를 격려하여 환기를 증진시킨다.
→ 대상자에게 가래의 점도 감소, 기도의 수분 유지, 호흡기 건강 증진, 탈수 예방 등 수분섭취의 이점을 설명한 뒤 섭취를 격려했다.
12. 처방된 약물을 정확한 시간에 투여한다.
→ Tabaxin 4.5g + ns 100ml QID, Spatam 10% 6ml TID, Gaster 20mg BID 투여했다.
13. 대상자에게 적절한 호흡과 기침, 호흡교정방법을 교육한다.
→ 가래를 배출하는 것을 어려워 하셨지만 흡인을 통해 배출하는 것을 극도로 refuse하는 상태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기침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14. 대상자에게 활동을 조절하는 것과 호흡곤란 시 불필요한 일은 피하도록 교육한다.
→ 조금만 움직이는 것도 대상자에게는 무리가되는 상황이었기에 이동식 변기를 곁에 두었고, 필요한 물건은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두었다.
15. 대상자에게 호흡악화 증상은 교육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 대상자에게 호흡이 평소에 비해 빨라지거나 힘이 들면 언제든지 간호사실 호출 벨을 사용 할 수 있도록 교육했고, 대상자 손닿기 쉬운 곳에 호출 벨을 위치시켰다.
evaluation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적인 호흡을 회복하여 SpO2 95% 이상을 유지할 것이다.
→ (미달성) 대상자는 내과중환자실로 전실하시고 고용량으로 Airvo를 통하여 산소를 투여하는 중이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SpO2 수치가 93%이상이 될 것이다.
→ (달성) 대상자는 O2를 투여받아 SpO2 수치를 95%로 유지하였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가래의 양이 종이컵의 1/3으로 줄어들 것이다.
→ (미달성) 대상자는 내과 중환자실로 전실가셨고, 그 부분은 자료를 볼 수 없었다.
대상자는 4일 이내에 V/S 중 호흡수가 22회/분 이하로 떨어질 것이다.
→ (미달성) 대상자는 호흡수가 30회/분 이상으로 계속 측정되었다.
참고문헌
·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 6명, 현문사
·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