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어말어미 '-오, 우-' 연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선어말어미 '-오, 우-'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선어말어미 ‘-오/우-’의 구별
2.용언의 활용에 따른 ‘-오/우-’의 기능
1)종결형․연결형의 경우
2)관형사형의 경우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감동법의 선어말어미 ‘-옷-’에는 ‘오’가 공통되어 있으나 ‘오’가 빠진 ‘*-ㅁ, *-’‘*-ㅅ-’가 없으므로 이때의 ‘오’는 형태소의 일부분일 뿐으로 파악된다. 현행 학교 문법이나 고영근(1987,1997)에서는 명사형 어미 \'-ㅁ\'앞에 오는 오와 \'-\' 앞에 오는 \'-오/우-\'는 특수 선어말어미 \'-오/우-\'에서 제외시키고 있다. 계열 관계 속에서 \'-오/우-\'를 따로 인정하지 않고 \'-옴\', \'오\'자체를 하나의 형태소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관규 1999 : p.307-308)
2. 용언의 활용에 따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의 경우
‘-오/우-’가 종결형이나 연결형에서 나타날 때는 주어가 1인칭 대명사(나, 우리)등 화자로 한정된다. 대명사가 표면에 나타나지 않아도 1인칭인 경우와 3인칭이라도 의미상의 주어가 화자일 경우도 해당된다. 또한 화자를 포함한 복수 명사구에도 쓰인다.『석보상절』6권에서의 예를 보자. (괄호 안의 숫자는 쪽수)
a. 내 太子 셤기 하 셤기야 번도 디만 일 업수니 (4)
b. 내 世尊 위 精舍 마 짓니 (39)
c. 諸佛도 출가샤…나도 그리 호리라 (12)
d. 우리 어 아리…사 무레 사니고도 중생마도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5.2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