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그리스의 교육사상
1.1. 도시국가의 교육
2. 로마시대의 교육사상
3.고대의 교육사상가
3.1.소크라테스
3.2.플라톤
3.3.아리스토텔레스
1.1. 도시국가의 교육
2. 로마시대의 교육사상
3.고대의 교육사상가
3.1.소크라테스
3.2.플라톤
3.3.아리스토텔레스
본문내용
영혼은 다시 비이성적인 부분(욕망)과 이성적인 부분(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로 신체적인 측면의 성장이 먼저 이루어지고, 다음에 영혼의 성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영혼은 비이성적 부분의 성장이 이성적 부분의 성장보다 앞선다.
- 따라서 교육은 크게 신체의 교육, 인격의 교육(욕망훈련), 지력의 교육으로 나뉘어지며, 그 순서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신체교육 : 체력훈련과 군사훈련. 체력훈련은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게 하며, 군사훈련은 궁술, 창술, 검술 그리고 간단한 전투 동작에 숙련되도록 해야 한다.
- 인격교육 : 습관을 형성시켜 주는 교육. 욕망훈련. 욕망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플라톤은 이성은 선하고, 욕망은 악한 것이라고 봄). 그것은 전적으로 습관의 훈련에 따라 달라진다. 즉, 교육에 따라 달라진다. 습관의 훈련 방법은 음악에서 찾을 수 있다. 음악은 궁극적으로 정신의 도야를 위한 것이다. \"고상한 것을 사랑하고 비천한 것을 증오하는 마음을 기르는 데에는 고상한 음악의 선율에 맞게 조율하는 것 이상으로 더 좋은 방법은 없다 … 우리는 음악을 들을 때 영혼이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만일 음악이 이러한 힘을 가지고 있다면 젊은이들을 교육하는 데에 음악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 지력교육 :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비추어 추정해 보면, 수학, 문학, 천문학, 음악, 문법, 시, 수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을 학습하고, 더 성장하면 과학(물리학, 우주론, 생물학, 심리학)과 철학(논리학, 형이상학, 변증법) 등을 학습해야 할 것으로 보임
- 주로 신체적인 측면의 성장이 먼저 이루어지고, 다음에 영혼의 성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영혼은 비이성적 부분의 성장이 이성적 부분의 성장보다 앞선다.
- 따라서 교육은 크게 신체의 교육, 인격의 교육(욕망훈련), 지력의 교육으로 나뉘어지며, 그 순서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신체교육 : 체력훈련과 군사훈련. 체력훈련은 좋은 신체적 조건을 갖추게 하며, 군사훈련은 궁술, 창술, 검술 그리고 간단한 전투 동작에 숙련되도록 해야 한다.
- 인격교육 : 습관을 형성시켜 주는 교육. 욕망훈련. 욕망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플라톤은 이성은 선하고, 욕망은 악한 것이라고 봄). 그것은 전적으로 습관의 훈련에 따라 달라진다. 즉, 교육에 따라 달라진다. 습관의 훈련 방법은 음악에서 찾을 수 있다. 음악은 궁극적으로 정신의 도야를 위한 것이다. \"고상한 것을 사랑하고 비천한 것을 증오하는 마음을 기르는 데에는 고상한 음악의 선율에 맞게 조율하는 것 이상으로 더 좋은 방법은 없다 … 우리는 음악을 들을 때 영혼이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 만일 음악이 이러한 힘을 가지고 있다면 젊은이들을 교육하는 데에 음악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 지력교육 :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비추어 추정해 보면, 수학, 문학, 천문학, 음악, 문법, 시, 수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을 학습하고, 더 성장하면 과학(물리학, 우주론, 생물학, 심리학)과 철학(논리학, 형이상학, 변증법) 등을 학습해야 할 것으로 보임
추천자료
동학의 교육사상
도산 안창호 선생의 교육사상과 현 교육과의 비교 고찰
프뢰벨의 교육사상 프뢰벨 교육사상의 성립배경 프뢰벨의 교육목표 프뢰벨의 교육방법 프뢰벨...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인간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에 대한 해석과 고찰
Rousseau의 유아교육사상 (Emile을 중심으로)
도산 안창호의 교육사상이 현대교육에 주는 실천적 의미 연구
불교교육사상과 현대적 의의
교육사상 플라톤
교육사상가 피바디 생애와 업적
이황의 교육사상
프뢰벨 교육사상과 접근법
17C 실학주의와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의 현대적 적용 (실학주의 등장배경·특징·유형, 감각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