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의 목적, 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였을 때의 조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였을 때의 조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심폐소생술
1. 심폐소생물의 목적
2.심정지가 의심되는 환자를 발견하였을 때의 조치
3. 기본심폐소생술
(1)기도유지
▣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는 방법
▣ 이물질에 의한 기도폐쇄이 응급치료
▣ 기도폐쇄환자에서의 응급조치 방법
① 구강내 이물의 제거
②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
▣기도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의 응급조치 순서
(2) 인공호흡
① 구강대 구강법(mouth to mouth)
② 구강대 비강법(mouch to noise)
(3)흉부압박에 의한 인공순환

본문내용

을 연 다음, 공기가 새지 않도록 구조자의 입을 환자의 입에 완전히 밀착 시킨후 서서히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이다. 인공호흡중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지를 확인하고 공기를 불어넣은 후에는 환자의 입에서 구조자의 입을 떼고 막았던 코를 놓아주어 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호기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환자의 코와 입 사이에 구조자의 귀를 댄 후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② 구강대 비강법(mouch to noise)
구강대 비강법은 한손으로 환자의 턱을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환자의 입이 열리지 않도록 막는다. 숨을 깊이 들이쉰 후 구조자의 입으로 환자의 코주위를 둘러싸고 구조자의 호기를 환자의 코로 불어넣는다. 인공호흡 후에는 환자의 입을 열어주어 호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3)흉부압박에 의한 인공순환
심정지 환자에서 인공순환의 목적은 적절한 뇌혈류 및 관상 동맥 혈류를 유지하는 것이다. 뇌혈류의 유지는 심정지 환자의 소생 및 뇌손상의 정도를 결정하게 되며, 관상동맥 혈류량 은 심박동의 회복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흉부압박법은 흉곽을 절개하지 않고 흉골의 아래쪽을 적절한 강도로 반복적으로 압박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유발하는 방법이다. 환자를 앙아위로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9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