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1. 향가의 개념과 명칭 1
1) 향가의 개념 1
2) 명칭과 명칭문제 1
Ⅱ. 본론 2
1. 작품별 분석 2
1)서동요 (薯童謠) 2
2)혜성가 (彗星歌) 3
3)풍요 (風謠) 4
4)원왕생가 (願往生歌) 5
5)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6
6)헌화가 (獻花歌) 8
7)원가 (怨歌) 9
8)도솔가 (兜率歌) 10
9)제망매가 (祭亡妹歌) 11
10)안민가 (安民歌) 12
11)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14
12)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14
13)우적가 (遇賊歌) 15
14)처용가 (處容歌) 16
2. 향가의 작가 문제 18
1) 작가가 설화적 인물이라는 설 19
2) 원문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이설 19
3) 다른 역사적 실재인물이 원작자라는 설 20
Ⅲ. 결론 21
《 참 고 문 헌 》 22
1. 향가의 개념과 명칭 1
1) 향가의 개념 1
2) 명칭과 명칭문제 1
Ⅱ. 본론 2
1. 작품별 분석 2
1)서동요 (薯童謠) 2
2)혜성가 (彗星歌) 3
3)풍요 (風謠) 4
4)원왕생가 (願往生歌) 5
5)모죽지랑가 (慕竹旨郞歌) 6
6)헌화가 (獻花歌) 8
7)원가 (怨歌) 9
8)도솔가 (兜率歌) 10
9)제망매가 (祭亡妹歌) 11
10)안민가 (安民歌) 12
11)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14
12)도천수관음가 (禱千手觀音歌) 14
13)우적가 (遇賊歌) 15
14)처용가 (處容歌) 16
2. 향가의 작가 문제 18
1) 작가가 설화적 인물이라는 설 19
2) 원문해석의 차이에서 비롯된 이설 19
3) 다른 역사적 실재인물이 원작자라는 설 20
Ⅲ. 결론 21
《 참 고 문 헌 》 22
본문내용
Ⅰ. 서론
1. 향가의 개념과 명칭
1) 향가의 개념
향가란 신라시대의 가악에서 불리어진 우리말 노래와 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기록된 우리말 노래를 통칭한다. 그런데, 예창해는 향가를 “우리말 창작시가 즉 우리말 노래 가운데에서 창작시가에 한정된 것”으로 규정하였고, 조동일은 “향가가 될 수 있는 두 가지 기본요건이 기록과 창작이라”하였으며, 김학성은 “신라 초부터 고려 전기까지 특정 개인에 의해 우리말로 창출된 서정지향 노래(가악)의 총칭”이라 정의하고 있다. 향가는 광의로는 중국시가에 대한 우리의 시가이고, 협의로는 향찰로 표기 또는 표현된 신라 시대로부터 고려중엽까지의 우리말 시가의 장르를 말한다.
이 세 견해를 종합하면, 향가란 신라 초기부터 고려 전기까지 개인에 의하여 우리말과 글로 ‘창작’된 서정 지향적인 노래에 한정된다. 따라서 향찰로 표기되어 있더라도 당시의 구비문학인 민요나 제신가는 향가의 범주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이 된다.
향가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향가’라는 단어에 대해 검토해보도록 하자. 예를 들어 ‘향비파 - 우리 나라의 비파, ‘향인 - 우리 나라의 사람, ‘향악 - 우리 나라의 악, ‘향언 - 우리 나라의 말, 향기 - 우리 나라의 기록’ 등에서 보듯이 ‘향’자는 당시 중국에 대한 대칭으로써, ‘우리’또는 ‘우리 나라’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점을 고려한다면 ‘향가’란 중국시가에 대한 대칭으로써 ‘우리 나라의 노래’ 즉 우리말로 된 노래를 지칭한 것이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보아 향가란 중국 시가에 대한 대칭으로써 신라 초기 부터 고려 전기까지 우리의 말과 글(향찰)로 창출된 모든 노래를 이르는 시가의 장르를 말하는 것이다.
2) 명칭과 명칭문제
향가라는 명칭에 있어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가 <사뇌가>라는 명칭과의 관계이다. 즉 향가와 사뇌가가 동의어인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문제이다. 우선 사뇌가와 향가를 동의어로 보는 견해에는 양주동이 대표적이다. 양주동은 사뇌를 사ㅣ,
1. 향가의 개념과 명칭
1) 향가의 개념
향가란 신라시대의 가악에서 불리어진 우리말 노래와 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기록된 우리말 노래를 통칭한다. 그런데, 예창해는 향가를 “우리말 창작시가 즉 우리말 노래 가운데에서 창작시가에 한정된 것”으로 규정하였고, 조동일은 “향가가 될 수 있는 두 가지 기본요건이 기록과 창작이라”하였으며, 김학성은 “신라 초부터 고려 전기까지 특정 개인에 의해 우리말로 창출된 서정지향 노래(가악)의 총칭”이라 정의하고 있다. 향가는 광의로는 중국시가에 대한 우리의 시가이고, 협의로는 향찰로 표기 또는 표현된 신라 시대로부터 고려중엽까지의 우리말 시가의 장르를 말한다.
이 세 견해를 종합하면, 향가란 신라 초기부터 고려 전기까지 개인에 의하여 우리말과 글로 ‘창작’된 서정 지향적인 노래에 한정된다. 따라서 향찰로 표기되어 있더라도 당시의 구비문학인 민요나 제신가는 향가의 범주에 들어갈 수 없는 것이 된다.
향가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향가’라는 단어에 대해 검토해보도록 하자. 예를 들어 ‘향비파 - 우리 나라의 비파, ‘향인 - 우리 나라의 사람, ‘향악 - 우리 나라의 악, ‘향언 - 우리 나라의 말, 향기 - 우리 나라의 기록’ 등에서 보듯이 ‘향’자는 당시 중국에 대한 대칭으로써, ‘우리’또는 ‘우리 나라’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점을 고려한다면 ‘향가’란 중국시가에 대한 대칭으로써 ‘우리 나라의 노래’ 즉 우리말로 된 노래를 지칭한 것이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 보아 향가란 중국 시가에 대한 대칭으로써 신라 초기 부터 고려 전기까지 우리의 말과 글(향찰)로 창출된 모든 노래를 이르는 시가의 장르를 말하는 것이다.
2) 명칭과 명칭문제
향가라는 명칭에 있어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가 <사뇌가>라는 명칭과의 관계이다. 즉 향가와 사뇌가가 동의어인가, 그렇지 않은가 하는 문제이다. 우선 사뇌가와 향가를 동의어로 보는 견해에는 양주동이 대표적이다. 양주동은 사뇌를 사ㅣ,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