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중국의 음식 문화
(1) 식습관 및 식사예절
(2) 차와 술, 그리고 약
3. 중국의 음식 문화와 중국어
(1) 중국의 음식 문화속의 중국어
(2) 음식의 명명
4. 마치는 말
*참고문헌
2. 중국의 음식 문화
(1) 식습관 및 식사예절
(2) 차와 술, 그리고 약
3. 중국의 음식 문화와 중국어
(1) 중국의 음식 문화속의 중국어
(2) 음식의 명명
4. 마치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개고기가 한국이나 중국에서 하나의 高價요리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요리에 쓰이는 재료에 따라 붙인 이름의 예로는 糖醋,糟片등의 메인재료를 요리 이름에 부각시킨 것, 油豆腐,油菜花등의 기름의 이름으로 붙인 것 등이 있다.
세 번째로는 각 지방의 이름 및 그 특색에 의한 명명이 있다. 요리 이름에는 지방 이름이 흔히 보이고 또한 그 요리가 어떤 지방의 전통 요리이거나 지 방과 특별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西湖草魚는 서호에서 나는 물고기를 통째로 달고 새콤하게 조리한 것이고, 東江鷄는 소금으로 간을 하여 찐 광동성 동강의 닭찜, 白雲猪手는 광동 백운산 부근에서 개발된 삶은 돼지 족발을 말하며, 金陵花鴨는 오리를 양념하여 말렸다가 끓는 물에 삶은 다음 식힌 것으로 남경의 특산품 중 하나인데 이는 모두 지방이름을 통해서만 고유의 음식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 사람 이름에 의해 음식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東坡肉는 소동파가 지은 시, <食猪肉>로 인해 유명해졌다. 柱候牛는 소의 뱃살 졸임 요리로서 청나라 말기 광동성 광주에는 羅柱候라는 요리사가 있었는데 그는 특히 개고기 따위의 육류요리에 뛰어난 솜씨가 있었다고 해 지어진 이름이다. 宋嫂魚羹는 생선살과 돼지 고기를 넣고 끓인 수프로서, 송수는 송나라 때 항주의 서호가에 살던 송씨 댁 부인을 뜻하는 말로 그녀가 병든 남편을 위해 서호의 물고기를 잡아 요리를 만들어 바쳤다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東坡墨魚 는 소동파의 고향 땅에서 나는 墨魚(樂山의 江에서 나는 비늘에 검은빛이 도는 물고기)에 칼집을 넣고 소금과 술을 뿌린 다음, 전분 가루를 묻혀 생강, 마늘, 식초, 고추기름 따위를 섞어 볶거나 쪄낸 음식이다. 전해져 오는 말에 의하면 소동파가 젊어서 절에 들어가 공부를 할 때, 글씨 연습을 많이 했으므로 개천에서 벼루와 붓을 자주 씻어, 그 씻어낸 먹물로 그곳의 물고기들이 까맣게 변했기 때문에 東坡墨魚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위쪽 것과 모순됨, 위쪽의 것이 더 맞는 것도 같음.-- 宮保鷄丁 는 丁宮保가 연회 때 음식으로 내놓았다는 닭볶음 요리로서 宮保는 원래 왕자를 가르치는 선생님을 뜻하는데, 차츰 명예직으로 변해 국가에 공을 세운 대신들에게 주는 호칭으로도 사용되었다. 19세기 중엽 청의 사천 총독으로 丁寶楨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는 서태후 집권 시 악행을 많이 저질렀던 태감(내시)을 처형함으로서 태후의 위신을 세우는 공로를 세워, 宮保의 명예를 얻었다. 丁宮保가 사천 총독으로 부임하면서 고향인 귀주에 잠시 들러, 극진한 대접을 받게 되었을 때 , 그저 닭볶음이나 한 접시 차리라해 정성을 들여 준비하게 된 음식이 宮保鷄丁이라고 한다. 鷄丁은 여기서 네모로 썬 닭고기를 뜻한다. 方臘魚는 方臘은 徽州사람으로 북송의 혼란기에 농민 봉기를 이끌었던 인물로, 악비가 우리나라의 남이와 비교된다면, 방랍은 동학혁명의 정봉준과 비교 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는 민군을 이끌고 북송의 군대와 전투를 벌이려고 하였다. 당시 산세는 험하고 관군에 의해 식량공급이 중단된 상황이어서 방랍의 군대는 절망적인 상황에 처하였다. 그런데 근처의 못에 새우와 물고기를 보고는 그것을 모조리 잡아 방류해 버렸는데 이를 본 관군은 민군 측에 식량이 충분하다고 여겨 퇴각했다는 설이 있다. 그래서 이 곳의 물고기로 튀겨 볶은 것을 方臘魚라고 한다.
다섯 번째로 故事에 따라 명명하기도 하였다. 全家福는 해삼, 닭고기, 중국식 햄, 깐 새우 등을 넣고 볶은 요리이다. 청의 건륭황제는 이 음식을 무척 칭찬하였는데 당시 요리사에게는 요리에 붙일 마땅한 이름이 없었다. 그런데 이 때 그가 “폐하가 납시어 모든 사람들에게 복이옵니다.” 라고 말한데 대해 황제가 全家福으로 칭함으로써 이것이 이 요리의 이름이 되었다. 宋鼠桂는 쏘가리를 사용해 잉어의 모습대로 요리 한 것이다. 청의 건륭황제가 강남의 송학루에 올랐을 때 제상 위에 놓인 커다란 산잉어를 보고는 그것을 요리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러자 요리사는 신에 대한 불경죄와 황명 사이에서 고민하다 결국 잉어 대신 桂(쏘가리)를 사용해 한 마리를 통째로 요리하게 되었다. 그런데 요리한 쏘가리의 머리와 꼬리가 하늘로 치켜져 올라가 있어 ‘잉어가 龍門을 올라간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띄게 되어 오히려 황제가 더욱 좋아하였다고 한다.
이 외에도 형태 위주로 짓는 이름(虎皮肉), 색 위주로 짓는 이름(白豆腐), 맛 위주로 짓는 이름(香), 꽃명 위주로 짓는 이름(桂花肉), 요리를 담는 용기 위주로 짓는 이름(砂豆腐), 조미료 위주로 짓는 이름(香片), 한약명 위주로 짓는 이름(枸杞) 요리법 위주로 짓는 이름(炸大) 등이 있다.
4. 마치는 말
지금까지 중국의 음식 문화와 그에 관련된 언어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다. 옛날 中山國(중산국)의 임금이 연회를 베풀며 羊(양)국을 끓였는데 그 量(양)이 적어서 司馬子期(사마자기)는 맛을 보지 못했다. 이에 사마자기는 모욕을 당했다고 여겨 중산국을 망하게 만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또 晉(진)나라의 張韓(장한)이라는 이가 간절히 원하던 고향음식인 蓴菜湯(순채탕)을 맛보기 위해 관직도 버리고 고향으로 떠나게 되었다는 蓴之事의 이야기도 전해 온다. 이와 같은 고사들을 보면 단순히 역사적인 의미 이외에도 중국인들이 음식이라는 것을 얼마만큼 중요하게 여기는지 짐작할 수 있다.
또 중국 언어에서 말을 나타내는 어휘가 매우 다양하게 발달한 것은 이전 그들의 생활이 유목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음식에 관련하여서도 이렇게 다양한 어휘와 표현들이 등장하는 것으로도 중국인들이 이전부터 음식에 대해 얼마나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그 문화를 발전시켜왔는지를 새삼 깨닫게 된다.
이렇듯, 중국의 음식문화와 언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그것이 중국인들에게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한다면 중국인을 더욱 가까이서 들여다보는 돋보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참고서적>
1)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주영하 , 책세상 , 2000
2) <중국음식> , 우샤오리 , 김영사, 2004
3) <공자의 식탁> , 張競 지음 , 박해순
세 번째로는 각 지방의 이름 및 그 특색에 의한 명명이 있다. 요리 이름에는 지방 이름이 흔히 보이고 또한 그 요리가 어떤 지방의 전통 요리이거나 지 방과 특별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西湖草魚는 서호에서 나는 물고기를 통째로 달고 새콤하게 조리한 것이고, 東江鷄는 소금으로 간을 하여 찐 광동성 동강의 닭찜, 白雲猪手는 광동 백운산 부근에서 개발된 삶은 돼지 족발을 말하며, 金陵花鴨는 오리를 양념하여 말렸다가 끓는 물에 삶은 다음 식힌 것으로 남경의 특산품 중 하나인데 이는 모두 지방이름을 통해서만 고유의 음식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네 번째, 사람 이름에 의해 음식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東坡肉는 소동파가 지은 시, <食猪肉>로 인해 유명해졌다. 柱候牛는 소의 뱃살 졸임 요리로서 청나라 말기 광동성 광주에는 羅柱候라는 요리사가 있었는데 그는 특히 개고기 따위의 육류요리에 뛰어난 솜씨가 있었다고 해 지어진 이름이다. 宋嫂魚羹는 생선살과 돼지 고기를 넣고 끓인 수프로서, 송수는 송나라 때 항주의 서호가에 살던 송씨 댁 부인을 뜻하는 말로 그녀가 병든 남편을 위해 서호의 물고기를 잡아 요리를 만들어 바쳤다는 고사에서 유래되었다. 東坡墨魚 는 소동파의 고향 땅에서 나는 墨魚(樂山의 江에서 나는 비늘에 검은빛이 도는 물고기)에 칼집을 넣고 소금과 술을 뿌린 다음, 전분 가루를 묻혀 생강, 마늘, 식초, 고추기름 따위를 섞어 볶거나 쪄낸 음식이다. 전해져 오는 말에 의하면 소동파가 젊어서 절에 들어가 공부를 할 때, 글씨 연습을 많이 했으므로 개천에서 벼루와 붓을 자주 씻어, 그 씻어낸 먹물로 그곳의 물고기들이 까맣게 변했기 때문에 東坡墨魚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위쪽 것과 모순됨, 위쪽의 것이 더 맞는 것도 같음.-- 宮保鷄丁 는 丁宮保가 연회 때 음식으로 내놓았다는 닭볶음 요리로서 宮保는 원래 왕자를 가르치는 선생님을 뜻하는데, 차츰 명예직으로 변해 국가에 공을 세운 대신들에게 주는 호칭으로도 사용되었다. 19세기 중엽 청의 사천 총독으로 丁寶楨이라는 인물이 있었다. 그는 서태후 집권 시 악행을 많이 저질렀던 태감(내시)을 처형함으로서 태후의 위신을 세우는 공로를 세워, 宮保의 명예를 얻었다. 丁宮保가 사천 총독으로 부임하면서 고향인 귀주에 잠시 들러, 극진한 대접을 받게 되었을 때 , 그저 닭볶음이나 한 접시 차리라해 정성을 들여 준비하게 된 음식이 宮保鷄丁이라고 한다. 鷄丁은 여기서 네모로 썬 닭고기를 뜻한다. 方臘魚는 方臘은 徽州사람으로 북송의 혼란기에 농민 봉기를 이끌었던 인물로, 악비가 우리나라의 남이와 비교된다면, 방랍은 동학혁명의 정봉준과 비교 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는 민군을 이끌고 북송의 군대와 전투를 벌이려고 하였다. 당시 산세는 험하고 관군에 의해 식량공급이 중단된 상황이어서 방랍의 군대는 절망적인 상황에 처하였다. 그런데 근처의 못에 새우와 물고기를 보고는 그것을 모조리 잡아 방류해 버렸는데 이를 본 관군은 민군 측에 식량이 충분하다고 여겨 퇴각했다는 설이 있다. 그래서 이 곳의 물고기로 튀겨 볶은 것을 方臘魚라고 한다.
다섯 번째로 故事에 따라 명명하기도 하였다. 全家福는 해삼, 닭고기, 중국식 햄, 깐 새우 등을 넣고 볶은 요리이다. 청의 건륭황제는 이 음식을 무척 칭찬하였는데 당시 요리사에게는 요리에 붙일 마땅한 이름이 없었다. 그런데 이 때 그가 “폐하가 납시어 모든 사람들에게 복이옵니다.” 라고 말한데 대해 황제가 全家福으로 칭함으로써 이것이 이 요리의 이름이 되었다. 宋鼠桂는 쏘가리를 사용해 잉어의 모습대로 요리 한 것이다. 청의 건륭황제가 강남의 송학루에 올랐을 때 제상 위에 놓인 커다란 산잉어를 보고는 그것을 요리할 것을 지시하였다. 그러자 요리사는 신에 대한 불경죄와 황명 사이에서 고민하다 결국 잉어 대신 桂(쏘가리)를 사용해 한 마리를 통째로 요리하게 되었다. 그런데 요리한 쏘가리의 머리와 꼬리가 하늘로 치켜져 올라가 있어 ‘잉어가 龍門을 올라간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띄게 되어 오히려 황제가 더욱 좋아하였다고 한다.
이 외에도 형태 위주로 짓는 이름(虎皮肉), 색 위주로 짓는 이름(白豆腐), 맛 위주로 짓는 이름(香), 꽃명 위주로 짓는 이름(桂花肉), 요리를 담는 용기 위주로 짓는 이름(砂豆腐), 조미료 위주로 짓는 이름(香片), 한약명 위주로 짓는 이름(枸杞) 요리법 위주로 짓는 이름(炸大) 등이 있다.
4. 마치는 말
지금까지 중국의 음식 문화와 그에 관련된 언어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다. 옛날 中山國(중산국)의 임금이 연회를 베풀며 羊(양)국을 끓였는데 그 量(양)이 적어서 司馬子期(사마자기)는 맛을 보지 못했다. 이에 사마자기는 모욕을 당했다고 여겨 중산국을 망하게 만들었다는 일화가 있다. 또 晉(진)나라의 張韓(장한)이라는 이가 간절히 원하던 고향음식인 蓴菜湯(순채탕)을 맛보기 위해 관직도 버리고 고향으로 떠나게 되었다는 蓴之事의 이야기도 전해 온다. 이와 같은 고사들을 보면 단순히 역사적인 의미 이외에도 중국인들이 음식이라는 것을 얼마만큼 중요하게 여기는지 짐작할 수 있다.
또 중국 언어에서 말을 나타내는 어휘가 매우 다양하게 발달한 것은 이전 그들의 생활이 유목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이와 마찬가지로 음식에 관련하여서도 이렇게 다양한 어휘와 표현들이 등장하는 것으로도 중국인들이 이전부터 음식에 대해 얼마나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그 문화를 발전시켜왔는지를 새삼 깨닫게 된다.
이렇듯, 중국의 음식문화와 언어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그것이 중국인들에게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한다면 중국인을 더욱 가까이서 들여다보는 돋보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참고서적>
1)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주영하 , 책세상 , 2000
2) <중국음식> , 우샤오리 , 김영사, 2004
3) <공자의 식탁> , 張競 지음 , 박해순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고대의 식생과 생업
[사회과학] [성과문화]피임의 역사와 방법고찰
정보의숭배 를 읽고
정신간호학 섭식장애
아스피린합성 예비보고서
유아과학교육 - 요리활동을 통한 과학교육
인간의 의사소통 수단과 곤충의 의사소통 수단의 비교
정보화사회란 무엇이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사회복지실천 전략
영유아 식생활과 관련된 문제들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해결방법은 무엇인지 기술
CVA 간호과정(1)
[아동영양학]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영양과 관련된 정보가 많아지고 있다. 수...
[아동수과학지도]화학을 통한 과학교육 수업계획안 - 부침개 만들기(대상-만4세, 집단구성-소...
현대놀이이론 {정신분석학 : 놀이를 위한 정서적 동기, 인지 발달 이론, 각성 조절 이론, 상...
소개글