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우리 나라의 화폐시장
1. 콜시장
2. 재정증권시장
3. 통안증권시장
4. 기업어음시장
5. 조건부채권매매시장
6. 양도성예금증서시장
7. 은행인수어음시장
8. 상업어음일반매출시장
9. 무역어음시장
Ⅲ. 결 론
※ 참고문헌
Ⅱ. 우리 나라의 화폐시장
1. 콜시장
2. 재정증권시장
3. 통안증권시장
4. 기업어음시장
5. 조건부채권매매시장
6. 양도성예금증서시장
7. 은행인수어음시장
8. 상업어음일반매출시장
9. 무역어음시장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한편, 통안증권은 대부분 인수매출방식으로 발행되어 왔는데, 금융기관별 인수실적을 보면 1990년 이후 은행의 비중이 높아지고 투산사, 증권사 및 보험사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4. 기업어음시장
기업어음은 상업어음과는 달리 상거래와 관계없이 신용상태가 양호한 기업이 단기자금을 조달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융통어음이다. 우리나라의 기업어음시장은 사금융거래를 제도금융권으로 흡수하고 기업에 대한 단기자금의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1972년 8월 단기금융업법이 제정됨으로써 그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동 법에 의거 1993년 말 현재 서울소재 8개사, 지방소재 16개사를 합하여 모두 24개 투자금융회사가 설립되어 단기금융업무를 영위하고 있으며, 1975년에 제정된 종합금융회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설립된 6개의 종합금융회사도 제한된 범위내에서 단기금융업무를 취급하고 있다.
한편 1981년 6월에는 어음거래를 확충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업어음 이외에 CP제도를 도입하였고, 1988년 12월에 금리자유화조치에 의거 기업어음과 CP를 통합하여 기업어음시장을 단일화하였다. 정부는 또한 1991년 8월에 전문중개기관으로서 투자금융회사의 역할을 제고 하기 위해 순수한 기업어음 중개업무를 허용하였다.
우리 나라의 기업어음시장에서 거래되는 어음의 종류에는 담보부 및 무담보부 기업어음과 단순중개어음이 있는데, 어음종류별 발행방법 및 조건을 비교하면 <표1>과 같다.
<표1> 어음종류별 발행조건 (1993년 말)
담보부기업어음
무담보부기업어음
단순중개어음
발행업체
할인회사가 자사의 심사기준에 의하여 선정한 적격업체
신용평가회사로부터 B급 이상의 판정을 받은 적격업체
발행방법
취급기관이 할인매입 후 매출
발행자와 투자자를 연결하여 중개
액면금액
500만원 이상(지방투금사는 100만원)
5천만원 이상
어음기간
180일 이내
60일 이상 180일 이내
담보여부
담보배서
무담보배서
무담보배서
금리(연,%)
할인
자유화
-
매출
1.5~7.0
4.5~9.0(단, 거액기업어음은 자유화)
중개수수료
-
액면금액의 0.5% 이내에서 매도인과 매수인으로부터 균분징구(徵求)
5. 조건부채권매매시장
조건부채권이란 최초의 매도자가 일정한 기간 후에 일정한 가격으로 동일채권을 다시 매수(매도)할 것을 조건으로 채권을 매도(매수)하는 것이다.
환매조건부채권매도(RP:repurchase agreements)는 증권의 일시적 매도자의 입장에서는 자금조달을 의미하며, 증권의 일시적 매수자에게는 이자를 얻는 투자를 의미한다.
전매조건부채권매수는 RP와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거래로서 역 RP(reverse RP)라고 하는데, 미국의 은행들은 증권을 재매도하는 조건으로 딜러의 증권을 매수함으로써 딜러에게 자금을 공급하고 이자수입을 얻는다.
이와 같이 조건부채권 매매 거래는 단기자금의 수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채권의 유동성을 높여 채권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조건부채권매매업무는 1976년 말 개정된 증권거래법에 의거 1977년 2월 한국증권금융(주)가 증권회사를 상대로 처음 실시하였다.
한편 증권회사는 1976년 이후 회사채발행규모가 확대되면서 회사채인수에 따른 자금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1978년 초부터 대형증권회사를 중심으로 동 업무를 취급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환매채의 거래규모가 점차 커지자 1980년 2월 증권관리위원회에 의해 제정된 환매조건부 채권매매업무규정에 의거 제도화되었다. 이어 1982년 11월부터는 국공채의 소화를 촉진하고 은행의 수익기반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은행금융기관에 대하여도 환매조건부 채권매도업무에 한해 동 업무가 허용되었고, 1983년 3월부터는 체신관서에게도 조건부매도업무가 허용되었다.
한편 한국은행은 은행의 지급준비금을 조절하기 위하여 환매조건부로 국공채를 매도할 수 있는데, 이때 담보물이 되는 증권은 주로 국채, 정부보증채권 및 통화안정증권이다.
각 금융기관별로 조건부채권매매업무의 취급내용을 비교하면 다음 <표2>와 같다.
<표2> 기관별 환매채업무 취급내용(1993년 말)
증권금융(주)
증권회사
은행
체신관서
취급시기
1977.2
1980.2 (거액 RP는 1988년 12월)
1982.9 (거액 RP는 1988년 12월)
1983.3
업무내용
매도 및 매수
매도 및 매수
매도
매도
대상증권
국채,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발행채권, 상장법인 및 등록법인 발행 회사채(전환사채 제외)
좌 동
국채,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발행채권
국채,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발행채권
거래상대방
ㆍ매수상대방: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특수법인, 증권관계기관, 은행, 단자사, 종금사, 보험사 등
ㆍ매도상대방: 매수상대바, 기타의 법인, 개인, 우리사주조합
ㆍ매수상대방: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특수법인, 증권관계기관, 은행, 단자사, 종금사, 보험사 등
ㆍ매도상대방: 제한없음
ㆍ매도상대방: 제한없음
ㆍ매도상대방: 제한없음
취급한도
ㆍ매도한도: 매수잔액+자기자본
ㆍ매수한도: 제한없음
ㆍ매도한도: 증권사 자기자본의 4배
ㆍ매수한도: 전월의일평균 매도 잔액의 1/2
ㆍ매도한도: 자기자본(단, 국민은행은 순자산액의 3배, 농협은 1.5배)
ㆍ매도한도: 제한없음
거래기간
1년 이내
좌 동(거액 RP는 91일 이상)
91일~1년 이내(거액 RP는 91일 이상)
91일 이내
최저거래액
10만원
좌 동(거액 RP는 3천만원)
좌 동(거액 RP는 3천만원)
5만원
환매수준비
준비의무 없음
[매도잔액 (대 증권금융(주) 매도분 제외)-매수잔액]의 4.5%해당액을 증권금융(주)예치
준비의무 없음
준비의무 없음
한국증권금융(주)와 증권회사는 조건부채권매도 및 매수업무를 모두 취급하고 있지만, 은행과 체신관서는 매도업무만을 취급할 수 있다. 증권금융(주)와 증권회사의 매수상대방은 제한되어 있으나 모든 기관의 매도상대방은 제한이 없다. 각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대상증권과 매도잔액 및 매수잔액에 대하여는 취급기관별 또는 자본금 규모별로 차등을 두고 있으며, 거래기간은 체신관서를 제외하고는 1년 이내이고, 최저거래액 역시 체신관서 이외에는 10마
한편, 통안증권은 대부분 인수매출방식으로 발행되어 왔는데, 금융기관별 인수실적을 보면 1990년 이후 은행의 비중이 높아지고 투산사, 증권사 및 보험사의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4. 기업어음시장
기업어음은 상업어음과는 달리 상거래와 관계없이 신용상태가 양호한 기업이 단기자금을 조달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융통어음이다. 우리나라의 기업어음시장은 사금융거래를 제도금융권으로 흡수하고 기업에 대한 단기자금의 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1972년 8월 단기금융업법이 제정됨으로써 그 제도적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동 법에 의거 1993년 말 현재 서울소재 8개사, 지방소재 16개사를 합하여 모두 24개 투자금융회사가 설립되어 단기금융업무를 영위하고 있으며, 1975년에 제정된 종합금융회사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설립된 6개의 종합금융회사도 제한된 범위내에서 단기금융업무를 취급하고 있다.
한편 1981년 6월에는 어음거래를 확충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업어음 이외에 CP제도를 도입하였고, 1988년 12월에 금리자유화조치에 의거 기업어음과 CP를 통합하여 기업어음시장을 단일화하였다. 정부는 또한 1991년 8월에 전문중개기관으로서 투자금융회사의 역할을 제고 하기 위해 순수한 기업어음 중개업무를 허용하였다.
우리 나라의 기업어음시장에서 거래되는 어음의 종류에는 담보부 및 무담보부 기업어음과 단순중개어음이 있는데, 어음종류별 발행방법 및 조건을 비교하면 <표1>과 같다.
<표1> 어음종류별 발행조건 (1993년 말)
담보부기업어음
무담보부기업어음
단순중개어음
발행업체
할인회사가 자사의 심사기준에 의하여 선정한 적격업체
신용평가회사로부터 B급 이상의 판정을 받은 적격업체
발행방법
취급기관이 할인매입 후 매출
발행자와 투자자를 연결하여 중개
액면금액
500만원 이상(지방투금사는 100만원)
5천만원 이상
어음기간
180일 이내
60일 이상 180일 이내
담보여부
담보배서
무담보배서
무담보배서
금리(연,%)
할인
자유화
-
매출
1.5~7.0
4.5~9.0(단, 거액기업어음은 자유화)
중개수수료
-
액면금액의 0.5% 이내에서 매도인과 매수인으로부터 균분징구(徵求)
5. 조건부채권매매시장
조건부채권이란 최초의 매도자가 일정한 기간 후에 일정한 가격으로 동일채권을 다시 매수(매도)할 것을 조건으로 채권을 매도(매수)하는 것이다.
환매조건부채권매도(RP:repurchase agreements)는 증권의 일시적 매도자의 입장에서는 자금조달을 의미하며, 증권의 일시적 매수자에게는 이자를 얻는 투자를 의미한다.
전매조건부채권매수는 RP와 반대방향으로 일어나는 거래로서 역 RP(reverse RP)라고 하는데, 미국의 은행들은 증권을 재매도하는 조건으로 딜러의 증권을 매수함으로써 딜러에게 자금을 공급하고 이자수입을 얻는다.
이와 같이 조건부채권 매매 거래는 단기자금의 수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채권의 유동성을 높여 채권의 소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조건부채권매매업무는 1976년 말 개정된 증권거래법에 의거 1977년 2월 한국증권금융(주)가 증권회사를 상대로 처음 실시하였다.
한편 증권회사는 1976년 이후 회사채발행규모가 확대되면서 회사채인수에 따른 자금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1978년 초부터 대형증권회사를 중심으로 동 업무를 취급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환매채의 거래규모가 점차 커지자 1980년 2월 증권관리위원회에 의해 제정된 환매조건부 채권매매업무규정에 의거 제도화되었다. 이어 1982년 11월부터는 국공채의 소화를 촉진하고 은행의 수익기반을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은행금융기관에 대하여도 환매조건부 채권매도업무에 한해 동 업무가 허용되었고, 1983년 3월부터는 체신관서에게도 조건부매도업무가 허용되었다.
한편 한국은행은 은행의 지급준비금을 조절하기 위하여 환매조건부로 국공채를 매도할 수 있는데, 이때 담보물이 되는 증권은 주로 국채, 정부보증채권 및 통화안정증권이다.
각 금융기관별로 조건부채권매매업무의 취급내용을 비교하면 다음 <표2>와 같다.
<표2> 기관별 환매채업무 취급내용(1993년 말)
증권금융(주)
증권회사
은행
체신관서
취급시기
1977.2
1980.2 (거액 RP는 1988년 12월)
1982.9 (거액 RP는 1988년 12월)
1983.3
업무내용
매도 및 매수
매도 및 매수
매도
매도
대상증권
국채,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발행채권, 상장법인 및 등록법인 발행 회사채(전환사채 제외)
좌 동
국채,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발행채권
국채, 지방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발행채권
거래상대방
ㆍ매수상대방: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특수법인, 증권관계기관, 은행, 단자사, 종금사, 보험사 등
ㆍ매도상대방: 매수상대바, 기타의 법인, 개인, 우리사주조합
ㆍ매수상대방: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특수법인, 증권관계기관, 은행, 단자사, 종금사, 보험사 등
ㆍ매도상대방: 제한없음
ㆍ매도상대방: 제한없음
ㆍ매도상대방: 제한없음
취급한도
ㆍ매도한도: 매수잔액+자기자본
ㆍ매수한도: 제한없음
ㆍ매도한도: 증권사 자기자본의 4배
ㆍ매수한도: 전월의일평균 매도 잔액의 1/2
ㆍ매도한도: 자기자본(단, 국민은행은 순자산액의 3배, 농협은 1.5배)
ㆍ매도한도: 제한없음
거래기간
1년 이내
좌 동(거액 RP는 91일 이상)
91일~1년 이내(거액 RP는 91일 이상)
91일 이내
최저거래액
10만원
좌 동(거액 RP는 3천만원)
좌 동(거액 RP는 3천만원)
5만원
환매수준비
준비의무 없음
[매도잔액 (대 증권금융(주) 매도분 제외)-매수잔액]의 4.5%해당액을 증권금융(주)예치
준비의무 없음
준비의무 없음
한국증권금융(주)와 증권회사는 조건부채권매도 및 매수업무를 모두 취급하고 있지만, 은행과 체신관서는 매도업무만을 취급할 수 있다. 증권금융(주)와 증권회사의 매수상대방은 제한되어 있으나 모든 기관의 매도상대방은 제한이 없다. 각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대상증권과 매도잔액 및 매수잔액에 대하여는 취급기관별 또는 자본금 규모별로 차등을 두고 있으며, 거래기간은 체신관서를 제외하고는 1년 이내이고, 최저거래액 역시 체신관서 이외에는 10마
추천자료
글로벌 전략의 수립-caterpillar tractor와 komatus limited 사례 분석
전자상거래(EC, 인터넷쇼핑) 성공 사례로 본 전자상거래(EC, 인터넷쇼핑) 현황과 전자상거래(...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개황. 경제, 지표, 무역, 투자환경 및 동향, 한국기업의 진출성공사례
(사회학개론) 빈곤, 사회적배제, 그리고 복지국가 (최신 신문기사 및 사례 포함)보고서
[고객중심 가격전략] 가격전략의 목표와 가격의 결정, 성공사례
asean_아세안,국제무역,글로벌경게,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브라질(Brazil), 현지 법인의 경영성과 측정 - 국내기업의 브라질 FDI 사례,현지 법인의 경영...
[행정통제론] 내부통제제도 - 내부통제제도의 정의와 목적 및 중요성, 인사와 구매를 통한 사...
은행중심_vs_시장중심,금융중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코카콜라중국진출,코카콜라마케팅전략,코카콜라중국시장진출,중국시장진출사례
[경영] 생산성 분석(부가가치 분석)의 개념과 산출방법, 기업의 사례 : 가산법, 재무제표
[관세청] 밀수출입과 관세포탈 사례 및 처벌규정
「핀테크(FinTech) 산업」 세계적인 핀테크 기술 활용사례 분석 - 알리바바(알리페이/支付&a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