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식과 음식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음식과 음식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9첩,12첩이 있는데 여기에서의 첩이란 밥,국, 김치,조치,종지를 제외한 쟁첩(접시)에 담는 반찬의 수를 말한다. 이중 3첩 반상은 있는 대로 적당히 먹었던 서민들의 상차림이었고, 5첩 반상은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던 서민층의 상차림이었다. 7첩반상은 여염집에서 신랑, 색시상을 차릴때이고 9첩반상은 반가집에서 최고 상차림이었고 12첩반상 은 궁중에서 차리는 수랏상차림이었는데, 수랏상은 반드시 12첩이 아니고 그 이상도 무관하였다. 다음의 (표-1)을 참고 하여라.
내용
구분
첩수에 들어가지 않는 음식
첩수에 들어가는 음식(쟁첩에 담는 음식)


깁치
장류
찌개(조치)
찜(선)
전골
나물
구이
조림

마른반찬
장과
젓갈

편육
수란
생채
숙채
3첩
1
1
1.2
1
1
택1
택1
택1
5첩
1
1
2
3
1
1
택1
1
1
1
택1
7첩
1
1
2
3
2
택1
1
1
1
1
1
택1
택1
9첩
1
1
3
3
2
1
1
1
1
1
1
1
1
1
1
택1
12첩
1
1
3
3
2
1
1
1
1
2
1
1
1
1
1
1
1
1
(표-1) 반상차림의 구성
②죽상차림:새벽자리에서 일어나 처음 먹는 음식으로 부담없이 가벼운 음식이다. 응 이,미음,죽 등의 유동식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맵지 않은 국물김치9동 치미,나박김치)의 젓국 찌개,마른찬등을 갖추어 낸다. 죽은 그릇에 담아 중앙에 놓고 오른편에는 공기를 놓아 조금씩 덜어먹게 한다. 죽상에는 짜 고 매운 찬은 어울리지 않는다.
응이상:응이,동치미,소금,꿀
흰죽상:흰죽,젓국조치,나박김치(or동치미),매듭자반,북어무침,포,청장
잣죽상:잣죽,동치미,다시마튀각,소금,꿀
③장국상차림:국수를 주식으로 하여 차리는 상을 면상이라 하며 점심으로 많이 이용 한다. 주식으로는 온면,냉면,떡국,만두국 등이 오르며, 부식으로는 찜,겨자 채,잡채,편육,전,배추김치,나박김치,생채,전 등이 오른다. 주식이 면류이기 때문에 각종 면류나 한과,생과일 등을 곁들이기도 하며, 이때는 식혜,수정 과,화채 중의 한가지를 놓는다. 술 손님인 경우에는 주안상을 먼저 낸후 면상을 내도록 한다.
④주안상차림:주류를 대접하기 위해 차리는 상으로 안주는 술의 종류, 손님의 기호를 고려해서 장만해야 하는데 보통 약주를 내는 주안상에는 육포,어포,건어, 어란 등의 마른안주와 전이나 편육,찜,신선로,전골,찌개 같은 얼큰한 안 주 한두 가지, 그리고 생채류와 김치,과일 등이 오르며 떡과 한과류가 오 르기도 한다.
⑤교자상차림:명절이나 잔치 또는 회식 때,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경우 차 리는 상이다. 대개 고급재료를 사용해서 여러 가지 음식을 많이 만들어 대접하려고 하는데, 종류를 지나치게 많이 하는 것보다는 몇 가지 중심 이 되는 요리를 특별히 잘 만들고, 조화가 되도록 색채나 재료,조리법,영 양 등을 고려하여 몇 가지 다른 요리를 만들어 곁들이는 것이 좋다. 조선시 대의 교자상차림은 건교자,식교자,얼교자 등으로 나뉘어 있다.
⑥ 백일,돌상차림
백일상차림:태어나서 백일이 되면 백설기와 음식을 차려 친척과 이웃에게 대접 하고 축하를 받는다. 백일떡은 백사람에게 나누어 먹이면 백수를 한다 하여 이웃과 친척에게 나누어 돌리면 그릇을 돌려 줄 때는 씻지 않고 그대로 실이나 돈을 담아 답례로 보낸다. 차리는 음식은 흰밥,미역국, 백설기,수수경단,오색송편,인절미 등을 마련하는데 이중에 백설기는 백설같이 순수무구한 순결을 의미하며 수수팥떡은 잡귀를 막아 부정 한 것을 예방하는 뜻이 담겨있어 빠지지 않고 상에 오른다.
돌상차림:아기가 만 1년이 되면 첫 생일을 축하하는 돌상을 차려준다. 차리는 음식과 물건을 모두 아기의 수명장수와 다재다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하며 음식은 흰밥,미역국,청채나물을 만들고, 돌상에는 백설기,오 색송편,인절미,차수수경단,생실과,쌀,국수삶은것,대추,흰타래실,청홍비 단실,붓,먹,벼루,천자문,활과 화살,돈 등이며 여아에게는 천자문대신 국문을 놓고 활과 화살대신에 색지,실패,자등을 놓는다. 돌잡이 할 때 는 무명필을 밑에 놓고 아기를 올려 앉히고 아기가 집는 것에 따라 장 래를 점치고 재주를 가지고 복을 많이 받기를 기원한다. 옷은 남아 에게는 색동저고리, 풍차바지를 입히고 복건을 씌우며 여아에게는 색 동저고리와 다홍치마를 입히고 조바위를 씌운다.
<돌상에 놓는 물건>
쌀:식복이 많을 것을 기원
면:장수 기원
대추:자손의 번영
흰타래실:면과 같이 장수 기원
청,홍색 타래실:장수와 함께 앞으로 금실이 좋기를 기원
붓,먹,벼루,책:앞으로의 문운(文運)을 비는 뜻
활:무운(武運)의 기원
돈:부귀와 영화를 기원
이상의 것을 백반,미역국,푸른나물(미나리등을 자르지 않고 긴 채로 무친 것),백설기,수수팥경단,송편,생실과와 함께 상 위에 차려 놓는다.
⑦큰상차림:혼례,회갑,희년,회혼례를 경축하는 상차림으로 높이 고이므로 고배상 도는 망상이라고 한다. 음식은 떡,숙실과,생실과,견과,유밀과,각색당등을 높이 괴 어서 상의 옆쪽에 색을 맞추어 배상하고, 가(假)화로 장식한다. 주식은 면류 로 하여 교자상에 차리는 음식을 조금씩 담아 그 외 국물있는 더운 음식을 주빈앞으로 차려 놓는데 이것은 주빈이 그 자리에서 들도록 차리는 것이 다. 괴는 음식류는 계절에 따라 또는 가풍,형편등에 따라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며 각 음식을 괴는 높이는 재래식으로는 높이,치수를 기수로 하 는 관습이 있어서 5치,7치,9치로 하고 접시의 종류도 기수로 하였으나 근 래에는 간소화되어 큰상을 준비하는 일이 별로 없으며 괴는 높이도 임의 로 적당하게 하여도 좋다.
⑧폐백상차림:혼례를 치른후 신부가 시부모님과 시댁 어른들게 첫인사를 드리는 예의 를 말하며 이 장만하는 음식류는 각 지방이나 가정에 다라 풍습이 다르 다. 대개 서울지방은 육포나 산적,대추,청주를 가지고 가고 지방에서는 육 포나 산적대신에 폐백닭을 가지고 간다. 대추는 시아버님께,육포는 시어 머님께 드리고 절을 올린다. 폐백을 사는 보자기는 청,홍색 두겹으로 네 모나게 만들고 네 귀에 금전지나 수실을 꿰매어 단다. 각기 쟁반에 담은 폐백을 준비한 모에 싸는데 서로 묶어 매지 않고 네귀를 모아 올려서 근 봉 뒤로 끼워 오므린다. 보자기를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05.29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1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