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yphagia
2. TBI
3. CVA
2. TBI
3. CVA
본문내용
에게 일어난다. 이러한 상태는 신체활동의 부족이나 과도한 침대휴식으로 생긴다.
⑤ 감소된 지구력(Decreased endurance)
감소된 지구력과 매우 중대한 수용력은 폐렴이나 감염으로 인한 저하된 근력을 일으킨다. 환자의 근력과 지구력을 늘리는 것은 집중적인 간호시설과 재활원에서 첫 번째 목표이다.
⑥ 운동실조(Ataxia)
저하된 근 긴장도로 인한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다. 운동실조는 소뇌로 향한 지각기관의 손실로 생긴다. 그리하여 손상된 지각은 종종 운동실조를 수반한다. 운동실조는 몸 전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운동 실조환자는 사지를 이용한 조그만 움직임을 수행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운동실조의 정도는 약한 것에서 심한 것까지이다. 몸통 운동실조 환자는 자세 저하된 자세안정성을 보인다. 환자는 활동을 할 때 상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몸을 조절하기 어렵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는 상지를 써야만 한다. 상지 운동실조 환자는 미세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하지의운동실조는 환자를 이동할 수 없게 한다.
⑦ 자세 결손(Postural deficits)
자세 결손은 몸 전체에 근 긴장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 얼굴에서 목까지. 많은 TBI 환자는 목을 과도하게 구부리게 된다. 머리는 손상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손상된 쪽의 몸통은 머리를 같은 쪽 옆으로 구부리게 한다. 평형반응(equilibrium reaction)과 운동감각(kinesthesia)은 종종 손상되기 때문에 환자는 이 기형자세에 대해서 의식하지 못한다.
- 견갑골, 견갑골은 depress, retract, protract, downward rotate 될 수 있다. 이것은 견갑근 긴장도의 불균형으로 일어난다. 몇몇 근육으 hypertonic이거나 hypotonic 일 수 있다.
- 상지. 뇌손상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상지는 양측이나 편측으로 손상 받을 수 있다.
- 하지. 혼수상태 화낮에게는 하지의 심각한 신전 패턴이 관찰된다. 높은 인지력 단계를 보이는 환자들은 하지에서 편측이나 양측에 영향을 받는다.
- 몸통. Kyphosis, lordosis, scoliosis는 복부, 척추와 척추 주위가 약회되거나, 경직된 근육에 2차적으로 나타난다.
- 골반. 골반 뒤쪽이 기울어진 것(posterior pelvic tilt)은 흔하다. 그 이유는 등 근육의 과다 긴장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⑧ 관절 움직임의 제한(Limitations of joint motion)
TBI 환자는 영향받은 사지의 관절에서 손실된 ROM을 보인다. 저하된 ROM의 여러 원인들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다. 저하된 ROM의 치료는 원인에 달려 있기 때문에 치료사가 치료 전에 원인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⑨ 감각의 손실(Loss of sensation)
⑩ 몸 전체 움직임의 통합 손실(Loss of the integration of total body movements)
전체 몸의 움직임은 보행, 구부리기, 뻗기, 웅크리는 동안 동적인 앉기와 서기를 동반한 머리, 목, 그리고 몸통 조절의 통합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 환자는 ADL을 수행하는 동안 몸통, 머리, 목, 그리고 사지의 대운동과 소운동 움직임이 협응이 되어야 한다. 심각한 신체적 질환이 있는 환자는 종종 균형을 못 잡으며 상지를 자유스럽게 한 상태에서 똑바로 서 있지 못한다.
2) 연하곤란과 스스로 식사하기 (Dysphagia and self-feeding)
TBI 환자에게 나타나는 인지적, 시각 지각력, 그리고 신경문제를 동반한 연하곤란은 스스로 식사하기를 더욱 어렵게 한다. 환자는 뇌신경손상으로 인해 입 주위에서 근육에 과긴장도나 저긴장도를 보인다. 환자는 뇌신경손상과 부수적인 골절로 인해 턱이 불안정해 진다. 환자는 또한 설근 반사, 물기 반사, 빨고 삼킴 반사, 구토반사, 기침 반사 등 비정정상적인 입의 반사작용으로 인해 먹지 못하게 된다.
3) 인지 상태 (conitive status)
① 주의력과 집중력 감소 (Reduced attention and concentration)
감소된 주의력과 집중력은 주의의 산만함 없이 활동을 유지하는 것과 활동이 중단되었을 때 다시 시작하는 능력을 손상 시킨다.
② 기억력 손상 (Impaired memory)
③ 활동의 개시와 종료 손상 (Impaired initation and termination of activities)
④ 안전 저하, 인지력과 판단력 부족
(Decreased safety awareness and poor judgment)
⑤ 정보처리 지연(Delayed processing of information)
⑥ 손상된 수행기능과 추상력 (Impaired executive functions and abstract thinking)
⑦ 일반화의 문제(Generalizaiton)
4) 시각적 상태 (Visual status)
① 적응적인 결손(흐릿해진 시력의 원인)
② 집중성 부족(물체에 시선을 고정시키는 동안 외겹의 시력(single vision)을 유지하는 것에 무능력)
③ 측면 혹은 중앙의 사시
④ 안구진탕증(nystagmus)
⑤ 반맹증(hemianopsia)
⑥ Scanning, 추시력(pursuit)의 손상
⑦ 단속적 안구운동(saccades, 안구의 순간적 움직임)
시력의 결손은 위생 그리고 몸차림, 식사 준비, 먹기, 의자차 기동, 독서, 쓰기 그리고 운전 등을 포함한 모든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7)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초기단계의 치료
초기 단계에 있는 환자를 위한 치료의 전반적인 목표는 환자의 반응 단계를 높이고 자신과 환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 감각 자극(Sensory stimulation)
환자가 안정 상태에 놓일 때 초기단계 환자의 치료는 시작되어야 한다. 치료는 전반적으로 ICU에서 시작된다.
가장 효과적인 감각 자극 종류는 그 환자에게 개인적으로 뜻이 있는 물건들이다. 치료사는 환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노래를 들려주고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사용할 수 있다.
2) 의자차 자세(Wheelchair positioning)
⑤ 감소된 지구력(Decreased endurance)
감소된 지구력과 매우 중대한 수용력은 폐렴이나 감염으로 인한 저하된 근력을 일으킨다. 환자의 근력과 지구력을 늘리는 것은 집중적인 간호시설과 재활원에서 첫 번째 목표이다.
⑥ 운동실조(Ataxia)
저하된 근 긴장도로 인한 비정상적인 움직임이다. 운동실조는 소뇌로 향한 지각기관의 손실로 생긴다. 그리하여 손상된 지각은 종종 운동실조를 수반한다. 운동실조는 몸 전체에서 일어날 수 있다. 운동 실조환자는 사지를 이용한 조그만 움직임을 수행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운동실조의 정도는 약한 것에서 심한 것까지이다. 몸통 운동실조 환자는 자세 저하된 자세안정성을 보인다. 환자는 활동을 할 때 상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몸을 조절하기 어렵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는 상지를 써야만 한다. 상지 운동실조 환자는 미세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하지의운동실조는 환자를 이동할 수 없게 한다.
⑦ 자세 결손(Postural deficits)
자세 결손은 몸 전체에 근 긴장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 얼굴에서 목까지. 많은 TBI 환자는 목을 과도하게 구부리게 된다. 머리는 손상된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손상된 쪽의 몸통은 머리를 같은 쪽 옆으로 구부리게 한다. 평형반응(equilibrium reaction)과 운동감각(kinesthesia)은 종종 손상되기 때문에 환자는 이 기형자세에 대해서 의식하지 못한다.
- 견갑골, 견갑골은 depress, retract, protract, downward rotate 될 수 있다. 이것은 견갑근 긴장도의 불균형으로 일어난다. 몇몇 근육으 hypertonic이거나 hypotonic 일 수 있다.
- 상지. 뇌손상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상지는 양측이나 편측으로 손상 받을 수 있다.
- 하지. 혼수상태 화낮에게는 하지의 심각한 신전 패턴이 관찰된다. 높은 인지력 단계를 보이는 환자들은 하지에서 편측이나 양측에 영향을 받는다.
- 몸통. Kyphosis, lordosis, scoliosis는 복부, 척추와 척추 주위가 약회되거나, 경직된 근육에 2차적으로 나타난다.
- 골반. 골반 뒤쪽이 기울어진 것(posterior pelvic tilt)은 흔하다. 그 이유는 등 근육의 과다 긴장으로 인한 것이기 때문이다.
⑧ 관절 움직임의 제한(Limitations of joint motion)
TBI 환자는 영향받은 사지의 관절에서 손실된 ROM을 보인다. 저하된 ROM의 여러 원인들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다. 저하된 ROM의 치료는 원인에 달려 있기 때문에 치료사가 치료 전에 원인을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⑨ 감각의 손실(Loss of sensation)
⑩ 몸 전체 움직임의 통합 손실(Loss of the integration of total body movements)
전체 몸의 움직임은 보행, 구부리기, 뻗기, 웅크리는 동안 동적인 앉기와 서기를 동반한 머리, 목, 그리고 몸통 조절의 통합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 환자는 ADL을 수행하는 동안 몸통, 머리, 목, 그리고 사지의 대운동과 소운동 움직임이 협응이 되어야 한다. 심각한 신체적 질환이 있는 환자는 종종 균형을 못 잡으며 상지를 자유스럽게 한 상태에서 똑바로 서 있지 못한다.
2) 연하곤란과 스스로 식사하기 (Dysphagia and self-feeding)
TBI 환자에게 나타나는 인지적, 시각 지각력, 그리고 신경문제를 동반한 연하곤란은 스스로 식사하기를 더욱 어렵게 한다. 환자는 뇌신경손상으로 인해 입 주위에서 근육에 과긴장도나 저긴장도를 보인다. 환자는 뇌신경손상과 부수적인 골절로 인해 턱이 불안정해 진다. 환자는 또한 설근 반사, 물기 반사, 빨고 삼킴 반사, 구토반사, 기침 반사 등 비정정상적인 입의 반사작용으로 인해 먹지 못하게 된다.
3) 인지 상태 (conitive status)
① 주의력과 집중력 감소 (Reduced attention and concentration)
감소된 주의력과 집중력은 주의의 산만함 없이 활동을 유지하는 것과 활동이 중단되었을 때 다시 시작하는 능력을 손상 시킨다.
② 기억력 손상 (Impaired memory)
③ 활동의 개시와 종료 손상 (Impaired initation and termination of activities)
④ 안전 저하, 인지력과 판단력 부족
(Decreased safety awareness and poor judgment)
⑤ 정보처리 지연(Delayed processing of information)
⑥ 손상된 수행기능과 추상력 (Impaired executive functions and abstract thinking)
⑦ 일반화의 문제(Generalizaiton)
4) 시각적 상태 (Visual status)
① 적응적인 결손(흐릿해진 시력의 원인)
② 집중성 부족(물체에 시선을 고정시키는 동안 외겹의 시력(single vision)을 유지하는 것에 무능력)
③ 측면 혹은 중앙의 사시
④ 안구진탕증(nystagmus)
⑤ 반맹증(hemianopsia)
⑥ Scanning, 추시력(pursuit)의 손상
⑦ 단속적 안구운동(saccades, 안구의 순간적 움직임)
시력의 결손은 위생 그리고 몸차림, 식사 준비, 먹기, 의자차 기동, 독서, 쓰기 그리고 운전 등을 포함한 모든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7)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초기단계의 치료
초기 단계에 있는 환자를 위한 치료의 전반적인 목표는 환자의 반응 단계를 높이고 자신과 환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1) 감각 자극(Sensory stimulation)
환자가 안정 상태에 놓일 때 초기단계 환자의 치료는 시작되어야 한다. 치료는 전반적으로 ICU에서 시작된다.
가장 효과적인 감각 자극 종류는 그 환자에게 개인적으로 뜻이 있는 물건들이다. 치료사는 환자가 좋아하는 음악을 노래를 들려주고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을 사용할 수 있다.
2) 의자차 자세(Wheelchair positioning)
추천자료
뇌졸중(CVA)에 대한 문헌고찰
뇌졸증(CVA)에 대하여
CVA 케이스 스터디
CVA 케이스
뇌졸중,CVA에 대한 조사
[문헌고찰]hydrocephalus뇌수종(수두증)+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출혈)
[SICU case] ICH, IVH case study (뇌출혈 케이스)
케이스 스터디 CVA
[간호]Dx - CVA (Lt. Rt. total MCA infarction due to SAH) 중환자실실습
[케이스스터디][세기관지염][만성신부전]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만성신부전 케...
[신경질환, 신경]신경질환(신경외과질환)과 뇌혈관질환, 뇌졸중, 신경질환(신경외과질환)과 ...
[성인간호학][CVA][뇌졸중]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vascular accident)
노인간호학 뇌졸중(CVA, Cerebrovascular accident) Case study
[동서협진과 CASE] 두통을 호소하는 뇌경색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