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환자 간호사례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렴 환자 간호사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질병의 정의
질병의 원인
질병의 병태생리
폐렴의 분류
질병의 증상
질병의 진단
질병의 치료
질병의 예방법

III. 연구기간 및 방법

IV. 간호과정
간호사정
개인력
건강력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관별 검진
간호력
신체검진
진단을 위한 검사
치료 및 경과
간호과정 적용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접종은 65세이상, 만성 심질환, 만성 폐질환, 만성 간질환, 알코올 중독, 당뇨, 만성 신부전, 혈액암, 만성 혈액투석 등 폐렴구균이 감염되었을 때 위험도가 증가할 수 있는 경우 시행된다.
독감 예방주사도 매년 1번 가을에 맞는 것이 이차적인 세균성 기관지 합병증 및 폐렴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폐렴 환자는 열이 떨어지고, 흉통 및 호흡곤란의 증상이 좋아질 때까지 안정과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독서나 TV시청 정도는 가능하다. 치료 후에는 가능한 빨리 정상적인 생활을 되찾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Ⅲ. 연구기간 및 방법
2006. 2. 27 ~ 3. 3까지 본 학생은 K병원 소아과병동에 입원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와 보호자의 면담, 신체검진과 문진, 환자의 Chart, 환자와 관련된 의료요원과의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IV. 간호과정
▶간호사정(Nursing Assessment)
개인력
만3세 6개월의 김OO 환아는 쌍둥이 자매의 동생이며 쌍둥이 언니와 함께 입원하였다. 안산에 위치한 아파트에서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종교는 무교이며, 제왕절개로 태어났으며 출생시 체중은 2.75였으며, 성격은 조용한 편하고 겁이 많은 편이다.
□――――○ □――――○
□――――――――○
―――――
-가계도- ○ ○(pt)
건강력
○ 현병력
본 환아는 일주일 전부터 기침, 열, 가래, 콧물있어 local 소아과 갔으나 증상의 호전이 없어 외래 통해 입원하였으며 주증상은 기침, 가래. 열, 콧물이다.
○ 과거력: 없음
○ 가족력: 없음
○ 각 기관별 문진
-호흡기 장애: 기침, 객담, 콧물
-소화기 장애: 없음
-순환기 장애: 없음
-동통: 없음
-부종: 없음
-피부상태: 정상
-치아상태: 양호
-시력장애: 없음
-배설장애: 없음
-의식상태 : 명료
-의사소통 : 원만함
-정서상태 : 안정
-활동상태 : 자유로움
-예방접종 : 접종완료
-성장상태 : 정상범위
-발달상태 : 정상범위
간호력
김OO 환아는 쌍둥이 자매로 두 명 다 폐렴으로 입원하였고, 간호는 주로 어머니가 하고 계셨다. 김OO환아도 의사소통은 가능하나 정보제공은 보호자이신 어머니께 주로 제공받았다. 자매는 사이가 좋아보였으며. 같은 병동에서 침상을 붙여서 옆에서 같이 생활하였다.
예방접종은 완료된 상태였고 알레르기도 없었다. 낮잠은 가끔 2시간 정도 자며, 밤에 기침으로 인해 잘 못 잘 때도 있다고 하였다. TV로 만화를 보는 것을 좋아하였다. 일반식이를 먹고 있었는데 밥을 잘 먹지 않으려도 한다고 하였다. 주사 맞는 것을 매우 싫어하여 본 학생이 다가가기만 해도 주사 놓는 줄 알고 매우 싫어하였다. 같이 입원하였지만 쌍둥이 언니가 3월 1일에 증상이 호전되어 먼저 퇴원하여 자신도 집에 가고 싶다고 호소하였다.
신체검진
-체중: 14.3kg
-키: 97.2cm
-활력증상: 체온: 39.1℃, 맥박: 132회/min, 호흡: 28회/min
진단을 위한 검사
■ 응급검사실 검사
검사명
결과
단위
+/-
Max
Min
의미
Hb
10.8
g/dl
▼0.2
14
11
감소시 빈혈
Hct
30.5
%
▼1.5
42
32
감소시 빈혈
WBCcount

33.87
x10³/μL
▲16.37
17.5
6
증가시 감염
WBC Diff◇Lymp%
-응급-
21
%
▼9
69
30
WBC Diff◇Mono%
-응급-
3
%
▼1
12
4
1) Platelet는 혈액 1㎣안에 있는 혈소판의 수로, 혈액응고에 관여한다.
PLT count
947
x10³/μL
▲547
400
150
Mean Platelet Volume은 평균 혈소판 용적을 의미한다.
MPV
6.0
fL
▼2
10
8
증감시 : 골수이상, 혈소판이상, 비장이상
검사명
결과
단위
+/-
Max
Min
실시일자
Hb
10.5
g/dl
▼0.5
14
11
06.02.27
Hct
30.3
%
▼1.7
42
32
06.02.27
RBC Count -응급-
3.83
x10³/μL
▼0.07
5.3
3.9
06.02.27
WBC count -응급-

29.82
x10³/μL
▲12.32
17.5
6
06.02.27
WBC Diff◇Lymp%
-응급-
12
%
▼18
69
30
06.02.27
MPV
6.2
fL
▼1.8
10
8
06.02.27
PLT count
856
x10³/μL
▲456
400
150
02.27
■ 일반진단혈액
■ 일반면역혈청
검사명
결과
단위
+/-
Max
Min
실시일자
C-반응단백. 다양한 급성 염증과 괴사시 혈청에서 검출된다.
CRP(HS)
13.5
mg/dL
▲12.75
0.744
0
06.02.27
CRP(HS)
13.3
mg/dL
▲12.55
0.744
0
06.03.02
■ 임상미생물 Culture (소화기)
실시일자: 2006년 2월 27일
Nonpathogenic, bacteria isolated.
■ Chest 단순촬영
실시일자: 2006년 3월 1일
Much improvement of pneumonia in lingular segment
■ Brain & Neck 단순촬영
실시일자: 2006년 3월 2일
PNS( WATER\'s)
Increased opacity of both maxillary sinusitis
치료 및 경과
○식이요법: 일반식
○약물투여
약명
효능
부작용
금기
용법
SD1:4 1L/BAG
(중외)
수액.
체액 전해질 보충제 탈수증 및 수술 전후의 수분 및 전해질 공급
급속투여시 뇌부종, 폐수종, 말초부종
주의 : 신부전, 심부전, 폐색성 요로질환, 당뇨병 환자
1회 500-1000 mL IV Infusion,
AMPIBACTAM 750MG (건일)
주사약.
항생제.
유효균종: 황색포도구균, 표피포도구균, 폐렴연쇄구균, 스트렙토콕쿠스 비리단스, 인플루엔자균
빈혈, 혈소판 감소, 구토, 복부팽만, 설사, 위염, 빌리루빈혈증
페니실링계 항생물질에 과민한 환자,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4.26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