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유사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난 단군왕검 이야기가 쓰여있다. 후에 단군왕검이 왕위에 오른 뒤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조선이라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또한 연나라 사람 위만이 준왕을 배반하고 나라를 빼앗아 조선을 지배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는데, 이 위만조선은 한나라(중국)에 대항하였지만, 결국한나라는 조선을 평정했다고 한다. 위만 조선이 멸망한 후 조선의 유민들은 각각 ‘나라’로 불리는 70여 개의 작은 읍으로 나누어졌는데 서쪽의 마한이54개의 읍을 차지하여 가장 컸고, 동쪽의 진한이 12개 읍을 , 남쪽에는 변한이 역시 12개의 읍을 차지하고 있었다. 후에 마한은 고구려로, 진한은 신라로, 변한은 백제로 발전하게 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이야기는 해모수가 하늘에서 내려와서 도읍을 정하여 국호를 북부여라 하고 스스로 이름을 해모수라 일컬었다. 해모수 왕이 아들을 낳아 이름을 해부루라 했다. 이 해부루가 아들을 얻지 못하자, 제사를 올려 간절히 빌었다. 그런데 왕이 탄 말이 곤연이라는 큰 못 앞에 이르자 커다란 돌을 마주보고 뚝뚝 눈물을 흘리는 것이었다. 그 돌 아래를 보니, 개구리처럼 생긴 사내아이가 있었다. 이름을 금와라 칭하고 뒤에 왕위를 계승하였다. 후에는 금와왕의 태자 대소가 뒤를 이었으나 고구려의 무휼 왕이 쳐들어와 대소 왕을 죽이고 동부여를 정복했다.
북부여가 천제의 명령으로 동쪽으로 옮겨간 뒤 꿈의 계시대로 요동 땅 졸본주에서 즉 고구려가 일어났던 얘기도 전해지는데, 이 나라를 세운 건설 과정과, 주몽이 알에서 태어났다는 것, 주몽의 이름이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는 데서 왔으며, 부여의 일곱 왕자들의 추격 때 강물 속에서 물고기와 자라들이 다리를 만들어 주었다는 얘기도 함께 전해진다.
이어서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에 대하여 쓰여져 있었다. 박혁거세 역시 알에서 태어났으며, 처음 입을 열어 스스로를 알지거서간이라 했다하여, 그때부터 임금의 존칭을 \"거실한\" 혹은 \"거서간\"이라 하게 되었다한다. 우물에서 나왔다는 알영의 설화도 전해진다. 용왕의 아들인 탈해왕이 계략으로 호공의 집을 빼앗았다는 이야기와, 신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의 성은 금 궤짝에서 나왔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쓰여있다. 곧 신라의 김씨는 알지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두 번째는 고대국가의 흥망과, 그에 얽힌 설화와 임금들의 신기한 이야기로 쓰여있다. 처음에 죽어서도 나라를 지킨 신라의 호국 신으로 유명한 미추 왕에 대한 2가지 설화가 나와있다. 대나무 군사로 나라를 지키고, 김유신의 노여움을 막아 호국한 이야기이다. 또한 일본의 왕이 된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와 내물왕의 넷째 왕자 미해와 내물왕의 아우 보해 왕자를 목숨 걸고 구하고, 왜왕에게 끝까지 굴복하지 않은 김제상의 이야기와 그가 내물왕에게 한 말(죽고 사는 것을 따져 행한다면 용기가 없음이라)도 전한다. 또 “거문고 집을 쏘아라” 라는 말의 유래도 전한다. 진지왕이 죽어서 도화랑과 관계를 가져 생긴 귀신의 아들 비형랑에 대한 이야기와 귀신들이 비형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무서워 했다하여 문 앞에 써붙여 귀신을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5.1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0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