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1.용어정의
(1)용어의 개념적 정의
(2)용어의 조작적 정의
2.가설 설정 및 관련 이론 검토
3.측정
(1)독립 변수: 소득수준
(2)종속 변수: 아내 학대
(3)신뢰도와 타당도
4.조사설계
(1)Time Order
(2)Non-spuriousness
5.분석방법
(1)기술 통계
(2)추론 통계
6.표본 추출
7.참고 문헌
1.용어정의
(1)용어의 개념적 정의
(2)용어의 조작적 정의
2.가설 설정 및 관련 이론 검토
3.측정
(1)독립 변수: 소득수준
(2)종속 변수: 아내 학대
(3)신뢰도와 타당도
4.조사설계
(1)Time Order
(2)Non-spuriousness
5.분석방법
(1)기술 통계
(2)추론 통계
6.표본 추출
7.참고 문헌
본문내용
게 발생함을 나타내도록 한다.
0
1이하
1
2
3-5
6-10
11-20
20이상
강한폭력
약한폭력
1년 내의 아내학대의 빈도(번)
여기서, 강한 폭력과 약한 폭력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서 나누기로 한다(신나래, 2004: 재인용).
ㄱ. 심리적 폭력
약한 폭력: a. 모욕적 말이나 행동
b. 고함이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
c. 화가 나서 고함을 세게 지르거나 문을 세게 닫는 행동
d. 아내를 괴롭히는 악의에 찬 말
강한 폭력: a. 뚱뚱하거나 못생겼다거나 하는 외모 무시 발언
b. 아내의 물건을 부수는 행위
c. 아내에게 쓸모 없는 사람이라고 발언
d.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겠다고 위협
ㄴ. 신체적 폭력
약한 폭력: a. 아내에게 물건을 던지는 행위
b. 아내의 신체일부를 비틀거나 머리를 잡아당기는 행위
c. 아내를 미는 행위
d. 아내를 꽉 움켜잡는 행위
e. 아내의 뺨을 때리는 행위
강한 폭력: a. 아내에게 칼이나 총을 사용하는 행위
b. 다치게 할 수 있는 물건으로 아내에게 접촉한 행위
c. 아내의 목을 조르는 행위
d. 아내를 벽쪽으로 세게 밀어붙이는 행위
e.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아내의 몸을 구타하는 행위
f. 아내에게 화상을 입히는 행위
이 기준에 의해 나눈 강한 폭력은 약한 폭력에 비해 2배의 가중치를 두기로 한다.
(3) 신뢰도와 타당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error가 낮은 측정법(Straus(1990)의 CTS(Conflict Tactics Scale)Ⅱ)을 사용하고, 손정영(1997)의 방법(신나래 2004: 재인용)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것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CTS척도는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관리하는 다양한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척도로서 가족의 폭력 또는 구타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신나래, 2004: 재인용).
4. 조사설계
폭력 가정에 대해 개입이나 조작을 가하지 않고 있는 현상만을 관찰하기 때문에 비 실험설계라고 할 수 있다. 비 실험설계의 유형으로 우리는
X O
즉, 단일 집단 사후 검사 설계를 택할 것이다. 독립변수에 따라 대상집단은 달라지지만, 소득 수준으로 일단 독립변수의 카테고리가 정해지면 그 카테고리에서의 폭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상 집단 하나하나로 볼 때, 위와 같은 X O의 설계가 되는 것이다.
비 실험설계의 또 다른 유형인 비동등집단이 포함된 사후검사, 즉
X O
O
이 디자인은 소득 수준을 X로 보는 우리의 경우 적용할 수 없고, 또 다른 비실험설계의 유형인 O1 X O2
즉,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는 이 연구가 cross-sectional 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
이 디자인으로 우리가 조사하려고 하는 가설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에 인과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신하기 위해 몇가지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다. co-variation, time order, non-spurioussness가 그것이다. 비 실험설계인 우리 조사에서는 co-variation은 그다지 의미가 없기
0
1이하
1
2
3-5
6-10
11-20
20이상
강한폭력
약한폭력
1년 내의 아내학대의 빈도(번)
여기서, 강한 폭력과 약한 폭력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서 나누기로 한다(신나래, 2004: 재인용).
ㄱ. 심리적 폭력
약한 폭력: a. 모욕적 말이나 행동
b. 고함이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
c. 화가 나서 고함을 세게 지르거나 문을 세게 닫는 행동
d. 아내를 괴롭히는 악의에 찬 말
강한 폭력: a. 뚱뚱하거나 못생겼다거나 하는 외모 무시 발언
b. 아내의 물건을 부수는 행위
c. 아내에게 쓸모 없는 사람이라고 발언
d. 때리거나 물건을 던지겠다고 위협
ㄴ. 신체적 폭력
약한 폭력: a. 아내에게 물건을 던지는 행위
b. 아내의 신체일부를 비틀거나 머리를 잡아당기는 행위
c. 아내를 미는 행위
d. 아내를 꽉 움켜잡는 행위
e. 아내의 뺨을 때리는 행위
강한 폭력: a. 아내에게 칼이나 총을 사용하는 행위
b. 다치게 할 수 있는 물건으로 아내에게 접촉한 행위
c. 아내의 목을 조르는 행위
d. 아내를 벽쪽으로 세게 밀어붙이는 행위
e.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아내의 몸을 구타하는 행위
f. 아내에게 화상을 입히는 행위
이 기준에 의해 나눈 강한 폭력은 약한 폭력에 비해 2배의 가중치를 두기로 한다.
(3) 신뢰도와 타당도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error가 낮은 측정법(Straus(1990)의 CTS(Conflict Tactics Scale)Ⅱ)을 사용하고, 손정영(1997)의 방법(신나래 2004: 재인용)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것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CTS척도는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의 갈등을 관리하는 다양한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척도로서 가족의 폭력 또는 구타를 측정하는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다(신나래, 2004: 재인용).
4. 조사설계
폭력 가정에 대해 개입이나 조작을 가하지 않고 있는 현상만을 관찰하기 때문에 비 실험설계라고 할 수 있다. 비 실험설계의 유형으로 우리는
X O
즉, 단일 집단 사후 검사 설계를 택할 것이다. 독립변수에 따라 대상집단은 달라지지만, 소득 수준으로 일단 독립변수의 카테고리가 정해지면 그 카테고리에서의 폭력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상 집단 하나하나로 볼 때, 위와 같은 X O의 설계가 되는 것이다.
비 실험설계의 또 다른 유형인 비동등집단이 포함된 사후검사, 즉
X O
O
이 디자인은 소득 수준을 X로 보는 우리의 경우 적용할 수 없고, 또 다른 비실험설계의 유형인 O1 X O2
즉,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는 이 연구가 cross-sectional 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다.
이 디자인으로 우리가 조사하려고 하는 가설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에 인과관계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신하기 위해 몇가지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다. co-variation, time order, non-spurioussness가 그것이다. 비 실험설계인 우리 조사에서는 co-variation은 그다지 의미가 없기
키워드
추천자료
스키너의 조작적조건화이론의 정의와 학교교육의 적용
국세와 지방세 배분의 정의,성격, 세원배분의 개념적 모형, 지방재정력 확충의 필요성, 국세...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개념적 정의
특별행정기관의 개념적 정의와 사례연구
[GLOBE 리더십][GLOBE 리더쉽)][GLOBE 리더십(리더쉽) 개념적 모형]GLOBE의 리더십(리더쉽) ...
행동주의학습이론의 정의와 기본이해, 고전적조건화이론(파블로프) 내용, 도구적조건화이론(...
조작적 정의 대해서
사회복지조사의 기본 개념과 조작적 정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에 대한 조작적 정의
대학생활의 성공에 대한 조작적 정의
사회복지조사에서 조작적 정의가 중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이 ‘장애인의 사회적 기...
[노인 복지론] 노인의 개념 및 노인의 조작적 정의, 노화의 정의와 노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육평가A형 2017년-시간표집법으로 관찰,유아의 다양한 행동들을 유아교육 현장 혹은 생...
집안 식구들의 특이한 행동이나 관찰하기 원하는 특성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