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작가분석
- 작품분석
- 작품분석
본문내용
m his Priest. (257)
정상이란 어린이 눈 속에 나타나는 건강한 웃음입니다. 그건 또한 백만 어른들 속에 도사린 죽음의 시선이기도 합니다. 사람의 목숨을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습니다-마치 신처럼 말입니다. 그건 평범한 것이 미화된 것이고, 또한 치명적으로 만드는 일반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상이란 불가결하게 인간을 살해하는 건강의 신이며, 나는 그 신을 받드는 사제인 것입니다.
이는 소위 우리가 '정상'이라고 믿고 있는 의식 자체가 고질화되고 만연하는 현대의 정신적 병폐가 되었음을 주지시키고자 하는 도전적인 시금석을 제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정상'이 되는 대가로 그 열정이 지닌 긍정적 가치를 잃게 될 것임을 알기 때문에 그의 고통을 제거하기를 주저한다. Dysart는 진정한 열정이 결여된 삶을 살아왔기 때문에 Alan의 독특함을 부러워할지라도 그는 결국 어떤 다른 대응책을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Alan을 두 번 다시 그러한 엑스타시를 체험하지 못할 무감각하고 정상적인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도록 치유하는 의사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 Dysart는 Alan을 치유할 것이지만 그를 바람직한 인성으로 복귀시켰다는 만족할 만한 인식은 갖지 못할 것이다. 이 극은 Dysart가 말과 소년과 자신에 대해 말하면서 그 자신이 대답을 구하기 불가능한 질문 속에 빠졌다고 고백하는 모놀로그로 시작하여, 자신이 말과 같은 노예가 되었다고 느끼는 그의 마지막 모놀로그와 함께 맨 처음 시작했던 곳에서 끝난다. 극 전체를 통해, Dysart는 자신의 삶에 대한 관찰자이며, 그가 Alan의 심리를 탐사해 가는 것은 오로지 그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을 굳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Dysart는 자신의 환자인 Alan이 그러한 야만적인 행동을 하게 된 동기와 열정의 근원을 알아가고자 하지만, Dysart가 관객에게 직접 말하는 양식에서 드러나는 것은 그 자신이야말로 바로 탐구의 대상이라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Equus, Peter Shaffer, 범우 희곡선
현대영미, 유럽극 연구, 이혜경, 동인출판사
The Anger in Equus, Barry B. Whitam, School of Dram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류영균 옮김(서울시립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http://www.drama21c.net/nonmun/amadeus1.htm
정상이란 어린이 눈 속에 나타나는 건강한 웃음입니다. 그건 또한 백만 어른들 속에 도사린 죽음의 시선이기도 합니다. 사람의 목숨을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습니다-마치 신처럼 말입니다. 그건 평범한 것이 미화된 것이고, 또한 치명적으로 만드는 일반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상이란 불가결하게 인간을 살해하는 건강의 신이며, 나는 그 신을 받드는 사제인 것입니다.
이는 소위 우리가 '정상'이라고 믿고 있는 의식 자체가 고질화되고 만연하는 현대의 정신적 병폐가 되었음을 주지시키고자 하는 도전적인 시금석을 제시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정상'이 되는 대가로 그 열정이 지닌 긍정적 가치를 잃게 될 것임을 알기 때문에 그의 고통을 제거하기를 주저한다. Dysart는 진정한 열정이 결여된 삶을 살아왔기 때문에 Alan의 독특함을 부러워할지라도 그는 결국 어떤 다른 대응책을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Alan을 두 번 다시 그러한 엑스타시를 체험하지 못할 무감각하고 정상적인 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도록 치유하는 의사로서의 자신의 역할을 수용할 수밖에 없다. Dysart는 Alan을 치유할 것이지만 그를 바람직한 인성으로 복귀시켰다는 만족할 만한 인식은 갖지 못할 것이다. 이 극은 Dysart가 말과 소년과 자신에 대해 말하면서 그 자신이 대답을 구하기 불가능한 질문 속에 빠졌다고 고백하는 모놀로그로 시작하여, 자신이 말과 같은 노예가 되었다고 느끼는 그의 마지막 모놀로그와 함께 맨 처음 시작했던 곳에서 끝난다. 극 전체를 통해, Dysart는 자신의 삶에 대한 관찰자이며, 그가 Alan의 심리를 탐사해 가는 것은 오로지 그 자신이 생각하는 방식을 굳히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Dysart는 자신의 환자인 Alan이 그러한 야만적인 행동을 하게 된 동기와 열정의 근원을 알아가고자 하지만, Dysart가 관객에게 직접 말하는 양식에서 드러나는 것은 그 자신이야말로 바로 탐구의 대상이라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Equus, Peter Shaffer, 범우 희곡선
현대영미, 유럽극 연구, 이혜경, 동인출판사
The Anger in Equus, Barry B. Whitam, School of Drama,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류영균 옮김(서울시립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http://www.drama21c.net/nonmun/amadeus1.htm
추천자료
[채만식][풍자소설]채만식과 풍자소설(채만식의 소설관과 풍자소설, 채만식의 시대비판과 풍...
[황석영][황석영작품][황석영소설]황석영의 생애와 황석영의 약력 및 황석영의 작품 객지, 황...
고전소설의 미학, 고전소설의 민족미학, 미학적 영웅소설, 미학적 역사소설, 염상섭 소설의 ...
이태준의 (꽃나무는 심어 놓고) (촌띄기) (봄) (농군)의 작품 줄거리와 주인공 성격 비교 분...
귄터 그라스 소설 양철북의 연구, 귄터 그라스 소설 양철북의 이중성과 여성상, 귄터 그라스 ...
[시 거울][이상(시인, 소설가)][작품분석][작품해석]이상(시인, 소설가) 시 거울의 의미, 이...
고전소설(고소설) 춘향전 작품분석, 고전소설(고소설) 심청전 작품분석, 고전소설(고소설) 홍...
귄터 그라스의 글쓰기, 귄터 그라스 역사개념, 귄터 그라스 정체성, 귄터 그라스 여성상, 귄...
엘프리데 옐리넥(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작품활동, 엘프리데 옐리넥(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작...
[이청준 소설][흰옷][잔인한도시][소설]이청준의 글쓰기, 이청준의 소설 당신들의 천국 작품...
헤르만 헤세 소설 수레바퀴 밑에서 작품분석, 헤르만 헤세 소설 싯달타 작품분석, 헤르만 헤...
채만식의 약력, 채만식의 작품활동, 채만식의 소설관, 채만식의 풍자문학, 채만식의 소설 레...
헤르만 헤세 사상과 종교, 헤르만 헤세 작품특징과 작품제목, 헤르만 헤세 소설 데미안 작품...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