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호흡,소화,순환기계 용어 정리 -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호흡,소화,순환기계 용어 정리 -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호흡기계

소화기계

순환기계

본문내용

호흡기계
IgA(immunoglobulin A)
IgA는 면역글로불린의 일종으로 타액, 상기도분비액, 장관이나 요에도 존재하고 이들 점액중의 IgA는 분비항체로서 점막면에서의 감염방어에 관여한다.
유스타키오관
(eustachian tube)
인두와 중이를 연결하며 중이의 압력을 외이와 같게 조절하는 관으로 연골 부위와 골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중이의 환기를 담당하고, 중이의 압력이 외이의 압력과 같게 조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중이의 앞쪽에서 아래쪽, 안쪽으로 향하는 관으로, 인두의 위쪽, 바깥쪽으로 연결된다.
우발음(Adventitious(Added) Sound)
호흡 시 부잡음으로 정상적인 호흡음에서 벗어난 잡음.
복와위(복위,prone position,
face-down position)
흉복부를 밑으로 하고, 하지를 좌우로 약간 벌려서 펴고, 제1지를 내측으로 향하며, 얼굴을 옆으로 향하고, 상지는 가법게 얼굴의 옆으로 굽히거나 몸측으로 자연스럽게 편 체위. 이 체위는 복부의 상처, 배부 수술의 경우에 이용된다. 흉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복부에 작은 베개를 넣고 첨족예방을 위해서 하퇴를 베개나 방석으로 받친다.
반좌위(Fowler’s position,
semi-sitting position)
앙와위에서 상반신을 45도로 일으킨 체위이다. 신체의 회복과정에서 와위에서 좌위를 취하게 할 때, 식사시, 체위를 바꾸어 휴식을 취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심장병환자가 즐겨 취하는 자세이다. 그외에 복강천자나 흉강 천자등의 처치의 경우에 행한다.
Semi-Fowler’s position
이 체위는 침대 머리를 30도 가량 높이는 체위로, 심장 질환이나 흉곽수술 후 머리나 가슴을 높여야 하는 환자에게 적용한다.
High-Fowler’s position
바로 앉은 자세와 비슷하게 침대 머리를 90도로 높인 체위로, 폐확장을 더 용이하게 하므로 호흡장애가 있어 좌위호흡을 하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체위이다.
배횡와위(dorsal recumbent position)
이 체위는 침상에 등을 대고 누워서 양팔을 머리위로 올리고 다리를 약간 벌려 발바닥이 침상에 놓여지게 무릎을 구부린 자세로 절석위의 변형이다.
측위(측와위,
lateral position)
이 체위는 옆으로 누워서 양팔을 앞으로 하고 무릎과 둔부를 굴곡시킨 자세이며 위쪽의 다리를 아래쪽보다 더 많이 굴곡시킨다.
반복위(Sim\'s position)
측위와 유사하나 체공이 어깨와 장공 앞쪽으로 가게 된다. 아래쪽 팔은 뒤로 가고 위쪽 앞은 앞으로 오며 어깨와 팔꿈치가 약간 굽혀지며 아래쪽 다리도 약간 굽힌다.
슬흉위
(Knee-chest position)
골반부위의 압박을 덜고 골반 장기를 이완시키는 자세이다. 무릎을 꿇은 자세로 대퇴는 다리와 직각이 되게 하고 둔부를 올리고 머리와 가슴 윗부분을 침상에 대고 팔은 앞으로 펴서 팔꿈치를 굽힌다.
절석위(lithotomy position)
비뇨기나 생식기의 검사와 수술시에 이용. 똑바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1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