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광고 얼마나 믿을 것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 광고 얼마나 믿을 것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커피
2). 패스트푸드
3). 자일리톨 껌
4). 콩라면

3. 결론

본문내용

경우가 종종 있으며, 실상 한식을 훨씬 더 선호함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초, 중, 고교생들이 패스트푸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것은 건강보다 이미지에 끌리는 면이 대학생들보다 더 강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패스트푸드를 먹는 것이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있어서는 단순히 배고픈 것을 해소하는 생리적 현상이라기 보다는 시간 때우기(편안함, 친근감 때문이다), 또는 레저(즐거움을 준다)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기 때문이다. 대학생들에 대한 조사결과가 초중고생과 다른 이유는 그들보다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적인 면, 배부르게 잘 먹는 식사에 대한 만족감, 한국인으로서 길들여진 입맛 등이 무시할 수 없는 요인으로 작용했을것이라고 본다.
3). 자일리톨 껌
‘핀란드의 엄마들은 치약과 함께 자일리톨 검을 준비해놓습니다.
하루 세 번 씹는 껌,
지금 준비해 두신 껌, 롯데 맞으시죠?
-대한치과의사협회가 추진하는 껌입니다.‘
자일리톨 껌은 충치예방을 강조하며 치과의사협회를 내세운다. 핀란드의 한 어머니가 아이에게 치약과 함께 자일리톨 껌을 준비해주는 장면이 TV광고로 나온다.
자일리톨 껌 광고가 나간 이후 자일리톨 붐이 일다시피 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일반 껌에 비해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음식점에서 식사를 마치고 편의점에 들러 자일리톨을 사서 양치 대신 씹는 소비자들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자일리톨을 양치 대용으로 사용하신 적이 있습니까?’ 라는 물음에 112명 중 42명은 없다, 64명은 가끔, 6명은 자주 라고 답해 62.5% 는 적어도 한번 이상 양치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하게 ‘자일리톨을 씹으면 충치가 생기지 않는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물음에 38명이 ‘그렇지 않다’, 70명이 ‘약간은 효과가 있다’, 4명이 ‘매우 효과가 있다’라고 답했다. 한편 효과가 조금이라도 있다고 대답한 설문자에 한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는 질문에 ‘광고에서 충치를 예방한다고 말하니까’ ‘치과의사협회가 보장했기 때문에’ ‘충치균의 굶어죽는 원리를 알고 있기 때문에’ 등이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학교 학생들은 과학적인 메커니즘을 알게 되었을 때 식품에 대해 더 신뢰하게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한편 자일리톨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무늬’만 입고 충치예방의 행세를 하려는 유사제품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자일리톨 첨가 발효유는 충치를 유발하는 과당, 포도당으로 구성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1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