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III 연구기간 및 방법
IV. 간호과정
제 1 단계 :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① 현병력 (present illness)
② 과거력 (past History)
③ 가족력 (Family History)
④ 각 기관별 문진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치료 및 경과
제 2단계 : 간호과정 적용
문헌고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III 연구기간 및 방법
IV. 간호과정
제 1 단계 :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① 현병력 (present illness)
② 과거력 (past History)
③ 가족력 (Family History)
④ 각 기관별 문진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치료 및 경과
제 2단계 : 간호과정 적용
문헌고찰
본문내용
심 및 구토 등
② Ampibactam Inj 750mg
[효능] 상하부 호흡기감염증, 세균성 폐렴, 세균성 폐혈증등에 효과가 있는 페니실린계 항생제
[용법] 신생아, 유아, 어린이 : 1일 kg당 150mg(역가)을 3~4회 분할하여 투여.
[주의] 적혈구 백혈구 감소, 무과립구증, 구토, 아나필락시스, 신장 및 비뇨기계 이상 등
③Klaricid 100mg
[효능] 기관지염, 폐렴, 부비동염 등에 효능이 있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용법] 12세 이하 소아는 건조시럽을 사용. 보통 소아 체중 kg당 7.5mg을 12시간마다 투여. 투여기간은
보통 5~10일. 이 약은 생체이용율 변화가 없으므로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
[주의] 아니필락시스 쇽, 과민반응(발진, 두드러기), 구토, 소화불량, 기침, 호흡곤란, 어지러움, 불안 등
④Sodium Bicarbonate 8.4% 20㎖
[효능] 산성혈증, 위십이지장궤양, 요산배설의 촉진과 통풍발작 예방에 쓰는 제산제
[용법] 1회 0.5~1g 1일3~5g을 경구투여
[주의] 알칼리증, 부종, 산의 반동분비등, 나트륨 섭취제한환자 금기
⑤Dextrose 5% 500㎖
[효능] 수분보급, 용해희석제, 고칼륨혈증 및 저혈당시 에너지 보급의 효과가 있는 탄수화물 수액제
[용법] 성인 1회 500~1000㎖ 정맥주사. 속도는 시간당 0.5g/kg.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주의] 저칼륨혈증, 고장성혼수, 탈수증, 고삼투압증, 포도당 검출되는 다뇨증, 정맥염, 혈전증 등
제 2단계 :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1. 분비물 과다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날짜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08.05.01
l
08.05.02
주관적 자료
-"아이가 가래 섞인 기침이 많이나요.“
-“아기가 잠잘 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너무 큰데..”
*객관적 자료
-호흡수 42회/min
-불규칙한 호흡음
(천명음이 들림)
-rhinorrhea 많음
-coughing
(앞가슴이 울림
진동이 느껴짐
가래 섞인 기침)
*단기목표
-대상자는 효과적인 기침을 한다.
-기관지 분비물이 줄어든다.
-호흡음이 부드러워진다.
-호흡 시 불편감이 없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호흡양상을 유지한다.
1.호흡양상을 4시간마다 사정한다. (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2.기침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3.좌위 또는 반좌위를 취하게 해준다.
4.병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5.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6.병실 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7.효과적인 기침을 하는 법에 대해 교육한다.
8.흉부물리요법과 기도흡인을 교육한다.
(체위배액, 타진법, 진동법)
1.4시간마다 활력징후 특히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5/1
T
P
R
15시
38.2
142
38
19시
37.5
124
35
○5/2
T
P
R
15시
39.9
123
30
19시
37.2
110
28
2.기침의 양상과 횟수를 duty담당 간호사선생님께서 관찰하시는 것을 옆에서 지켜보았다.(분비물 걸린 소리가 나는 기침을 2회/min정도함)
3.침상에 있을시 좌위를 취하게 하였다.
4.간호사 선생님께서 가습기를 환아옆에 두셨고 물이 부족할시 내가 물을 채워주었다.
5.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하루3ℓ정도의 수분을 환아가 섭취하도록 교육하셨다.
6.실습중 수시로 잠시동안 창문을 열어주었다.
7.간호사 선생님께서기침 시 양손으로 흉곽을 앞뒤로 지지해 주도록 보호자에게 교육, 시범을 보여주는 것을 지켜보았다..
8.간호사 선생님께서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과 기도흡인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단기
-대상자의 호흡 시 불편감이 없어지지는 않았으나, 호흡곤란의 징후가 감소하였다.
-흉부물리요법 후 기침을 시행하였을 때 분비물을 뱉어냈다.
-쌕쌕거리는 소리가 줄었으며, 호흡음이 다소 부드러워졌다.
*장기
-실습기간 특성상
장기목표는 달성할 수 없어서 평가를 할 수가 없다.
간호진단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날짜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08.05.02
주관적 자료
-"아이가 열이 나서 그런지 얼굴이 붉고 뜨끈해요.”
-“아이가 자꾸 안절부절해요.”
*객관적 자료
-○5/2 V/S
T
P
R
15시
39.9
123
44
16시
38.3
115
40
-CBC 검사4/30
WBC:12.03
-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며, 땀을 많이 흘림
-아이가 안정적이지 못하며 안전부절 함.
*단기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1.1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2.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갈증, 피부건조)
3.옷을 얇게 입힌다.
4.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5.37.5℃ 이상인 경우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환아의 몸을 닦아준다.
6.땀으로 인해 환아의 의복이 젖은 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7.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8.보호자에게 미온수 맛사지에 대해 교육한다.
1.1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5/2
T
P
R
15시
39.9
123
30
16시
38.3
115
28
17시
37.2
110
28
18시
37.2
112
27
2.땀으로 인해 피부가 축축하였다.
3.환아에게 얇은 티셔츠 하나만 입혔다.
4.실습중 수시로 잠시동안 창문을 열어주워
환기를 시켜 환아의 호흡도 용이하게했다.
5.열이 37.5℃ 이상으로 지속되면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말단부 부터 닦도록 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교육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와 같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아주었다.)
6.환아가 땀으로 인해 의복이 젖을 경우 새옷을 보호자에게 전해주었다.
7.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하루3ℓ정도의 수분을 환아가 섭취하도록 교육하셨다.
*단기
-환아의 체온이
37.5℃ 이하로 감소하였다.
-환아의 안절부절한 행동이 사라졌다.
< 참 고 문 헌 >
검사와 간호편람. 오송자. 청구문화사. 1997.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성인간호학(下-2). 전시자. 현문사. 2002.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대한간호협회. 현문사. 1998
인체생리학. 소명숙. 고문사. 2001.
② Ampibactam Inj 750mg
[효능] 상하부 호흡기감염증, 세균성 폐렴, 세균성 폐혈증등에 효과가 있는 페니실린계 항생제
[용법] 신생아, 유아, 어린이 : 1일 kg당 150mg(역가)을 3~4회 분할하여 투여.
[주의] 적혈구 백혈구 감소, 무과립구증, 구토, 아나필락시스, 신장 및 비뇨기계 이상 등
③Klaricid 100mg
[효능] 기관지염, 폐렴, 부비동염 등에 효능이 있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용법] 12세 이하 소아는 건조시럽을 사용. 보통 소아 체중 kg당 7.5mg을 12시간마다 투여. 투여기간은
보통 5~10일. 이 약은 생체이용율 변화가 없으므로 식사와 관계없이 투여.
[주의] 아니필락시스 쇽, 과민반응(발진, 두드러기), 구토, 소화불량, 기침, 호흡곤란, 어지러움, 불안 등
④Sodium Bicarbonate 8.4% 20㎖
[효능] 산성혈증, 위십이지장궤양, 요산배설의 촉진과 통풍발작 예방에 쓰는 제산제
[용법] 1회 0.5~1g 1일3~5g을 경구투여
[주의] 알칼리증, 부종, 산의 반동분비등, 나트륨 섭취제한환자 금기
⑤Dextrose 5% 500㎖
[효능] 수분보급, 용해희석제, 고칼륨혈증 및 저혈당시 에너지 보급의 효과가 있는 탄수화물 수액제
[용법] 성인 1회 500~1000㎖ 정맥주사. 속도는 시간당 0.5g/kg.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주의] 저칼륨혈증, 고장성혼수, 탈수증, 고삼투압증, 포도당 검출되는 다뇨증, 정맥염, 혈전증 등
제 2단계 :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1. 분비물 과다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날짜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08.05.01
l
08.05.02
주관적 자료
-"아이가 가래 섞인 기침이 많이나요.“
-“아기가 잠잘 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너무 큰데..”
*객관적 자료
-호흡수 42회/min
-불규칙한 호흡음
(천명음이 들림)
-rhinorrhea 많음
-coughing
(앞가슴이 울림
진동이 느껴짐
가래 섞인 기침)
*단기목표
-대상자는 효과적인 기침을 한다.
-기관지 분비물이 줄어든다.
-호흡음이 부드러워진다.
-호흡 시 불편감이 없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정상적인호흡양상을 유지한다.
1.호흡양상을 4시간마다 사정한다. (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2.기침의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3.좌위 또는 반좌위를 취하게 해준다.
4.병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5.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6.병실 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7.효과적인 기침을 하는 법에 대해 교육한다.
8.흉부물리요법과 기도흡인을 교육한다.
(체위배액, 타진법, 진동법)
1.4시간마다 활력징후 특히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5/1
T
P
R
15시
38.2
142
38
19시
37.5
124
35
○5/2
T
P
R
15시
39.9
123
30
19시
37.2
110
28
2.기침의 양상과 횟수를 duty담당 간호사선생님께서 관찰하시는 것을 옆에서 지켜보았다.(분비물 걸린 소리가 나는 기침을 2회/min정도함)
3.침상에 있을시 좌위를 취하게 하였다.
4.간호사 선생님께서 가습기를 환아옆에 두셨고 물이 부족할시 내가 물을 채워주었다.
5.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하루3ℓ정도의 수분을 환아가 섭취하도록 교육하셨다.
6.실습중 수시로 잠시동안 창문을 열어주었다.
7.간호사 선생님께서기침 시 양손으로 흉곽을 앞뒤로 지지해 주도록 보호자에게 교육, 시범을 보여주는 것을 지켜보았다..
8.간호사 선생님께서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과 기도흡인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단기
-대상자의 호흡 시 불편감이 없어지지는 않았으나, 호흡곤란의 징후가 감소하였다.
-흉부물리요법 후 기침을 시행하였을 때 분비물을 뱉어냈다.
-쌕쌕거리는 소리가 줄었으며, 호흡음이 다소 부드러워졌다.
*장기
-실습기간 특성상
장기목표는 달성할 수 없어서 평가를 할 수가 없다.
간호진단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날짜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08.05.02
주관적 자료
-"아이가 열이 나서 그런지 얼굴이 붉고 뜨끈해요.”
-“아이가 자꾸 안절부절해요.”
*객관적 자료
-○5/2 V/S
T
P
R
15시
39.9
123
44
16시
38.3
115
40
-CBC 검사4/30
WBC:12.03
-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며, 땀을 많이 흘림
-아이가 안정적이지 못하며 안전부절 함.
*단기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1.1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2.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갈증, 피부건조)
3.옷을 얇게 입힌다.
4.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5.37.5℃ 이상인 경우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환아의 몸을 닦아준다.
6.땀으로 인해 환아의 의복이 젖은 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7.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8.보호자에게 미온수 맛사지에 대해 교육한다.
1.1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5/2
T
P
R
15시
39.9
123
30
16시
38.3
115
28
17시
37.2
110
28
18시
37.2
112
27
2.땀으로 인해 피부가 축축하였다.
3.환아에게 얇은 티셔츠 하나만 입혔다.
4.실습중 수시로 잠시동안 창문을 열어주워
환기를 시켜 환아의 호흡도 용이하게했다.
5.열이 37.5℃ 이상으로 지속되면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말단부 부터 닦도록 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교육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와 같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아주었다.)
6.환아가 땀으로 인해 의복이 젖을 경우 새옷을 보호자에게 전해주었다.
7.간호사 선생님께서 보호자에게 하루3ℓ정도의 수분을 환아가 섭취하도록 교육하셨다.
*단기
-환아의 체온이
37.5℃ 이하로 감소하였다.
-환아의 안절부절한 행동이 사라졌다.
< 참 고 문 헌 >
검사와 간호편람. 오송자. 청구문화사. 1997.
간호진단과 중재. 이은옥.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성인간호학(下-2). 전시자. 현문사. 2002.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대한간호협회. 현문사. 1998
인체생리학. 소명숙. 고문사. 2001.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Case study - 폐렴
아동 간호학 vase study 폐렴, 탈장
Pneumonia Case Study(소아과 폐렴 사례보고서)
중환자실 폐렴, 협심증 case
[아동간호학] 폐렴case study
아동 폐렴 Case Study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Case study-폐렴
Case 폐렴(bacteria pneumonia)
[Case] Bronchopneumonia (폐렴)
소아과case study-pnuemonia(폐렴)-20쪽
[아동간호학] 폐렴 간호과정 (Pneumonia case study)
성인간호 폐렴(pneumonia)
Aspiration Pneumonia(흡인성폐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